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투울라] 독서후기 #부동산트렌드2025

  • 25.02.05
1. 책의 개요

책 제목

부동산트렌드2025

저자 및 출판사

김경민 / 와이즈맵

읽은 날짜

2024. 2. 4.

총점 (10점 만점)

7점/10점
2. 책에서 본 것

PART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Key words : #공급부족 #연담화

[내용 요약]
- 부동산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골든크로스’가 발생했다.

- 전체 거래량 중 매매 거래량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인접한 곳이 어디냐에 따라 가격 상승이 다르다. 강남, 분당, 수지는 연담화되어 있다.

- 마포구는 강남구와 비슷한 가격 변동 패턴을 보이며 동조화현상을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상승세가 일산과 파주로까지 확산되지는 않고 있다.

- 고가 VS 중저가 시장 비교로 보는 시사점

1) 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상승의 시차가 존재한다.

2) 고가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3) 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 서울시 공급 절벽의 3가지 파급효과

1) 서울시 주택 가격이 상승한다.

2) 전세 및 월세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3) 주거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PART3. 2025년 부동산투자 빅이슈 TOP6

Key words : #슈퍼사이클 #인플레이션 #전세가격폭등 #PF사태 #공급절벽

[내용 요약]
1) 가격상승기에는 강남구가 서울 전역에 비해 상승이 1~2개월가량 선행하는데 반해, 노원구는 서울 전역이 상승장에 진입한 후 후행해 상승장에 들어간다.

2) 부동산 상승기와 하락기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3) 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진다.

- 신축 아파트 물량 공급이 과거에 비해 적어, 신축 아파트가 구축 아파트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을 갖게 된다.

- 공사비는 한 번도 내려간 적이 없다.

- 전세가격은 큰 틀에서 항상 우상향했다.

- 전세가격 상승의 3가지 원인

1)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월세 및 전세가격 상승

2) 입주물량의 부족

3)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포비아’

3. 책에서 깨달은 것

[깨달은 점]

- 서울의 경우 공급 부족과 빌라포비아로 인해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그에 따라 매매가격도 상승한다고 말하고 있어 25년도에 대세상승장이 온다고 얘기하고 있다.

4. 책에서 적용할 점

[적용할 점]
이 책은 대부분이 데이터기반의 이야기로 후행지표를 가지고 이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시장을 알 수 있는 것은 현장에 부딪히면서 시장을 몸소 느끼는 게 더 빠르다고 생각한다. 경험상으로도 그랬고.

- 결국 알아야 할 것은 서울 전세가격 상승은 예견되어 있고 그로 인해 매매가도 끌어올릴 거라는 사실. 그리고 지방은 미분양의 무덤이다.

->  투자자에게는 상당히 좋은 시장이다. 지방은 하락장이라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고 수도권에도 좋은 기회가 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을 하면서 이 시간을 보내야 할까?

내 투자금에 맞는 지방부터 보면서 수도권에 한번씩 올라가 상황을 파악하는 게 나에게 맞는 행동이 아닐까 생각된다. 내가 할 수 있는 걸 해나가면서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자.


댓글


투울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