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남들에게 보여 주는게 아닌 내가 볼꺼니까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적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뻔한 얘기지.. 라고 생각했지만, 사실 그 뻔한 거 실천하고 있었나? 반성하게 됐습니다.
통장쪼개기, 연금저축, ISA, IRP,, 아 복잡해,, 그래서 얼마나 쓰라는 걸까?
자세히 찾아보고 알면 해야지, 라고 하면서 미루다가 점점 나 편할데로 돈을 펑펑 썼네요.
월급수비는 불편한건데, 외면했어요.
아무 생각없이 회사분들과 “우리 아껴야합니다. 20만원만 쓰기!” 라고 내기했는데,
강의 들으면서 뼈맞았습니다. ㅋㅋㅋ
이제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생활비, 활동비, 주거비, 교육비, 비정기, + 탕진비!
결국 중요한 건 50% 이상 모으기!
이제 알았으니, 더 미루지 말고 실천하겠습니다.
10년 안에, 너나위님께 배워서, 너나위님보다 부자되어 연락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1. 지금 나의 돈관리 점수는? >
1) 본것
돈과 자본주의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세전, 세후 소득 알아보자
투자 잘해도 저축이 없으면, 따라잡는데 25년걸린다
투자 잘 배워둬야 시간의 복리로 유리해진다
10년 후 회사는 취미인 선배로 되자
1단계 많이 번다, 2단계 덜 쓴다, 3단계 잘 굴린다
바꿀 수 있는 것에만 집중하자 (2, 3단계)
2) 깨달은것
나 잘 모르네,, 까먹었구나..
3) 적용할 것
버는 걸 당장 올릴 수 없으니, 관리해서 덜 쓰자!
< 2. 모으고 굴리는 너나위의 소비공식 (통장 최적화) >
1) 본것
돈을 버는 과정에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알게 된다
목표 : 소득의 55%저축해서 이상
- 평균연봉인 직장인이 55% 모으면 6년에 1억된다.
왜 1억? → 갭투자 할게 많다.
월급관리 핵심
1. 얼마버는지 알아야한다 (월급, 보너스)
2. 지출 구분을 한다
저축(투자)/ 생활비 / 활동비 / 교육비 / 주거비 / 비정기 지출
→ 마케팅에 속아서 카드 쓰지마라!!!!
3. 지출 구분별 필요 금액을 안다
4. 지출 지키며 꾸준히 반복한다
– 수비하는 법 (월급 55법칙)
21일 월급 발생 -→ 급여통장 100 → 매달 1일에 각 통장으로 이체시킨다!
- 생활비 10 → 식비, 생필품, 공과금
- 활동비 10 → 본인, 배우자
- 주거비 10 → 이자비용
- 교육비 10 → 어느정도 모으고 써라
- 비정기 5 → 경조사, 여행 → 적립을해라
= 지출 45
모두 체크카드로 해라, 카드사의 교묘한 계략을 이겨라!
돈을 틀어쥐어야 한다
한번 해보고,, 도저히 안되는 걸 찾아보면 된다.
꿈=목표가 있어야 방향을 잃지않고, 기분이 좋다.
혜택? 신용카드 써서 돈 잘 모으고 부자된 사람 있냐?
잔고를 보고 남은 금액으로 어떻게 쓸지 생각한다
1달치 결제내역을 보고, 목돈이 된 비용을 줄이면 저축률은 올라간다
2) 깨달은것
뭉쳐서 굴려야지 분산하면 못굴린다
마케팅에 속아서 신용카드 쓰지 말고, 그냥 혜택대신 돈 더내라 ← 패착
지출 구분을 안했구나,, 보너스를 흐지부지 날려보내고 있었구나..
통장쪼개기 드디어 이해했다. 왜 1일에 모두 이체해야 하는지,,
돈에 끌려다니지 말고, 틀어쥐자
어렵다 생각말고, 일단 해봐야 했다. 비율을 조절하면됨
그리고 내가 얼마나 모을수 있는지 계산해보자!
여행가서 돈쓰고 돌아올때 행복하지 않다..
3) 적용할 것
55% 저축하는 5가지 생.활.주.교.비 만들자
마케팅에 속아서 카드 쓰지마라!!!! 체크로 바꾸자
< 월급으로 바로 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재테크 방법 (포트폴리오 최적화) >
1) 본것
수비를 알고, 공격을 하자.
