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기 5기 47조 재테크 공부로 즐거운 부자되조 우분투] 1주차 과제

--------------------------------
반갑습니다!
월부 덕분에 투자자로 성공하여
훗날에는 제 덕분에 투자자로 성공했다는 말을 듣고싶은
우분투 입니다 :)

 

우분투 : 당신이 있어 내가 있다는 뜻의 아프리카어
--------------------------------

 

 


 

 

나의 돈관리 점수는?

 

 

과제에 앞서 돈 관리 점수를 측정했는데요,,,

결혼 전 돈관리 상태로 점수를 매겨보니,,, 처참한 D등급이었습니다.

저라고 분명 돈을 안모으려고 한건 아니고,,,

흥청망청 쓴적도 없는데도 이런 처참한 점수가 나오는 것을 보고 뼈맞는 기분이 들었답니다ㅠㅠ

 

그래도 이제 나의 돈관리 점수를 받아들이고,, 

반성하고 재테크 기초반 강의에 따라 재정비를 하고자 마음먹으며

통짱 쪼개기 미션 시작!

 

 

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저희 가족의 라이프 스타일을 반영해서 통장쪼개기를 했습니다.

저는 기존에도 나름대로 통장쪼개기나 예산반영해서 가계운영을 하고있었는데요.

 

배우자는 휴가 아니고는 쉬는 날이 거의 없다보니 휴가때는 꼭 여행을 가고싶어해요.

그리고 명절이나 부모님 생산, 어버이날에 부모님 용돈도 꼭 드리고 있어요.

그러다 보니 저희집에서 여행비와 부모님 용돈은 어떻게 보면 정기지출 항목이라고 보고 있죠. 

매달은 아니어도 꼭 나가게 되는 지출이어서요.

 

그런데 이런 돈이 해당 달에 예를 들어 5월, 명절, 휴가철에 가계지출이 폭등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그러면 해당 달 저축률도 낮아지더라고요. 

 

그래서 필요한 금액을 미리 계산하고 12개월로 나누어 매달 미리 저금을 해둡니다. 

그러고면 목돈 나가는 일이 없어져 좀 더 안정적인 가계운영이 가능해지는데 도움이 되더라고요.

 

자산통장에는 연금성 저축과 그외 저축으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연금성 저축들은 사싱상 노후에 타게 되는 돈이어서 종잣돈으로 쓸 수 있는 돈이 아니다보니 이렇게 나누어봤습니다.

덕분에 종잣돈으로 어느정도가 모이는지 알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기존 계좌들을 최대한 사용하였습니다!

덕분에 있는줄도 몰랐던 계좌들도 찾아내고 ,, 오랜만에 입은 옷 주머니에 돈들어있는 기분이었달까요?

 

3단계 :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인증샷 남기기

 

 

통짱 쪼개기 하며 느낀 점

신용카드의 체크카드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데요.

이부분이 생각보다 단숨이 되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 되기도 하고

더불어 신용카드도 예산을 생각하며 쓰기도 했지만 그래도 아무래도 신용카드이다보니

좀더 편하게 썼는데,,,(?) 체크카드는 돈없으면 결제가 아예 안되는 거다보니

이부분에서 압박이 오고 있습니다ㅋㅋㅋ

좋은 압박이겠지요?!

그리고 뭔가 돈에 대해서 돈이 내 손안에,  내 눈앞에 있다는 느낌이 든 것이 가장 크게 느낀 점 같습니다.

 

 

내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한 가지는 무엇인가

제가 주의해야할 지출 항목은 배달음식과 육아용품 입니다.

음식하기 귀찮거나 야식이 땡길 때 잘 시켜먹는데 배달음식이 금액이 장난이 아니잖아요 ㅠ

그러다보면 식비 초과는 빈번하더라고요.

그리고 아이를 키우다보니 아이한테 좋다는 책이나 교구들을 보면 정말 정말 정말 사고 싶어요…

저는 요즘 경제적 자유를 이룬 분들 외에는 사실상 부러운 사람이 없었는데

얼마 전 제가 아이에게 사주고 싶었던 책이나 교구와 그 이상의 것들을 하고 있는 집을 알게 되었는데

정말 오랜만에 누군가가 부럽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분들이 여유가 있어서 그러는지 아닌지는 사실 모르지만,, 여튼 그만큼 저의 이성을 잃게 하는 영역이

아이관련 용품들입니다.. 하지만 이건 냉철하게 보면 저의 만족을 위한 거라고 생각해요.

아이는 아직 어리다보니 이 많은 것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니깐요.

그래서 이런 부분에서 충동구매를 잘 참고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댓글


우분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