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 부동산 트렌드2025(25.02) 독서후기

  • 25.02.02

책 제목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대표 필자 김경민( 권현진, 김도경, 소하영, 이현승, 최성은)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5.01.3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슈퍼사이클  # PF연장 # 인플레이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1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서울대학교 지리학 박사, UC버클리 정보시스템 석사를 거쳐 하버드 대학교에서 도시계획, 부동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 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 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중. 지은 책으로 빅데이터로 부동산 시장을 분석한<부동산 트렌드>시리즈와 도시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도시개발, 길을 잃다> 등이 있다. 조선일보 월 1회 연재중, SBS, MBC, KBS등 김경민의 노트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부동산 트렌드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이 책은 부동산 시장 '대세상승'이라는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부동산 시장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
전세값 상승 이슈 : 부동산은 장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자산이다. 최소 1년 이상의 트렌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 p.15 
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을 분석하지 못해서 정책 실패 예정 : 너무도 다양한 정보가 빠르게 유통되는 시대다. 소비자는 전문가 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민첩하게 움직인다. - p.23
고가아파트 시장은 서울 부동산 시장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 - 서울의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은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P.63 
인플레이션 - 복합적인 경로를 통해 주택 시장에 충격을 주는데 크게 두개의 측면(수요와 공급)으로 설명 할 수 있다. 

-P.97  
부동산 가격은 공간시장(space market)과 금융시장(Capital market)의 두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다. 수요와 공급, GDP성장, 인플레이션, 부동산 인허가, 시공비 등 다양한 변수 작용 - p.153 
대장 단지 분석으로 보는 서울 부동산 6가지 인사이트(대장 단지들이 전 고점을 돌파하며 상승중, 금리 인하는 시간문제, 공급부족 : 거래량과 매매가격이 같이 증가, 강남3구의 상승세가 전이될 전망, 신축 아파트의 상승제가 퍼져나간다,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이 예상) - p.234  
서울시 집값 시나리오 : 매매 수요는 여전히 충분, 금리변화는 부동산 수익률에 직접 영향 미친다. - p.243 
2024년 중반에 시작된 부동산 슈퍼사이클은 장기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이크다. 이는 결국 시장의 자율적인 힘이 정부의 개입을 이길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시장개입보다 더 나은 사회적 환경 조성하는 노력 필요  - p.252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NEW리츠"정책 - p.255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p.39 수도권 부동산 시장을 한강을 기준으로 나눠보면, 한강 이남 지역에서는 수도권으로의 가격 확산이 활발히 진행 중인 반면, 한강 이북 지역에서는 이런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의 일자리와 직주근접성에 비롯된다. 
- 입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장과 직주근접이 비롯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동산의 중심이 된 강남이 된 이유

 

p.78 변화는 언제나 누군가에게는 위기가 되고 또 다른 사람에게는 기회가 된다. 

- 서울시 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주택가격상승, 전세, 월세 가격 상승, 주거 안정성 악화 될 수 있다는데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의사 결정을 해야할 것이다. 
앞으로 내집 마련이나 서울 투자 고려할때 내 개인의 가용예산 범위 내에서 의사 결정할때 미래의 상황에 진지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1) 부동산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 - 단기 이동평균성, 장기 이동평균성 부동산 시장에서도 상승신호를 어느 정도 파악 할 수 있다.
2) 서울에서는 내가 못 할것 같은 생각이 너무 컸는데 이 책을 읽으니 전체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파악 할 수 있었고 지역들을 잘 알아 놓고 나중에 좋은 선택을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3) 부동산 전세사기 이슈를 보며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 재앙으로 봐야겠다 그리고 미리 방지하기 위해 진지하게 고민을 해봐야겠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
:p. 161 자기자본과 LTV 조건만 맞으면 주택의 상향 이동을 시도할 수 있다. - 담보대출로 50%할시에 개인의 생활수준은 올라갈 것인가?, 좋은집으로 평수가 아무리 넓다 해도 만족이될까? 2030주로 경제에 참여 하고 있는데 2030 집마련시 어떻게 볼것인가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김난도 저자의 코리아 트렌드 시리즈


댓글


천사qip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