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 기초반 1강 강의 후기 [지기14기 유(6)레카 외치고 저평가 단지 싹쓰리(3)하조 다누리다]

23.11.12


안녕하세요.

이번에 지기강의를 처음 듣게 된

14기 63조 '유레카 외치고 저평가 단지 싹쓰리하조' 다누리다입니다.


자모님의 강의는 오프로 한번 들은 후 팬이 되어서 기대하고 기다렸던 강의였어요.

교재를 보자마자

우와~~ 얼마나 많은 내용을 넣으려고 하셨는지 그 노력과 시간을 알 수 있었어요.


아직 서울도 다 알지 못하지만 지방은 서울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바라봐야 하는지 궁금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제대로 배워 보려고 합니다.


[나에게 와 닿았던 점]

1. 지방이라고 해서 다 같은 지방이 아니다. 지방마다 특색이 다르고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분화해서 생각해야 한다.

  • 지방이라고 뭉뚱그려서 생각했던 내 상식을 깨는 순간이었어요.

2.지방투자의 기준이 서울과 다르고 그 지역을 이해를 먼저 해야 한다.

3.지방을 투자 할 때는 지역마다 투자 범위를 정해서 임장 해야한다.

  • 지방에 대한 심리적 거리때문에 어디서부터 해야 할 지 막막했었는데 미리 그 지역에 대한 이해를 하고 간다면 좀 더 핵심적으로 알 수 있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어요.

4.해당 지역만 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지역과 영향을 주고 받는지 유기적으로 봐야 한다.

5.목표를 달성 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고민해야 한다.


[적용해 보고 싶은 점]

임보를 쓸 때마다 느꼈던 점이 임보가 실제 투자에 적용되려면 내가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 라는 고민이 들면서 저 스스로 내린 결론이 임장 전에 최대한 많은 내용을 알고 임보를 쓰고 임장에 임해야겠다고 생각했는데, 이 방법이 나쁘지 않다라는 얘기를 듣고 저만의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해요.

1.임장 전 최대한 많은 데이터를 공부하고 현장 가기.

2.임보 데이터를 보고 이해하고 해석해서 특징을 기록해 보기.

3.자모님 한달 캘린더와 3장 이상 임보 따라 하기.


------------

[자모님 질문]

END -> AND로 무엇을 하겠습니까?


[다누리다의 답변]

첫 지기강의를 듣고 비슷한 인구수의 타 지역을 임장해 보며, 지방 앞마당을 늘려가면서 투자자로서의 마인드를 이어 갈 것입니다.


댓글


카테고리
23. 11. 12. 23:42

고생하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