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며칠 전 제 개별주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글을 작성했었습니다.
그리고 지금의 현실, 마이너스 10만원 이상입니다.
PEG가 2.0 정도여서 망설이다 (PEG>1.0 여서)
매수했는데 역시 실적발표 이후 굉장히 하락중입니다.
역시 강사님 말씀(광화문금융러)이 진리인가 봅니다.
교훈삼아 이젠 적정가, PEG 그외 성장률들 꼼꼼히
살피고 미증시 신문 읽으며 흐름를 주시중입니다.
현재(1/31 금) 마소 가격이 적정가보다 많이 떨어진
414.990 달러로 말도 안되게 낮은 가격이기에
이미(250만원 정도 매수함) 1주 만 더 살까 고민하며
분석 중, 애널리스트 들도 거의 매수 권고하는데
이상하게 PEG값이 2.0 이상입니다.
그래서 매수 안했습니다. (나 이제 모범생됨)…
신문에서도 해외 전문 자산가들이 하락가여도
매수말고 현금보유를 권하기도 했고…
벌써 ETF 포함하여 500만원 정도 매수했는데..
강사님이 알려주신 제 성향의 포트폴리오가 망가지지
않게 VIG / MOAT / 현금 이렇게 60% 20% 20%
하려고 합니다.
(질문)
참고로 전 3000만원 정도 투자 계획이였고
현금보유 20% 필요하다고 해서 2400만원을 투자해야겠습니다.
그런데 포트폴리오가 좀 흐트러진 이유는
금융, 임의소비재 ,기술주 ETF 도 소량구매,
엔비디아 1주 괜히 구매하여 비용이 들었습니다.
(마소 4주, MOAT 1주, vig 2주 등 포함해서 )
> 500만원 정도
앞으로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포트폴리오 금액 조정 합리적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광금러님..^ _ ^ )
2. 미국 ETF 매수 이전에 ETF CHECK로 보수율,
자산, 종목들 정도 보았습니다.
가격 떨어지면 매수하면 될까요? 아님
고수님들은 매수 타이밍을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3. 퇴직연금 계좌에 주식형상품중 TDF를
사야 안전하고 배당금도 받는다고 뭐 대형증권사
고문님이 추천을 (타사종목 모두)하시던데
제가 잘 몰라서요. 혹시 TDF가 젤 나을까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ACE S&P500은 다 팔았습니다.
개인연금과 ISA계좌에도 있어서 입니다.
댓글
고정됨 | 시원하게 올라가기님 안녕하세요, 또 뵙네요. :) 에디터라면 1. 현금 보유 비중 20%가 가장 계산이 쉬우니 이것 먼저 금액을 달러로 확보하겠습니다. 2. 이후 VIG 60%는 진짜 정확히 맞추기 어려우니 대략 플러스마이너스 2% 범위대로 투자할 것 같아요. 대신에, MOAT에서 이걸 조정하는 거죠. (예) VIG 59%, MOAT 21%, 현금 20% 60%를 정확히 맞추려다가 거래 단위 초과하면 더 복잡해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미 투자한 금액이 500만원있으셔서 더 계산이 복잡해지신 것 같은데.. 1,900만원만 우선 목표 비율에 맞춰 배분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현금 600만원, 이미 투자한 500만원 뺀!) 그래서 VIG 59%를 매수한다면, 이미 투자한 2주 가격만 뺀 59%를 매수하시면 되는 방식으로 가는 거죠..! 정확히 맞추기는 너무 어려울 것 같아 플러스마이너스 2프로 범위에서 유연히 맞추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시원하게 올라가기님 답변이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응원합니다! :) (흐름을 주시중이신 모습.. 멋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