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나] 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후기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읽은 날짜 : 25. 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사이클    #가격 상승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대표 저자 김경민, 서울대 지리학 학사 현 서울대 환경대학원 도사 계획 전공 교수 2025년 부동산의 전망과 그간 부동산의 흐름을 정리해 주셨다. 거주의 부동산과 상업지역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부동산의 트렌드를 이야기하였고 전망 또한 내놓아 주셨다.

 

 

2. 내용 및 줄거리

 :4년째 이어온 시리즈, 25년의 부동산은 슈퍼사이클의 파도를 타는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으셨다. 인플레이션, pf 사태, 공급의 끊김, 금리 등의 이유로 부동산은 대세 상승의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이야기

고점과 전 고점, 서울의 각 대장 부동산들이 어떤 형상을 겪고 있고 앞으로 어떤 흐름으로 나아갈 것인지 서술되어 있으며 트렌드는 어떻게 나아갈 것인지 나와 있다. 또 상업의 이야기도 있는데, 상권 하면 떠오르는 유명한 서울의 상권가들의 전반적인 히스토리 현재의 상황 앞으로의 상황을 내다보았고 마지막 큰 이슈인 전세 사기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해경 방안을 제지해 주셨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서울의 부동산에 대해 한 번 더 집어볼 수 있었고, 텍스트를 통해 전문가의 입장에서 부동산의 전반적인 견해를 들으니 몰랐던 사실과 역사에 대해 알 수 있어 흥미로웠다. 상권에 대한 이야기 또한 몰랐던 이야기가 많아 지식적인 측면에서 많은 도움이 되었고 재미 또한 있었다. 또 전세 사기에 대한 경각심을 한 번 더 느낄 수 있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부동산, 특히 서울의 부동산은 잘 알고 노력하여 공부한다면 승리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과 현 나의 상황과 내가 가지고 있던 플랜에 대해 더 견고해지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감사했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30: 역사적 전 고점도 시기의 문제일 뿐 돌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필자는 본다. 즉 서울은 N 파고를 넘어 W 파고의 가능성까지 존재한다.

32: 부동산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뚫고 올라가는 골든크로스가 발생했다.

39: 서초구를 중심으로 가격 확산 현상이 두드러진다. 서초구에서 시작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주변 지역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65: 신축 프리미엄이 붙는 경우 서초구의 아파트 가격이 강남구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아질 수 있다.

68:노도성 지역이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가격이 정체되고 있는 이유는 몇 가지 중요한 요인들 때문이다. 우선 이 지역은 강남에 접근하기가 어렵다.

또한 여의도로의 접근성도 좋지 않다.

노도성 지역에서 접근할 수 있는 주요 직장 중심지는 광화문 정도다.

91: 전반적으로 강남구는 서울시 전역보다 조금 앞서 반등이 시작되고 하락은 늦게 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시공비는 내려간 적이 없다.

101: 현재 우리나라의 시공비 상승 수준은 전년도 동월 대비 시공비 상승률로 볼 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이다.

103: 신축 아파트 물량 공급이 과거에 비해 적어, 신축 아파트가 구축 아파트보다 더 높은 프리미엄을 갖게 된다.

109: 전세가격은 큰 틀에서 항상 우상향했다.

118: 빌라가 서울시 전체 주택 수요의 50%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빌라 세입자들이 아파트 시장으로 넘어가면 그 파급 역은 상당할 것이다.

122: 매매 비중의 점진적인 상승과 매매 거래량의 증가는 시장이 정확히 바닥을 지났다는 신호를 보여주며 슈퍼사이클의 문을 열고 있다.

251: 서울시 전체 아파트 가격에 대해 살펴보자면, 보든 지역에서 2021년 고점을 돌파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지역별로 그 시점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252: 2024년 중반에 시작된 부동산 슈퍼사이클은 장기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316: 개인 역시 전세를 바라보는 시선을 바꿀 필요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전세는 안전한 제도로 알고 있고 자본 축적의 기회로 삼고 있다. 하지만 누구든 전세의 법적, 금융적 리스크에 대해 알아야 한다. 전세란 최악의 경우 보증금을 날리고 빚만 남게 될 수도 있는 위험한 제도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훨훨, 입지 센스 한 번의 선택으로 부의 계급을 높이는 부동산 투자의 감각




댓글


내일의 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