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비로 제테크 하는 사자네 : 집 나간 영혼도 돌아오는 점점 재밌는 예산구하기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첫 내집마련, 기초부터 탄탄하게

안녕하세요 :) 강의비로 내마기 강의듣고 내집 마련해서 강의비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사자네입니다. 

 

내마기 1강을 들으면서 저에게 가장 큰 변화는 생각의 변화입니다.

그 중에서 특히 내집마련 가이드라인에 Step 2  예산 확인이 제일 흥미로웠는데요,

예산 확인 강의를 들으며 무지성이었던 과거의 나 돌아보는 시간 가지고 

새해인 만큼 새사람으로 다시 태어나게 됐습니다!!

 

  1. 집값만 예산이 아니다 

→ 집값만 예산인 줄 았았던, 인테리어는 기본인 줄 알았던 나 자신 반성했습니다.  

매매대금 + 그 외에 필요한 세금들(매매대금의 2-5%) 포함, 그리고 인테리어 비용은 안포함 

 

2. 대출 기본 지식

→ 대출은 부정적인것이라는 고정관념이 있었고, 마냥 무서운 존재라고 생각했지만 

대출을 잘 이용하면 누구보다 현명하게 내집마련이 가능하다는 생각으로 변하였습니다. 

 

그러나, 잠시 집나갈뻔 했던 위기의 순간들도 있었습니다.

대출의 종류와 , LTV, DTI, DSR 대출 용어 등 다양한 지식들이 한번에 쏟아져 나올때 

‘아 이런 기본적인 상식도 몰라서 어렵다니…!’ 반성하면서 열심히 집중했습니다!

(예시를 들어가며 자세하게 그리고 친절하게 알려주신 너나위님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다 들은 후 이제는 대출은 어떻게 이용해야할 지 우선순위가 머리에 정리가 됐습니다.

저희 집은 23년도에 태어난 15개월 된 아기가 있는데요,

주택담보 대출의 신생아특례를 1순위로, 채증식 변동금리로 대출을 이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3. 내 예산 구하기

→예산 = 종잣돈 + 대출가능액

대출가능액을 구하는 과정이 어려웠지만 실제 현실적인 부분이다보니 재밌었습니다.

 

종잣돈과 세전, 세후 소득 수준 확인 후 활용할 수 있는 대출은 정책 대출 중 신생아 특례를 받기로 결정하였고 

(1) 종잣돈 1.3억원

(2) 소득 연 7800 (대략 ㅠㅠ제대로 모르는 나 자신 반성합니다..)

(3) 소득으로 감당할 수 있는 대출 한도 (월 세후 소득 600 - 생활비 300 = 월 상환한도 300)

따라서 감당 가능 대출 한도= 월 상환한도 300 * (120 or 150) => 3.6억~4.5억 

(4) 대출종류별 대출 한도 => 신생아특례 5억

(5) 지역별 대출한도 => 지방 LTV 70% (종잣돈 1.3억 → 대출 3억 정도)

(6) 매매가 기준 확인 => 신생아 특례대출의 경우 전용 85제곱미터 이하, 매매가 9억원 이하 

=> 대출 가능액 최소값 3억 (보수적) , 최대 한도 4.5억 

=> 따라서 적정액 3.3-3.5억 정도로 잡았습니다. (신생아특례+마통 or 신용) 

 

남편과 함께 듣고 있는데 다시 한 번 같이 예산 재검토 후 

후보지역 선정해서 이번 기수에서 매수 성공하는 사례를 보여드리도록 ㅠㅠ 노력하겠습니다!

아자아자 화이팅화이팅 !!

 


 


댓글


사자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