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나누고 투자하는 호호둥이아빠
나투호입니다.
25년 첫번째 강의로 선택한
지방투자기초반
21년 상승장이후로
"나는 이제 기회를 놓쳤어.."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신데요.
지방투자기초반 1강은
이런생각을 하는 우리 월부투자자들에게
게리롱 튜터님께서
현재의 지방시장을 어떻게 바라봐야하는지
그리고
우리가 하려고 하는 지방투자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투자기회가 다가오고 있는 A지역분석까지!!
꼼곰하게 잡아주셨습니다.
긴 시간 하나라도 더 떠먹여주려고
멋진 강의를 해주신
게리롱 튜터님께 감사말씀드리면서
짧은 강의후기 작성해보겠습니다.
1.지방투자를 한다는것의 의미
튜터님께서는 우선 내가 하려고 하는 투자가 어떤 것인지
알고있어야 함을 강조해주셨습니다.
우리가 하려고 하는 지방투자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소액투자? 높은수익률? 자산을 쌓는다?
서울과 다른 지방의 사이클과 부족한 입지독점성을
생각해야하고, 자산을 쌓는 다는 서울투자와 다르게
지방투자는 돈을 번다라는 생각으로
투자마인드를 가져아함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했던 지방투자에 기본을
다시한번 머리속에 새길 수 있었습니다.
2.지방투자의 특징 3가지
그러면 이런 지방투자를 위해 지방투자의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알아야하겠는데요.
이부분에 대해서 3가지를 말씀해주셨습니다.
첫번째 , 00과 00이 짧다.
앞에서 말한것 처럼 지방은
지방만의 사이클을 가지고 있는데요.
지방이라고 다 같은것도 아니고,
도시마다 차이가 나는 것도 재밌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또한 기회를 자주 주고,
지방안에서도 단지마다 상승시기때
오르는 폭과 속도가 다르다는 것 까지
우리가 같은 투자금대비
가장 좋은것을 고르는 이유가 되겠네요.
두번째, 00성
같은 경북권이라고
같은 경남권이라고
같은 전라권이라고
같은 충청권이라고
모두 같이 오르고, 같이 하락하지 않는다.
현재 이미 기회가 지나간 지역
기회가 와있는지역
기회가 오고있는지역의
단지들을 그래프로 보여주시면서
지방투자의 00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세번째, 00투자
이부분은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왜 00투자가 가능한걸까요?
왜 전세가율이 높은걸까요?
그렇다면
투자금이 적게드는게 가장 중요할까요?
실거주가치를 의미하는 전세가와
실거주가치+투자수요를 의미하는 매매가
당연히 서울수도권은 투자수요가 높죠?
따라서 전세가율이 낮게되고,
지방보다 투자수요가 낮은 지방은
전세가율이 높게 된다는 것!!
그리고 더해서 현재 A지역은
전세가하락 → 매매가를 끌고 내려옴 → 줄어드는공급
→ 부족한 전세물량 → 전세가격 상승 → 높아지는 전세가율
이런상황이 오고있다는 것!!
튜터님께서 직접 단지들을 가져오셔서
그렇게 움직이는 단지들을 보여주시니
더욱 이해하기가 쉬웠고,
먼가 기회가 오고있다는 말씀에
강의가 더욱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3.지방 투자 시 우선순위
이 부분은 자모님께서 오프닝 강의에서도
말씀해주신 부분인데요.
다시한번 정리를 하고 싶어서 이렇게 적어봅니다.^^
연식이 중요한가? 입지가 중요한가?
지역마다 다른가?
특히 어려운 비교평가
입지 떨어지는 신축vs입지좋은구축
튜터님께서는 우리들의 이러한 고민을
누구보다 잘 알고있다고 말씀해주시면서
중소도시와 광역시를 나눠서
투자 우선순위를 알기쉽게
설명해주셨습니다.
중소도시와 지방광역시의 우선순위는 다르다.
중소도시는 입지보다는 무조건 연식이지만
광역시의 경우는 입지까지 같이 고려해야한다.
입지좋은 구축도 투자할 수 있다는 말씀!!
현장에서 임장하다보면 이게 이가격이라고? 생각되는
단지들을 보면 그만큼 입지가치를 가지고 있지는 않은지
잘 확인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4.A지역 분석과 게리롱튜터님의 투자관점
A지역은 앞마당이 한개 있긴하지만
생각보다 어려운 지역이라는 생각이 많았는데요.
무엇보다 너무 많은 지역구들인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튜터님께서는 이런 저희들의 걱정을
한번에 해결해주셨습니다^^
큰 소고기를 하나하나 나눠주시고,
꾸워주시고,
떠먹여주시는것 까지!!
물론 강의에서 주신걸 씹기 위해서는
제가 직접 발로 뛰고, 보면서
제것으로 만들어겠죠!!ㅎㅎ
우선 튜터님강의 덕분에 A지역을 투자관점에서
큰틀로 이해할 수 있었고,
튜터님께서 각각 입지분석부분에서
어떤식으로 투자와 연결하는지 까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저는 이부분이 너무 좋았고, 유익했습니다.
단순히 등급을 매기는 입지평가가 아니라
각각의 입지가치가 가지는 의미를
우리가 투자로 볼 때 어떻게 연결해야하는지!!
특히 다른 부분보다 직장(일자리) 입지평가를 할때
조금 단순하게 그냥 숫자로만 파악하고
호다닥 넘어가는 편이였는데요.
튜터님 말씀하신것처럼
인구수를 고려해서 비율로 확인해서
정말 많은것인지 적은것인지
그리고 단순히 직장수 뿐만 아니라
질좋은 일자리가 갖춰져있는지까지
파악해보도록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5.적용할 점
첫째, 직장입지평가 부분 수정
1) 직장의 입지평가 시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인구수 대비 비율로 확인하기
2) 질 좋은 직장인지까지 파악하기
(위치까지!!)
둘째,시세분석 시 각 생활권의 가격을 바로 바로 비교평가
해보면서 가격이 싼지 비싼지 확인해보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