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책 이미지 삽입)
1. 책 제목: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
2. 저자 및 출판사: 너나위 (알에이치코리아)
3. 읽은 날짜: 25.02.04~02.08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자본주의에서의 노후준비 #전세레버리지 투자 #투자자로서의 마인드
[1장. 왜 투자를 해야 하는가]
#인플레이션 #노후준비
자본주의에서 인플레이션은 불가피한 일이며, 이에 따라 집값이 오르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집값은 물론 나의 현금자산의 값어치도 떨어진다. 그리고 날이 갈수록 노동의 가치는 떨어지고 양극화는 심해지고 있다. 나와 가족의 경제적 안정을 위해서 투자는 반드시 해야하는 일이다.
p38 부동산도 아파트도 물건이라는 사실, 또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인플레이션은 필연이라는 걸 기억하라. 이에 따라 아파트도 가격이 올라간다. “부동산 가격은 우상향”이라는 말이 단순히 투기꾼들이 외치는 부동산 불패 신화 같은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뜻이다.
p60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기 점검’이다. (중략) 나를 있는 그대로 아는 것이 변화의 가장 큰 동기가 되기 때문이다.
p63 상황을 인지하고 이제는 빤한 미래를 바꿔보고 싶다는 의지가 생겼다면, 본격적으로 그 방법을 배우기 전 마지막으로 해야 할 것이 있다. 그건 바로 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내가 집중해야 할 부분에 하나의 포인트를 찍는 것과 같다.
p64 나는 투자라는 수단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할 때, 크게 2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것을 제안한다. 1단계는 바로 나와 내 가족에 관한 경제적 위험 요인을 제거하는 것, 즉, 노후 준비다. (중략) 이 같은 목표를 세워야만 투자에 대한 시각이 ‘한 방에 인생역전’과 같은 잘못된 인식에서 ‘차근차근 미래를 준비하는 것’으로 바뀔 수 있다. 그렇게 바뀐 시각이야말오 앞으로 예기치 않은 어려움을 만나도 쉽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앞으로 아나갈 수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2장. 당신과 돈이 가야 할 방향]
#생산자산 #전세금 레버리지
직장인은 본인의 시간을 돈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돈을 벌고 있다. 이는 시간을 투입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돈을 벌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으로 이동 해야하며, 그러기 위해선 돈을 쓰는 방식을 변화 시킬 필요가 있다. 감가상각 되는 ‘소비자산’이 아닌,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 수 있는 ‘생산자산’을 사모으면서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자산을 늘릴 수 있는 자산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투자 중 부동산투자는 주식과는 달리 시장 참여자 주체가 대부분 개인이며, 매도자와 매수자가 거의 대등하게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임차인으로부터 받은 전세금은 이자가 없다는 이점도 있다. 그 전세금을 레버리지하여 아파트를 매입하여 소유하고 있으면 그 자산에서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나의 것이 되는 것이다.
p75 지금 당신이 ‘시간을 투입해서 돈을 버는 사람’에 해당한다면 ‘시간과 무관하게 돈을 버는 사람’으로 ‘이동’해야 한다.
p80 시간이 흘러도 가치와 가격이 증대될 가능성이 있는 생산 자산은 감가상각 외에는 기대할 것이 없는 소비 자산과 정확한 대척점에 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A와 B 사이의 자산 격차는 점점 더 큰 폭으로 벌어질 것이다.
p83 중요한 것은 돈을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라는 사실이다.
p103 매입한 아파트를 내가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일단 내가 소유하고 있으면 그 생산 자산으로부처 얻을 수 있는 과실은 그것의 소유주인 내 것이 된다는 말이다. 이를 잘 활용하면 가진 돈이 많지 않아도 더 비싼 생산 자산을 살 수 있는 것은 물론이요, 거기서 나오는 부가가치도 모두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
[3장. 평범한 직장인도 얻을 수 있는 성과]
#입지 #저평가 #관계 #잃지 않는 투자
p112 아파트의 진짜 가치는 결국 입지로 결정된다.
p114 입지는 곧 사람들의 선호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중략) 그렇다면 이 입지는 어떻게 결정되는 걸까? 바로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p122 내가 투자를 결정할 때 첫 번째 기준으로 삼는 것은 ‘해당 물건이 현재 저평가된 상태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이것이 ‘잃지 않는 투자’의 선결 조건이다.
