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정리한 단지 정리 엑셀 파일 화면 캡쳐 이미지 첨부
내가 선택한 지역의 ‘지역 임장’ 시, 현장에서 본 내용 정리 및 느낀점 작성하기
(사진과 느낀점을 함께 작성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강동구 147개, 동대문구 142개, 서대문구 146개
동대문구 : 동대문구 중심의 배봉산 양쪽 경사에 구축아파트가 위치하고, 그외 지역은 대부분이 평지. 경의중앙선, 지하철 5호선, 2호선, 1호선 이용 가능한데, 경의중앙선이 지상철로 이문휘경지역이 단절되어 있음. 이문지역 신축아파트 입주, 재개발 등으로 현재는 어수선한 느낌이 많고 주로 대학상권, 차차 좋아질 것으로 예상됨. 청량리역 근처는 구축아파트와 초신축아파트로 같은 지역이나 전혀 같은 생활권이라 느껴지지 않을 만큼 차이가 큼. 전농은 대단지 준신축, 신축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으며, 답십리역, 용두역, 신설동역 등 용두동과 답십리동이 교통이 편리함
구축, 준신축, 신축의 가격차이가 큼. 배봉산 인근 구축/ 답십리,용두역 인근 준신축,신축/ 이문휘경 신축/구축의 가격차이가 크게 느껴짐/ 용두동, 답십리동이 좋아보였음
서대문구: 서대문역에서 시작해 중구와 아파트가 마주보며 위치하는데, 서대문구는 구축/ 중구는 신축아파트. 인왕산산과 안산을 사이에 두고 지하철 3호선 라인을 따라 언덕을 지나면서 인왕산쪽에는 언덕위 구축아파트, 안산 쪽으로는 신축아파트가 주로 위치함. 신축아파트 앞은 정돈된 신축상가, 구축아파트 앞에는 단층의 상권과 주택가가 위치함. 홍은동쪽으로 갈수록 시장, 상가가 발달되어 유동인구도 많고, 홍은동을 지나 은평구, 가재울뉴타운으로 가는 버스도 많고 사람도 많음. 다소 어수선한 느낌. 낡은 상가와 시장도 위치. 가재울뉴타운과 북아현뉴타운은 거리가 있음. 북아현뉴타운은 2호선과 맞닿아 교통이 편리하고,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가 발달. 주택가 시장상권도 있음. 길건너 마포구 아현뉴타운과 마주보고 있으며, 언덕으로 걸어올라가기는 좀 어려움. 2호선 인근 유동인구 많음. 가재울뉴타운은 디지털미디어역과 가좌역 사이에 있으나 지하철 교통이 편리해 보이지는 않음. 뉴타운 안에서 버스를 타고 이동해야 함. 아파트 상권이 있으나 아파트의 규모에 비해 크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고, 음식점이 별로 없고 대부분 배달만 하는 업체가 많았음. 일부지역 언덕이었음. / 북아현뉴타운 인근이 좋아보였음
강동구: 고덕동, 상일동, 강일동, 명일동 쪽에 주로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음, 고덕동, 상일동은 신축아파트가 많고, 명일동은 구축아파트의 비율이 높음. 평지, 지하철 5호선 라인을 따라 대단지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음. 그에 비해 강동구의 다른 지역은 주택가 사이에 아파트 단지들이 뚝뚝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아 고덕동, 상일동, 강일동, 명일동 같은 느낌은 없음. 단지 자체가 신축/준신축 아니면 구축. 딱 이렇게 한두개 단지만 있는 경우가 많아 보였음. 명일동은구축 대단지 아파트가 많았고, 명일역 인근에 신축아파트가 몰려있음. 천호동에는 아파트 보다 주상복합 아파트가 단독으로, 혹은 단지를 이루며 많이 있었고, 5호선 라인을 따라 길동사거리, 천호사거리를 중심으로 상권이 있었고, 대부분이 주택가였음. 길동에서 천호동 쪽으로 갈수록 고층의 주상복합 아파트가 많았음. 둔촌동은 길동에서 올파포 사이 보훈병원 근처에 아파트 단지가 있으나 많지 않음. 성내동도 주택가 사이에 아파트가 있으며 교통이 매우 좋지 않음. 8호선을 이용하던, 5호선을 이용하던 버스나 마을버스로 접근해야 하고 배차간격이 길었음./ 명일동, 고덕동이 좋아보였음
댓글
ppppp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