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재테크 기초반 2주차 강의 내용 정리

25.02.16

강의 목표

확률 높은 성과로 안정적으로 종잣돈을 만들고(베타 투자)

시장 평균을 초과하는 수익을 추구(알파 투자)

 


주식 투자

베타 투자

시장 지수 추종
ETF(펀드) 투자

알파 투자

개별주 투자, 퀀트 투자
리딩방 가입 등

“시장 평균 수익률을 추구”

“시장 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 추구”

장점
1. 확률 높은 성과
2. 안정적으로 종잣돈을 만들고 불림
3. 대부분의 투자자에 적함
(누구나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다.)
장점
1.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음
(정확하게는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
단점
1. 단기간에 큰 수익을 얻을 수 없음.
단점
1. 불확실한 성과
2. 종잣돈이 있어야 의미 있는 성과
3. 대부분의 투자자에 적합하지 않음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할 때 베타 투자를 기반으로 해서
절세를 통한 알파 투자를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그것부터 시작해야한다."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 투자

  “장기 우상향을 믿고 가자.”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자산)

 

주식 투자를 대할 때 “단기간에 얼마에 팔까?”가 아닌 “어떻게 하면 오랫동안 보유하고, 
자식에게 증여하고, 하나라도 더 모아갈까?”와 같이 부동산 투자를 하는 것처럼 접근해야 한다.

 


 

평생 쓰는 월 300만 원 포트폴리오 맞춤 완성

 

< ISA / 연금저축계좌 달라지는 배당소득 과세 >

기존

 

미국 기업(배당금 지급)(현지 배당 소득세 15% 부과) ETF → 국세청 현지 세금 15% 선환급 → 투자자

 

개편

 

미국 기업(배당금 지급)(현지 배당소득세 10% 부과) ETF(배당금 지급) →→→(국세청 현지 세금 15% 선환급x) 투자자

 

 

<ISA 계좌 프리뷰>

ISA

기존

개편

국내 과세: 
국세청이 현지 세금 15% 선환급

투자자:
1. 분배금 100% 수령

2. 계좌 만기 해지 시 200만 원까지 비과세(분배금 + 매매 차익)

3. 비과세 초과분 9.9% 분리과세 적용(분배금 + 매매차익)

 

국내 과세: 

국세청이 현지 세금 15% 선환급x

 

투자자:

1. 분배금 85% 수령

2. 계좌 만기 해지 시 200만 원까지 비과세(매매차익)3. 비과세 초과분 9.9% 분리과세 적용(매매차익)

*분배금에 세율이 기존 9/9% → 15% 적용

  • ISA 계좌 활용 이유
    1. 연금저축계좌 이전 시 300만 원 한도로 추가 세액 공제
    2. 연금저축계좌 이전으로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을 늘리기 위함
      •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이 클수록 조기 은퇴의 시점을 앞당길 수 있음
    3. 3년 만기 시, 비과세 200만 원(400만 원) + 초과분 9.9% → 세제 개편으로 덜 좋아진 부분

       

<연금저축계좌 프리뷰>

연금저축

기존

개편

 

국내 과세:
국세청이 현지 세금 15% 선환급

투자자:
1. 분배금 100% 수령

2.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3.3~5.5%)만 납부

 

 

국내 과세:
국세청이 현지 세금 15% 선환급x

 

투자자:

1. 분배금 85% 수령

2. 연금 수령 시, 연금소득세(3.3~5.5%) 납부

→이중 과세 우려, 정부 대첵 마련중

*분배금 85% 수령으로, 기존 100% 수령하여 재투자할 수 있는 금액 감소 → 과세 이연 효과 사라짐

  • 연금저축계과 활용 이유
    1. 세액 공제
    2.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지 않음
    3. 건강보험료 인상이 되지 않음
    4. 과세 이연 효과 → 세제 개편으로 사라졌으나, 직투에서는 원래 없던 효과

 

연금저축계좌는 보통 노후대비 목적으로 하나 노후대비 목적으로 사용하라고 하지 않는다. 연금저축계좌로 인해 조기 은퇴를 했기 때문에 장기 투자


 

손실을 줄이는 MTS 활용법

 

< MTS란? >

  1.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
  2. 주식 / ETF / 채권 등의 금융 상품에 투자(매수/매도)를 위한 필요한 플랫폼
  3. 증권사에서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 등의 거래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 (펀드, ETF를 운용하는 주체는 자산운용사)

