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중반 43기 49조 레인2]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독서후기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라하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님, RH코리아

3. 읽은 날짜: 2025년 2월 8일-9일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5. 부동산(아파트)투자 가이드북

 

STEP2. 책에서 본 것

 

1장 WHY

-자본주의 시대에 대한 인지 

 

2장 DIRECTION

p.80 소비자산 vs 생산자산

p.88 직장인의 비근로소득 창출 6단계 

→ 자본주의의 원리를 깨닫고 투자라는 수단으로 부를 쌓은 사람들이 사용했던 방법

 

3장 WHAT

#입지 #저평가 #비교평가

p.122 내가 투자를 결정할 때 첫번 째 기준으로 삼는 것은 ‘해당 물건이 현재 저평가된 상태냐 아니냐’하는 것이다. 이것이 ‘잃지 않는 투자’의 선결 조건이다.

p.123 엄청난 호재가 있어도 그것이 부동산 가격에 이미 반영되어 저평가된 상태가 아니라면, 그 대상에 투자하지 않는 것이 좋다. 부동산 투자에서 잃지 않는 투자를 하고 싶다면, 이 말을 꼭 명심하길 바란다. 

p.131 당신이 부동산 투자를 통해 좋은 성과를 내고 싶다면, 부동산의 가치를 볼 줄 아는 안목을 갖춰야 한다.(저평가) 

문제는 그 가치가 쉽제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며, 그래서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부동산의 가치는 입지로 결정된다. (p.114입지는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그 위치만이 가질 수 있는 특성, 대표적으로 ①일자리 ②교통 ③환경 ④학군) … 네가지 가치 요소가 기준이다. 이 요소들을 따저본 후 다른 것과 비교해 보는 과정을 거쳐야만, 해당 물건이 싼지 비싼지 판단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비교평가’ 다. 이것이야말로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p.132 비교 대상이 많을수록 물건의 가치 판단은 정교해질 수밖에 없다. 

 

#막연한 두려움 #경험쌓기 

p.139 나는 당시 대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 막상 경험이 없으니 그 두려움을 완전히 떨칠 수가 없었다. … 이 기회에 오랜 기간 내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던 두려움을 극복해 보고 싶었다. 

p.140 사실과 다른 고정관념과 선입견에 여전히 발목 잡혀 있는 사람들 (…) 그때 내게 가장 중요한 화두는 ‘잃지 않는 선에서 경험 쌓기’ 였다. (…) 인간이 무언가를 배운다는 건, 결국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얻는 살아 숨 쉬는 경험과 교훈으로 실력을 가다듬는 과정이 아닐까? (…)가진 돈이 많지 않는 상태에서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려면 필연적으로 여러 번의 투자를 해야 한다. 그렇기에 지역이나, 물건, 상황도 많이 겪어본 사람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다. 

p.144 가지고 있는 자산의 가격이 클수록, 즉 비쌀수록 매매가든 전세가든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나는 부동산의 절대 가격에 있어서는 가급적 상한선을 두고 투자를 하는 편이다. 

 

#시세트래킹

p.147 ‘임장 후 모니터링’은 각 지역의 부동산 시세 흐름과 변화를 찾아내고 그 원인을 공부함으로써 투자에 대한 안목을 쌓는 데 도움이 되는 아주 좋은 방법이다. 

 

#잃지않는 투자 

 p.161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

p.163 ‘준비된 자에게 기회가 온다’라는 말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서 ‘아는 지역이 많아야 투자 시점에 보다 빨리 자신 있게 실행할 수 있다.’라는 의미라고 (…) 투자할 수 있는 상황이든 아니든 아는 지역을 넓혀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발로 걸어야 아는 지역이 된다. 

 

4장 CONCEPT

#투자기준 

p178 무조건 좋은 지역에 투자할 생각을 하기보다, 먼저 자신이 세운 투자 기준에 충족되는지 살핀 후 그 안에서 가장 좋은 지역에 투자하는 순서를 따르자. 

p.215 ① 저평가된 것이 확실한가? ② 전세가율이 높아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며, 건당 리스크는 작은 물건인가? 