p130 저평가란 가치 대비 가격이 저렴한 것을 뜻한다. 가치와 가격, 두 가지 요소로 판단할 수 있기에 어떤 물건의 저평가 여부를 알려면 그 가치와 가격을 동시에 볼 줄 아는 안목이 있어야 한다.
p133 ‘부동산 투자의 성공 비결은 발품에 달렸다’ (중략) 부동산은 발로 하는 것
p147 임장한 지역과 해당 부동산의 시세를 모니터링하는 건 일종의 모의투자와 비슷하다. ‘이곳에 투자했다면 어느 정도의 수익을 얻게 되었을까?’, ‘내가 놓쳤던 그 지역의 잠재력이나 함정 같은 것은 없었나?’ 등을 짚어가며 차츰 내공을 쌓아갈 수 있다.
p151 아파트의 전세가도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전세가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건 물론이요, 지금 투자할 경우 2년 뒤 전세금 상승분을 취할 수 있는지, 반대로 전세가가 떨어진다면 그 폭이 대략 얼마나 될지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p154 어떤 협상에서든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서두르지 않는 것이다.
p158 매입한 아파트의 가격이 언제 제대로 된 가치를 찾아갈지는 예단하지 않는다. 싸게 사고 장기 보유하면서 가치에 어울리는 가격이 될 때까지 기다릴 뿐이다. 투자자로서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것만 한다.
p177 입지 선호도와 지역의 위상이 높아 가수요든 실수요든 먼저 몰려드는 지역의 물건에 우선 투자하는 게 좋다. 가수요 유입의 특징은 실수요에만 의존하는 시세상승에 비해 더욱 상승 기간이 짧고 폭은 더 큰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p177 무조건 좋은 지역에 투자할 생각을 하기보다, 먼저 자신이 세운 투자 기준에 충족되는지 살핀 후 그 안에서 가장 좋은 지역에 투자하는 순서를 따르자. 투자의 목적은 자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해 최상의 수익을 내는 것이다.
[4장. 성공 투자를 위한 필수 지식]
#종잣돈 #자본 재배치 #전세투자 #저평가 #인생을 바꾸는 투자 #장기보유 #시스템투자
p206 좋은 투자란 사는 순간 버는 것이어야 한다. 이는 현재 가치 대비 싼 것을 산다면 가능하다. 물건을 매입한 이후 시장이 나의 바람과 달리 하락장으로 접어든다고 해도, 가치보다 싸게 샀기에 안전 마진까지 확보한 상태라 잃지 않는 것이다.
p211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저평가된 지역을 찾아내고자 한다면, 먼저 아는 지역을 늘려가야 한다.
p213 부동산의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낮아질 수 없다는 건 바뀔 수 없는 명제이기에, 결국 그렇게 형성된 전세가는 부동산의 매매가가 전세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방어하는 ‘하방지지선’ 역할을 하게 된다. 이는 부동산의 매매가가 하락할 때 일반적인 경우 전세가 수준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
p213 시세차익형 전세투자를 할 경우, 매입 이후 가격이 하락하게 돼도 내가 잃을 수 있는 돈은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 즉, 투자금만큼이라는 뜻이다. 이것이 전세가율이 높아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적은 물건을 투자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된다.
<장기보유의 장점>
1. 수익 실현을 뒤로 미뤄 불필요한 낭비를 막을 수 있다.
2. 수익의 크기는 자산의 크기에 비례하므로 자산 규모가 커지면 이에 비례해 수익 또한 훨씬 커질 수 있다.
3. 거래 횟수가 줄어 그에 따르는 각종 비용을 아낄 수 있다.
p223 처음부터 가급적 팔지 않을 가치 있는 부동산을 매입해야 한다. 공시에 바로 2년 뒤가 아닌 10년 뒤를 바라보는, 즉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투자에 접근해야 한다. 부동산의 특성상, 짧은 미래는 그릴 수 없어도 10년 이상의 기간이 흐름 뒤 시장이 어떻게 될지는 오히려 알기 쉽다. 물가가 오르듯 부동산의 가격도 오르기 때문이다. 그래서 부동산 투자는 결국 시간에 투자하는 것이다.
<역전세 리스크 관리>
1. 처음부터 전세가 하락에 대한 우려가 적은 물건에 투자한다. 전세 거주자=실수요, 이들은 입지 좋은 곳에 몰린다.
2. 신규 주택 입주 물량이 예정된 곳이라면 신중하게 접근한다. 기존 주택의 전세가 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신규 주택 공급이다.
