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오옹] 부동산트렌드 2025 독서후기

책 제목 : 부동산 트렌드 2025

 

키워드 3가지 : 관점 / 경제 전반 / 투자의 기준 

 

신축아파트와 구축아파트의 가격 차이

신축아파트와 구축아파트의 가격차이가 크게 벌어질 때는

사람들은 결국 리모델링을 하는 선으로 구축아파트에 거주할 수 있음.

→ 그렇다면 구축아파트도 관심망에 들어갈 수 있음.

 

전세가격 상승의 원인

인플레이션, 입주물량 부족, 전세사기로 인해 빌라포비아

인플레이션은 공사비 상승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으로 수입, 수출과정에서 더욱 상승할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됨)

입주물량 부족 ( 서울 시 예정 입주물량은 작년부터 부족하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고 현재 물량을 보더라도 아직 부족함. 급하게 토지를 매입해서 물량을 늘리기에는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넘어야 할 것들이 많음. 더 나아가 서울에서의 입주물량은 부족하지만 지방에서는 악성미분양이 아직 늘고있음. 해당 추세를 보았을 때 우리나라의 인식자체가 지방에 살더라도 서울 부동산을 본다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음 → 매매가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

빌라포비아 (빌라에 거부하는 사람들이 많음. 그럼 결국 주거를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로 몰릴 수 있음. )

 

나의 생각

그동안 다양한 매체에서 인사이트를 얻어갔지만 해당책을 통해 이를 전반적으로 정리한 듯한 느낌이 들었다. 대한민국에서 보유자산의 형태가 가장 큰 부동산은 결국 우상향을 한다고 했을 때 (전세가격 상승, 정부의 정책, 인플레이션) 나는 결국 한정된 나의 종잣돈으로 어떠한 아파트를 결정해야 할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나의 투자의 기준’을 지속적으로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생각이 든 것이다. 해당 책에서 예시를 든 아파트들도 결국 ‘사람들의 선호도’가 있는 아파트 였으며 강남집값이 무섭게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내가 강남을 못산다는 것에 초점이 아니라 결국 ‘선호도’가 있는 아파트는 상승 할 수 있다는 것과 그 상승에는 순서와 흐름이 존재한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항상 큰 트렌드를 이야기해주는 책은 가장 유익한 점이 ‘시장을 크게 볼 수 있는 시야를 키워갈 수 있다.’라는 것이다. 결국 임장을 해나가고, 아파트를 볼 때 ‘이 아파트는 선호도가 어느정도 될까?’라는 생각을 지속적으로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반성해보면 ‘나는 그때 너무 조급하게 투자하지는 않았나?’라는 생각을 해보며 해당 반성 갖고 어떻게 앞으로 나아갈지, 앞으로의 투자방향은 어떻게 해나가야 할지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였다.

 

고민되는 점

책의 저자는 부동산과 금리인하, 인플레이션 등 여러가지의 요소를 이야기하며 부동산의 가격이 변동된다는 부분을 이야기해주셨습니다. 실제로 이렇게 시야를 크게 해서 바라본 적이 있는지, 시야를 크게 해서 바라보기 위해서 하는 노력이 있다면 어떤 것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소오옹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