수강후기

[재테크 기초반 3기 47조] 내집마련을 위해 한걸음

  • 24.11.26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부동산에 대한 이해

부동산에 대해 아는 거라고는 청약밖에 없었던 나에게 내집마련은 청약통장에 당첨되는 거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소액으로도 부동산을 구매할 수 있고, 집은 값이 오를 때가 아닌 내려갈 때 사야한다는 것을 알았다.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구매하면 매매가에서 전세가를 뺀 잔액만 내가 보유하고 있으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에게 맞는 부동산 투자법

부동산 투자법에는 시세차익형과 수익형으로 나뉜다.

 

시세차익형은 아파트를 매매할 때 전세금을 받고 잔금만 지불해 구매하는 것이고 수익형은 대출을 받아 오피스텔이나 다세대주택 등을 구매해 월세받는 것이다.

강의 전에는 월세에서 이자를 빼고 남은 수익을 저축해 다른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을 거라고 생각했다.

막상 강의를 들으니 수익형을 대상으로 하는 매물이 시세가 10년이 지나도 크게 오르지 않는게 충격이었다.

물론 재개발 호재가 있는 경우 수익형이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지만 너무 먼 미래이기도 하고 확신할 수 없다는 생각이 조금더 두렵게 다가온다.


소액으로 가능한 부동산 찾기

전세 레버리지를 이용하면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전세가율을 기준으로 강남, 서초, 송파는 60% 수도권 70%, 지방 80%이면 투자하기 좋은 매물이다.

(전세가율: (전세가÷매매가)×100)

또한 수도권은 강남과의 이동시간이 중요하고, 지방은 학군지이거나 아파트가 모여있는 곳이 더 좋은 입지이다.

이러한 기준을 가지고 매물을 찾는다면 좋은 매물을 찾을 수 있다.


부동산 투자 시 주의점

잔금 전 전세입자 구하기 => 못구하면 계약금 손실

역전세 => 전세금이 매매금보다 높아지면 손해

 

돈은 버는 것보다 잃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며 감당하지 못하는 투자는 하지 말아야 한다.


내집 잘 구하는 방법

내집을 잘 구하기 위해서는 부동산부터 가지 않고 아래 순서대로 해야한다.

  1. 예산 확인하기
  2. 후보지 파악하기
  3. 부동산 방문과 주변 파악하기
  4. 원하는 매물이 나올때까지 반복한 후 계약하기

예산은 현재 저축액(130만원)의 50%미만으로 계산해봤을때!?

2억정도 빌릴 수 있다…

독립은 못할 것 같다.. 엄마 미안..🤣

계약 시 등기부등본을 볼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마지막 장에 있는

 “이하여백”

없다면 다음 장이 존재할 수 있다!!


3주차 강의를 들으면서 얼마나 내가 부동산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로 살아왔는지 알 수 있었다.

독립을 하고싶어 청년주택에 지원하고 있었는데, 권유디님이 강의 중에 ‘처음부터 너무 좋은 곳에서 시작하면 아래로 내려가기는 힘들다. 돈이 10년간 묶이게 되면 10년 뒤 돈의 가치는 떨어져 더이상 제 가치를 하지 못한다.’는 말이 충격이었다.

좋은 정책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멍청한 짓이라고 생각했는데 독립을 하게 되었다면 지금처럼 돈을 모을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동산은 아는 지역을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권유디님의 말처럼 생활반경 주위부터 알아가면서 공부해야겠다.

아직 부동산을 투자한다는 생각을 하면 두렵기는 하지만 미래를 위해서라도 열심히 공부해봐야겠다.

 

앞으로 많은 길이 남았지만 조급하게 달리려고 하지 말고 지금처럼 그래왔던 것처럼 한걸음씩 걸어가면 원하는 곳에 도달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댓글


하루28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