저축을 포기하지말고, 55비율을 바꿔라
현명한 직장인 → 일확천금X, 꾸준히 투자
씨앗을 심는다, 좋을 곳을 계속 넣는다
부동산 투자는 자산을 쌓는거다, 폭발할때까지!
일확천금을 노리고 사고/파는 게 아니다.
always Beta - 7% 10년 후 2배
sometimes Alpa - 14% 이상, 5년 후 2배
투자를 안하면 1년 그냥 지는거다
베타투자 - 연금저축, ISA : 세제혜택
열심히 할것인가, 여유만 즐길 것인가?
리밸런싱을 해야 5.5% 수익을 낸다, 6개월에 한번씩
연금투자는 22.5% 먹는거다, 잊지말자. 16.5% + 5.5%
2) 깨달은것
투자를 안하면 가만히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진다!
유럽처럼 vs 미국처럼
주변이랑 협의해서 같이 자빠질것인가?
연금저축 50만원씩 필요하네? 600넣고, 100을 돌려주네?
리벨런싱 처음 이해했다. 왜 알려고 안했을까,,
난 퇴직연금 DB(확정급여형) vs DC(확정기여형) 5.5% 이길까?
3) 적용할 것
55% 모으자
연금저축 50씩 넣고, 굴리고 리밸런싱하자.
< 세금, 연말정산, 보험 등 필수 재테크 상식 >
1) 본것
주식은 현금, 부동산은 레버리지, 그래서 부동산은 수익률이 더 높을 수 있다.
나에 대한 이해 : 나는 어떤 투자가 맞을까?
월급과 세금)
소득세, 국민연금 4.5%, 고용보험 0.8%, 건강보험 3.5%, 장기요양보험 0.8%
바꿀수 있는건 종합소득공제! 세액공제!
종합소득공제 : 인당 공제 + 카드사용공제
세액공제 : 보험, 연금,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2) 깨달은것
주식 vs 부동산 은 계속 고민된다.
실업급여를 내가 주는 것이라니.. ㄷㄷ
월급에 차감 되는 세금들에 대해 이해하게 됐다
어머니 의료비가 잘 포함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겠다
자동차보험 + 운전자보험 붙일수 잇는지
‘민원해지’ 검색
3) 적용할 것
어머니 요양소 의료비 문의하자.
운전자보험 확인하자. 2,500원인데?
<돈을 못 모으게 만드는 가장 큰 적 5가지>
1) 본것
목표부터 역산해서 time table 을 그려라. 일할때처럼!
월급 5배 넘는 차량운행,
연간 예산 감안안한 여행, 여행경비 아냐? 5%
보험가입 X
과한 음료 월급 5%이내
술 월급 5%이내
30년 벌어서 70년 생존해야한다.
금수저도 푼돈 얼마 번 사람도, 장기간 돈 다룰 줄 모르면 위험한 건 마찬가지다.
2) 깨달은 것
목표부터 정해서, 시간을 뒤로 하면서 할것을 치열하게 찾아 가자
나 뭔가 외면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 → 감정 → 행동 → 세상
3) 적용할 것
목표를 잡자, 역산해보자
<나에게 맞는 투자는? 주식vs부동산>
1) 본것
수영이 할줄 알면 위험하지 않듯이, 투자도 할 줄 알면 위험하지 않다.
대출이 문제가 아니다, 대출쓰는 사람이 문제다! (좋은 자산을 살때만 쓴다)
서울아파트는 원래 10년 이상 모아서 사는거다, PIR이 10이면 사야할 기회!
주식 vs 부동산 = 다수 vs 소수
호기심 왕성 / 분석적 / 논리적 / 회계지식 / 줏대 → 주식투자 (T)
관찰자적 태도/ 수용적 / 활동적 / 근면성실 / 줏대 → 부동산 (T/F)
절대로 돈을 잃지 마라! 잃지말고 오래하면 된다.
2) 깨달은 것
이성적/인내심 → 모든 투자, 아니 성공의 기본이다
F의 기질을 탓하지 말고, 학습이 되면 된다.
벌지 말고, 잃지 않는 것에 집중하자!
오래하면 되는데, 빨리 부자되려고 조급했다. 10년 금방간다.
탕진비 5% 너무 좋다.
3) 적용할 것
내 성향은 부동산쪽인거 같다.
생.활.주.교.비. + 탕진비 5%ㅋㅋㅋ 세팅하자.
댓글
스캇K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