    → MTS를 선택한다는 것은 어떤 증권사에서 주식 계좌를 개설하고 거래를 할 것인지의 선택

     

< 절세 계좌 > (증권사 MTS 설치 후, 계좌 개설 가능)

  1. 연금저축계좌: 노후 대비(연금) 목적으로 세제 혜택을 받는 장기 저축(투자) 계좌
  2. ISA계좌: 절세를 통해 재산형성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3. IRP계좌: 노후 대비(연금) 목적으로 근로자가 퇴직하거나 이직 시에 받는 퇴직금 또는 본인이 추가로 납입한 투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계좌

 

< 증권사 선택 기준 >

  1. 매매수수료: 이벤트 적용 할인 매매 수수료 / 이벤트 종료 시 매매 수수료

    → 이벤트 기간 종료 시 매매 수수료가 더 중요

    * 한 번 증권사(MTS)를 선택하면 바꾸기 쉽지 않기 때문

    1. 연금저축계좌 이벤트 종료 시 매매수수료: 0.01% ~ 0.19%
    2. ISA계좌: 수수료 우대 이벤트 다수 진행(유관 기관 수수료만 발생)
  2. 어플리케이션 편의성: 새로운 기능 빠른 업데이트 / 투자 정보 접근성

    → 이용자 많은 증권사 MTS가 더 나은 경향(미래에셋증권 / 키움증권 / NH나부 / 한국투자증권 등)

  3. 계좌 개설 20일 제한

    → ISA계좌 / 연금저축계좌를 동시에 개설할 수 없는 증권사 존재

  4. 가입 이벤트

    → 1, 2, 3 조건들을 더 우선 순위로 삼는다.

     

< 미래에셋증권을 선택한 이유 >

  1. 연금저축계좌 이벤트 종료 시 매매수수료: 0.014%(최저(0.01%)
  2. ISA계좌: 0.0036396%
  3. 투자 정보: iNAV / ETF 포트폴리오 / ETF 섹터 구성 / ETF 규모 / 스타일 정보 존재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MTS가 드문 편)

  4. 계좌 개설 20일 제한 없이 CMA / 연금저축 / ISA 계좌 모두 개설 가능

 


수익률을 높이는 현명한 ETF 매매법

 

< ETF란? >

  1. Exchange Traded Fund / 상장, 지수, 펀드

    1. 상장: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MTS로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것
    2. 지수: 여러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하나의 숫자로 산출하는 것

      →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성과는 대체로 비슷함. 하지만 성과 차이는 존재

    3. 펀드: 여러 주식을 동시에 투자하는 것

    ETF 투자 장점

    ETF 투자 단점

    1. 분산 투자 (펀드와의 공통점)

    2. 정기 교체 (펀드와의 공통점)

    3. 저렴한 수수료 (펀드와의 차이점)

    4. 쉽게 사고 팔 수 있음 (펀드와의 차이점)

    1. 내가 모르는 종목에 투자할 수 있음

    2. 주식 투자 수익률이 높지 않음

 

< ETF 이름 읽는 법 >

ACE

미국

S&P500

ETF브랜드
(자산운용사마다 다름)

투자하는 국가

추종하는 지수

 

<우리나라 ETF 브랜드>

  • ACE: 한국투자신탁운용
  • KODEX: 삼성자산운용
  • KIWOOM: 키움투자자산운용
  • TIGER: 미래에셋자산운용
  • RISE: KB자산운용
  • SOL: 신한자산운용

     

예시) ETF 이름 읽는 법을 적용해 보세요!

 

ACE 미국 빅테크TOP7 PLUS

KODEX 유럽명품 TOP10 STOXX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RISE 2차전지TOP10(국내)

 

< ETF 투자자가 알아야 할 핵심 용어 >

 

  1.  지수(기초지수): 여러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하나의 숫자로 산출하는 것

    → 지수가 다르면 투자하는 종목과 비율이 달라짐

    예) S&R500 지수, 나스닥100 지수, 코스피200 지수, 미국배당 다우존스 지수 등

  2. NAV(Net Asset Value): ‘순자산가치’를 의미, ETF 1주가 보유한 본질적인 가치

    예) ETF(A)의 총 잘행된 주식수: 10주

         ETF(A)의 보유 주식: 애플 10주/마이크로소프트 20주라고 가정할 때, ETF(A) 주식 1주의 가치

  3. iNAV: ‘실시간 순자산가치’, 10초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NAV