+ p.230- 231 시스템 투자법!

p.223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다.  

p.257 투자의 기준을 제대로 세우려면 직접 경험해 봐야 한다. 

 

5장 HOW 

p. 273 임장 지역 선정 기준과 순서

p. 293 특정 단지만 골라서 조사할 것이 아니라, 임장지역 내의 모든 아파트를 조사해야 한다는 점이다. 모든 단지와 모든 평형의 가격을 파악해 봐야 한다. 

p.308 노하우와 기술보다 중요한 건 다름 아닌 ‘태도’라는 걸 기억하라. 

 

6장 MIND

p.330 상황은 그저 팩트다. 사실을 두고 옳고 그름을 따지지도, 가치 판단도 하지 않길 바란다. (…) 불평과 불만으로 허송세월할 것인가, 지금 상황에서 스스로 바꿀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고 무엇을 할지 찾을 것인가. 

알았다면 행하라.

P.335 순서를 따르고 반복할 것

①경제와 투자 관련 서적 읽기 

②투자 관련 강의를 듣고, 오프라인 모임에 참석하여 투자 동료 만들기

③실제로 투자 실행하기 

④1-3번까지를 반복하기 

 

p. 343 월부 모토 “빨리 가려면 혼자 가고,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p.351 반드시 투자에 필요한 절대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 단순히 개인의 의지와 열정으로 부딪히려고 하지 말고, 우선순위를 정한 후 이를 충분히 따르는 것이 현명하다. 

p.356 ‘문제의 원인은 내가 아닌 상대에게 있다.’라는 식의 아마추어 같은 사고를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프로의 태도로 바꾼 것이다. 

p.358 어차피 투자는 평생 해나갈 일이다. 

p. 360 성공적이고 무엇보다 꾸준한 투자를 하려면, 예상되는 갈등 상황을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p.369 ‘아는 것’에 그치지 말고 '행동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NEW

p.375 이는 시장을 보는 안목과 저평가된 지역과 물건을 구분하는 능력을 갖추었다면, 지난 15년간 지역을 바꿔가며 끊임없이 투자해서 수익을 낼 수 있었다는 말이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부동산(아파트)투자의 정석과 같은 책! 읽을 때마다 느끼는 바가 다른 점이 흥미롭다! 이전엔 글로만 읽혔다면 이제는 나의 상황과 맞물려 적용시켜 볼 수 있는 부동산 투자 가이드 북이 되었다. 너나위님의 투자 원칙과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어 너무 좋았다. 다만 나의 투자에 적용하기까지 망설이게 되는 이유로 입지 분석과 비교 평가에 대한 부재임을 다시 한번 깨닫고 상황 탓만 하고 있는 것이 아닌 지금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특히나 인상 깊었던 점은 너나위님이 막연한 두려움에 대처하는 자세였는데 대출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꺼이 배움을 택한 열정이 놀라웠다. 현재 상황에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사실을 왜곡하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고, 독서에 늘 게을러서 열중반을 신청한 계기가 되었는데 역시나 독.강.임.투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깨닫는 소중한 시간이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P.335 순서를 따르고 반복할 것

①경제와 투자 관련 서적 읽기 

②투자 관련 강의를 듣고, 오프라인 모임에 참석하여 투자 동료 만들기

③실제로 투자 실행하기 

④1-3번까지를 반복하기 

 

 ①-1 열중반 필독서 주1회 1권을 시작으로 매주 1권씩 독서 습관화 하기

 ②-1 월부 강의는 조모임 필수! 

 ③-1 매물 임장과 비교 평가 실천하기 - 매물 코칭 받기

 ④-1 반복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잃지않는 투자 

 p.161 부동산의 저평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안목,적은 투자금으로 투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역전세 등에 대비하여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는 자금 동원력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레인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