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도서명 | 부동산 트렌드 2025 |
독서기간 | ~2025.01.31 |
저자명 |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지음 |
출판사 | 와이즈맵 |
핵심키워드 | #골든크로스 #공급부족 #슈퍼사이클 #인플레이션 #임대차2법 #퍼펙트스톰 |
저자가 주려고 하는 원메세지 | 2025 공급부족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 예측과 변화되는 부동산 시장 (오픈런, 팝업, 플래그십스토어) |
한줄평 | 2025년도 부동산 가격 및 상황 예측을 설명해주는 책. 부린이인 나에게는 아직 어렵지만, 재독으로 한번 더 담아가야 할 책. |
본깨적 | ||
페이지 | 본 것 | 깨달은 것 + 적용할 것 |
36 | [서울 아파트 시장, N파고의 등장과 슈퍼사이클 돌입] 아파트 가격은 주식과 달리 한 방향으로 흐름이 정해지면 장기적으로 움직인다. 근래의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만으로는 미래를 예측하기에 부족하다. 장기적인 추세를 살펴보고 그래프가 언제 바닥을 다지고 언제 상승하는지를 보수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
75 | [강남구, 서초구_고가 아파트 시장] 이 지역의 고가 아파트 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는 서울 부동산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첫째, 매우 높은 수요와 안정성을 자랑한다. 둘째,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의 고가 아파트 시장은 우수한 교육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치동과 반포동은 명문 학교와 학원가가 밀집해 있어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위해 이 지역으로 이사한다. 학군 이주 수요는 매매보다 임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뛰어난 인프라와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주거지로서 매력적이다. 이 지역은 지하철과 주요 도로망이 잘 발달되어 있어 서울 및 수도권 접근성이 뛰어나다. |
|
76 | 마지막으로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에는 고급 아파트 단지가 많이 있으며 이들 단지는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 우수한 관리 서비스로 높은 주거 만족도를 제공한다. |
|
77 | [노도성(노원구, 도봉구, 성북구)_중저가 아파트 시장] ‘서초구’는 주거지의 기능이 더 강한 지역이다. 이곳은 업무지구보다는 주거지가 중심인 만큼, 주거 환경이 더욱 중요시된다.
|
|
81 | 대학교와 병원이 제공하는 일자리는 상대적으로 한정적이며, 이로 인해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 |
|
82 | 노도성 지역은 임대 수요가 매우 높다. 성북구는 대학생과 젊은 층이 많이 거주하며, 노원구와 도봉구는 교통이 편리하고 생활 편의시설이 풍부해 꾸준한 임대 수요를 자랑한다. 중저가 아파트는 낮은 초기 투자비용으로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소액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다. |
|
110 | [상승과 하락의 사이클이 주는 인사이트] 첫째, 가격 상승기에는 강남구가 서울 전역에 비해 상승이 1~2개월 가량 선행하는 데 반해, 노원구는 서울 전역이 상승장에 진입한 후 후행해 상승장에 들어간다. 고가 주택에 대한 수요가 먼저 몰린 후, 서민 주택으로 수요가 확산되는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다. |
|
111 | 둘째, 부동산 상승기와 하락기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부동산은 주식처럼 짧게 보유하고 빠르게 매도할 수 있는 상품이 아니고 최소 몇 년은 보유하는 상품이다. 따라서 사이클에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가격 변화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된다. |
|
112 | 셋째, 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진다. |
|
130 | [서울시 전세가격은 언제나 우상향했다] 부동산은 계절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전 분기 혹은 이전 월 대비 상승률은 전반적인 패턴 분석에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 따라서 전년도 동월 혹은 동분기와 비교하는 게 의미가 있다. |
|
153 | [PF 대출 연장이 개발을 가로막는 이유] 우리나라 부동산 PF대출은 ‘브릿지론’과 ‘본PF’라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브릿지론이란 토지 매매 계약상 인허가 완료 이전에 잔금을 완납하는 조건인 경우*, 본 PF 이전 단계에서 토지의 담보력과 차주의 신용을 담보로 토지잔금을 대출하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인허가 완료 이전 디벨로퍼가 금융기관의 대출(브릿지론)만을 이용해 토지를 깔끔하게 내것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
|
189 | [금융시장: 시점이 문제일 뿐, 금리는 인하된다] PF 사태를 바라보며 주의해야 할 것은 서울과 지방을 보는 시각이 달라야 한다는 점이다. 서울 같은 경우 토지 가격이 2~30%만 하락해도 프로젝트가 다시 시작돼 언젠가는 인허가가 될 확률이 높으나, 지방은 아예 수익성이 안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여전히 미분양이 넘치는 지방 부동산은 희망적으로 보기 어렵다. |
|
301 | [노도성 아파트 가격 예측] 어느 지역 간의 가격 변화를 비교할 때 ‘누적 상승률’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이유다. |
|
읽고 드는 생각 정리 | 좋은 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왜 높은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었고, 노도성에서 젊은 층이 많아 임대수요가 더 많다는 것에 대해서는 새로 깨닫는 내용이었다. 아직은 어렵지만, 앞으로 부동상 방향을 바라볼 때, 약간의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아직 부린이로 모든 내용을 꽉 차게 담기에는 어려웠고, 재독으로 풀어가야할 것 같다. | |
이 책에서 내 삶에 적용할 원씽!! | 계속해서 앞마당을 늘려 나가고, 매매가와 전세가 시세 트레킹을 통해 내가 아는 것을 쌓아가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댓글
냥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