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25.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외5인.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1월25~2월2일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슈퍼사이클  # 짧아진 사이클 주기   # 초양극화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

 

 

1. 저자 및 도서 소개 

 : 김경민 교수

현재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시계획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빅데이터 기반으로 부동산 시장 분석, 글로벌오피스 비교,공공 민간협동 개발을 연구하고 구준히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

2023,2024년 부동산 트렌드에서도 정확하고 구체적인 예측을 하신 분으로 알고있다.

 

 

2. 내용 및 줄거리

 

  1. 슈퍼사이클 진입

    :   준거가격(2018-2019년)에서 저점시기(2022년 말~2023년 초) 저점 찍고 반등

          24년 상승전조의시기를 지나 골든크로 스가 발생했다. 25년 수퍼 사이클로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와 다르게 움직이고 있고 이것은 글로벌 도시들도 마찬가지인 글로벌 현상이다.

     

  2. 사이클 주기가 짧아졌다

    :  2009년 급등 2010년 급락 - 1~2년 상승장 후 하락장 4년(2010~2013)

       2013년 급등 2022년 급락 - 10년 상승장 후 하락장  15개월(2021후반~2023초반)

        현재의 상승장은 1,2년 아니고 10년도 아닌 그중간 어디쯤으로 보인다.

     

  3. 초양극화 양상을 보인다

     :  도시내의 슈퍼스타-강남, 압구정, 반포, 청담, 성수, 한남 (분당 안들어감)

      장기적으로 고가 주택과 그외 주택의 누적 상승률은 같을 것이나 레벨차이는 커진다.

      지방과의 격차는 해소할 수 없다 (인구감소, 소득격차, 미분양물량 등의 이유)

      강남, 마용성 수요는 더 늘어난다.

 

      : 인천. 경기 지역 2006~2015 까지는 서울과 매매가격지수 동행했으나 2016년 이후 차별화 발생.

            -서울인접, 경부고속도로 인접지역은 서울 영향을 받겠지만 다른 지역은 영향 받지 않는다.

              2020년 초반의 코로나 유동성 상승기를 기대하면 안된다.

  4. 공급부족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5. 인플레이션

       : 월세 대폭등- 2020년 대비 30~40% 올랐음. 수익률 매력적.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 10억에서 15억 갈 수 있음.

      : 시공비 30~40% 올랐음(건축비,공사기간)- 신규주택 가격상승은 당연하고 구축가격 상승으로 이어짐.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파트4에서 구별 대장 단지를 분석해 주는 부분은 구체적이고 상세해서 정보를 얻기에 좋았다.

    파트6의 상권과 핫플레이스 분석 또한 생각해보지 않았던 상가부동산과 상권흐름을 접해 볼수 있는 기회였다.

 :  김경민교수의 그동안의 예측이 거의 맞아 신뢰가 더해졌고 

    위의 내용을 토대로 투자의 방향을 잡아 갈 수 있어서 도움이 되었다.

   폭락론에 흔들리지 말고 꾸준히 준비하고 투자해야 되겠다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할 수 있는 한에서 서울 입지 좋은 곳에 잃지 않는 투자를 반드시 해라!! 

 

 

 


댓글


따뜻한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