    → 실시간으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가 움직이면서 ETF(a) 1주의 가치가 달라지는데,

        이 가치를 10초마다 추정하여 제공되는 NAV

**중요 → ETF 매수 시, 매수 가격과 iNAV를 비교해야 불필요한 손실을 보지 않는다.

4. 추적오차: 지수(기초지수)와 NAV(순자산가치) 움직임의 차이

     *추적오차가 0에 가까울수록 운용을 잘하고 있는 ETF

5. 괴리율: NAV와 시장 가격(실제로 거래되는 가격)의 차이

    ETF종목에 매수 주문이 갑자기 몰려 실질 가치(NAV)보다 더 높은 가격에 매매 체결될 수 있고, 

    반대로 매도 물량이 쏟아져 가격이 급락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괴리율’이 커진다.

*iNAV를 확인하면서 매수하는 것이 필요

 


더 저렴하게 매수하는 ETF 선택법

 

< ETF 관련 비용 >

  1. 총보수(펀드 보수): ETF를 운용하는 데 발생하는 연간 운용 비용의 비율(자산운용사에 지급되는 비용)

    * 총보수라는 명칭이 ETF관련 모든 비용처럼 보이는 오해

  2. 기타비용: ETF 운용에 필요한 추가적인 비용으로 ‘기초 지수’에 대한 사용료 등이 포함

    *ETF 비용은 보통 1년 단위이나, 상장한지 1년 미만 ETF의 기타비용은 상장 이후의 누적 비용.
      상장한지 1년 미만의 ETF는 기타비용이 작아 전체 비용이 작다고 오해할 수 있음

  3. 매매 중개 수수료율: 펀드매니저가 ETF의 보유 종목을 사고 팔면서 발행하는 수수료
  4. TER: 총비용 + 기타비용
  5. 실부담비용율 = 총비용 + 기타비용 + 매매 중개 수수료율

    → 최종 판단 기준이 되는 ETF 비용

    * ETF 비용은 투자자가 별도로 지불하지 않음, 순자산가치(NAV)에 포함되어 수익률에 영향 미침

 

< 매월 100만 원 투자 시뮬레이션 >

 

5년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12.50%

83,634,960

239,381,329

529,414,721

1,069,519,569

2,075,311,505

3,948,313,426

12.20%

82,486,367

232,339,076

504,576,000

999,147,919

1,897,65,092

3,529,913,774

차이

1,148,594

7,042,252

24,838,721

70,371,650

177,676,412

418,399,652

     - 0.3%p 차이라도, 장기 투자 시 기하급수적인 성과 차이로 나타나게 됨.

 


ETF 관련 세금 총정리

 

< ETF 분류>

 

국내 주식형 ETF

국내 기타 ETF

미국 직투 ETF

거래 시장 구분

‘국내 주식 시장’에서 거래

‘미국 주식 시장’에서 거래

정의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ETF

&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에 투자

국내 주식 시장에 사장된 ETF

&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 외 투자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ETF

예시

KODEX 200

TIGER 200 헬스케어 등

ACE 미국 S&P500

KODEX 골드선물(H)

TIGER 중장기국채 등

SPY/QQQ/SCHD 등

매매 차익

비과세

배당소득세 15.4% 원천 징수

22.0%(250만 원 비과세)

분배금

배당소득세 15.4% 원천 징수

배당소득세 15.0% 원천 수

손익 통산

X

O

특징

매매 차익 비과세

절세계좌 활용 가능

  1. 연금저축

  2. ISA

  3. 퇴직연금(IRP)

매매 차익 250만 원 비과세

손인 통산

  1. 국내 주식 시장에서 미국 주식 시장에 샂앚되어 있는 ETF의 ‘일부’를 투자할 수 있음.
  2.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ETF 또는 개별 기업 주식은 절세 계좌에서 투자할 수 없음.
  3. 이자 / 배당소득으로 발생하는 이익이 1년에 2천만 원 이상인 경우 금융소득종합 과세 대상자가 됨.(공통)

 

< 국내 주식형 ETF 세금 예시 >

정의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된 기업에만 투자하는 ETF

종류

KODEX200, TIGER KRX2차전지K-뉴딜, KBSTAR내수주플러스 등

매매 차익

 