3. 마이너스 통장이나 신용대출 등으로 현금을 확보한다.
[5장. 누구나 따라 할 수 있는 투자 매뉴얼]
#투자 기준 #아파트 시장의 가격 사이클 #임장
p257 투자의 기준을 제대로 세우려면 직접 경험해 봐야 한다. 경험이 거듭될수록 더 많은 것을 깨닫고 알게 되며, 그 과정에서 이전보다 더 나은 투자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 대상의 아파트를 선택하는 기준>
첫째, 저평가된 상태인가?
둘째, 투자금이 적게 드는가?
셋째, 리스크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가?
p264 나는 부동산 시장의 커다란 움직임은 근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만든다고 생각한다. 또한 부동산 시세 기울기의 급격하거나 완만한 변화는 시장에 참가하는 사람들의 구가 큰 영향을 미치고, 시장 참여자의 수는 곧 전반적인 분위기, 특 대중들의 심리에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p267 아파트는 시장에 엄청나게 많은 수요가 몰린다고 해도 완성품을 즉시 공급할 수 없는 재화다. (중략) 늘어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급이 이뤄지는 데 꽤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게 아파트의 특징이다. 이처럼 수요와 공급 간 시차가 발생하다 보니,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기간 동안 시장은 냉각(공급>수요)과 과열(수요>공급)을 반복하게 되고, 정책도 이에 맞춰 시행된다. 또한 이런 움직임은 사람들의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아파트 시장의 가격 사이클이 생겨나는 이유다.
[6장. 당신의 돈 그릇을 키우고 싶다면]
#인식의 전환 #실행 #조급함 #꾸준한 반복 #환경 #우선순위
p328 인식 전환이 투자의 기술이나 노하우를 아는 것보다 중요할 수 있다. 인식의 전환이 변화의 가장 강력한 동기가 되기 때문이다.
p330 무슨 요인들이 어떻게 서로 작용하여 현재의 상황을 만들었는지 객관적으로 보고 과거의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라. (중략) 그다음으로 해야 할 것은 선택이다. 불평과 불만으로 허송세월할 것인가, 지금 상황에서 스스로 바꿀 수 있는 범위를 설정하고 무엇을 할지 찾을 것인가.
p334 지금 투자하지 않아도 망하지 않는다. 준비하고 있으면 결국 기회가 당신을 찾아온다. (중략) 인생을 바꿀 정도의 투자를 하려면 시간이 필요하고 그렇기에 더욱, 조급할 필요가 없다.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내가 원하는 삶, 노후를 위해서는 투자는 필수적인 일이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적성에 안 맞는 투자 공부를 하면서 지치고 힘든 순간들이 무수히 많았고, 지금도 여전히 힘들지만 잘 해보고 싶은 일이 되기도 했다. 이번에 ‘월급쟁이 부자로 은퇴하라’를 세번째 읽게 되면서 예전에는 이해가 안 갔던 내용들이 이제는 술술 읽히는 것을 보면서 조금은 성장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잃지 않는 투자’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과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 어느 상황에서도 원칙을 지키고 마인드가 단단한 투자자가 되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지금까지는 앎에서 그쳤지만 앎을 실전투자에 꼭 적용해보고 싶단 생각이 들었다.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p36 아파트는 (중략) 인간의 삶을 영위하기 위한 필수재인 동시에,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 수도 있는 투자재라는 것이다.
p70 당신이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죽을 때까지 일해야만 할 것이다. -워런 버핏
p93 투자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그 투자로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인플레이션을 상쇄하는 수준인가 하는 것이다.
p327 돈은 당신의 간절함이 아닌, 당신의 실력에 담긴다. -너바나
p331 모든 변화의 시작은 인지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내가 알지 못했던 무언가에 눈을 뜨는 것, 그것이 인지다. (중략) 애석하게도 그 ‘인지’가 ‘변화’로 이어지는 일은 거의 없다. 변한다는 건 이처럼 어려운 일이다. 왜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걸까? 알기만 하고 행하지 않아서다. (중략) 아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반드시 이를 실행에 옮겨라.
p353 “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가 있습니다.”
p358 어차피 투자는 평생 해나갈 일이다. 그리고 투자의 목적은 나와 가족이 돈 걱정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유를 누리기 위함이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강의후기가 너무 꼼꼼하시네요 별나님~ 시작하신 시점이 저랑 비슷하신데 꾸준히 활동을 하시는 점 너무 멋지십니다~ 마인드가 단단한 투자자가 되시길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