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책의 개요 | |
책 제목 | 부동산트렌드2025 |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 와이즈맵 |
읽은 날짜 | 2024. 2. 4. |
총점 (10점 만점) | 7점/10점 |
2. 책에서 본 것 |
PART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
Key words : #공급부족 #연담화 |
[내용 요약] - 전체 거래량 중 매매 거래량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 인접한 곳이 어디냐에 따라 가격 상승이 다르다. 강남, 분당, 수지는 연담화되어 있다. - 마포구는 강남구와 비슷한 가격 변동 패턴을 보이며 동조화현상을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상승세가 일산과 파주로까지 확산되지는 않고 있다. - 고가 VS 중저가 시장 비교로 보는 시사점 1) 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상승의 시차가 존재한다. 2) 고가아파트 시장에서는 권역 동조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3) 중저가 아파트 시장에서는 비동조화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 서울시 공급 절벽의 3가지 파급효과 1) 서울시 주택 가격이 상승한다. 2) 전세 및 월세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3) 주거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
PART3. 2025년 부동산투자 빅이슈 TOP6 |
Key words : #슈퍼사이클 #인플레이션 #전세가격폭등 #PF사태 #공급절벽 |
[내용 요약] 2) 부동산 상승기와 하락기는 매우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3) 부동산 사이클이 짧아진다. - 신축 아파트 물량 공급이 과거에 비해 적어, 신축 아파트가 구축 아파트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을 갖게 된다. - 공사비는 한 번도 내려간 적이 없다. - 전세가격은 큰 틀에서 항상 우상향했다. - 전세가격 상승의 3가지 원인 1)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월세 및 전세가격 상승 2) 입주물량의 부족 3)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포비아’ |
3. 책에서 깨달은 것 |
[깨달은 점] - 서울의 경우 공급 부족과 빌라포비아로 인해 전세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그에 따라 매매가격도 상승한다고 말하고 있어 25년도에 대세상승장이 온다고 얘기하고 있다. |
4. 책에서 적용할 점 |
[적용할 점] - 결국 알아야 할 것은 서울 전세가격 상승은 예견되어 있고 그로 인해 매매가도 끌어올릴 거라는 사실. 그리고 지방은 미분양의 무덤이다. -> 투자자에게는 상당히 좋은 시장이다. 지방은 하락장이라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고 수도권에도 좋은 기회가 오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나는 무엇을 하면서 이 시간을 보내야 할까? 내 투자금에 맞는 지방부터 보면서 수도권에 한번씩 올라가 상황을 파악하는 게 나에게 맞는 행동이 아닐까 생각된다. 내가 할 수 있는 걸 해나가면서 성장하는 투자자가 되자. |
댓글
투울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