매수 평가 금액: 10,000,000원 → 매도 평가 금액: 15,000,000원

매매 차익: 5,000,000원 (15,000,000원 - 10,000,000원)

(세 전) 매매 차익: 5,000,000원 → (세 후) 매매 차익: 5,000,000원(비과세)

 

분배금

 

(세 전)1,000,000원 → (세 후) 846,000원

(1,000,000원 * 15.4% = 154,000원 원천 징수)

 

< 미국 직투 ETF 세금 예시 >

정의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ETF

종류

SPY, VOO, QQQ, SCHD, JEPI

매매 차익

 

매수 평가 금액: 10,000,000원 → 매도 평가 금액: 15,000,000원

매매 차익: 5,000,000원(15,000,000원 - 10,000,000원)

매매 차익(세 전): 5,000,000원 → 매매 차익(세 후): 4,450,000원

1. 250만 원 공제: 5,000,000운 - 2,500,000원 = 2,500,000원

2. 22% 과세: 2,500,000원 * 22% = 550,000원

 

분배금

 

(세 전) 1,000,000원 → (세 후) 850,000원

(1,000,000원 * 15.0% = 150,000원 원천징수)

 

 


 

ETF 관련 세금 총정리

 

1. 연금저축계좌

2. IRP(퇴직연금)계좌

3. ISA계좌

 

  이 3개 계좌로 주식 투자자들이 반드시 내야하는 세금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절세 계좌의 꽃 -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계좌(증권사에서 개설, ETF 투자용)

가입 자격

제한 없음(소득 유무, 연령 무관) - 주부, 어린이도 가입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가입 가능

납입 한도

IRP와 합산 연간 1,800만 원

(연금 저축 계좌에서만 1,800만 원 투자 가능)

세액공제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연금 수령 요건

  1. 5년 이상 가입
  2. 만 55세 이후
  3. 1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령

연금 소득세

70세 미만: 5.5%

70세 이상: 4.4%

80세 이상: 3.3%

기타

중도 인출 가능 - 기타소득세 16.5%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모든 세금X)

  • 자녀의 결혼 자금으로 쓸 경우 미국 주식이 나을 수 있고, 미래 준비로 쓴다면 연금저축계좌가 나음.
  • 세액공제혜택도 부모님이 납입해준 돈으로 자녀가 근로소득자가 되었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음.

 

< 세액공제 >

총급여액

(종합소득금액)

납입 한도

세액공제 대상금액

세액공제율

최대 가능

세액공제액

연금저축 + IRP

연금저축

연금저축 + IRP

5,500만 원 이하

(4,500만 원이하)

1,800만원

600만원

900만 원

16.5%

148.5만 원

5,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초과)

13.2%

118.8만원

  • 연금저축계좌에 납입(이체) 시 세액공제 받을 수 있음.(1년 단위)
  • 연간 900만 원까지 소득에 따라 최대 148.5만 원(16.5%) 수익률 확보 후 투자 가능

    → 투자 관점에서 16.5%까지 안전마진 확보 효과

* 주의할 점

  1. 세액공제 받은 금액은 연금 수령 외 중도 인출 시 기타소득세 16.5% 토해내야 함.
  2. 최대 148.5만 원은 경우에 따라 148.5만 원이 되지 않을 수 있다.

    → 결정세액이 존재하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음.

     

<최대 세액공제 가능 금액 계산 예시>

  1. 세전 총급여 5,000만 원 직장인 & 연금저축계좌 400만 원 납입 시, 최대 세액공제 가능 금액은?

    400만 원 * 16.5% = 66만 원

  2. 종합소득금액 5,000만 원의 사업자 & 연금저축계좌 400만 원 납입 시, 최대 세액공제 가능 금액은?

    400만 원 * 13.2% = 52만 8천 원

  3. 세전 총급여 7,000만 원 직장인 & 연금저축계좌 1,000만 원 납입 시, 최대 세액공제 가능 금액은?

    600만 원 * 13.2% = 79만 2천

 

< 결정세액에 따른 연간 납입금액 예시 >

  1. 결정세액 60만 원 & 세전 총급여액 5,000만 원 직장인

    360만 원 * 16.5% = 59만 4천 원 / 연간 납입금액 360만 원

  2. 결정세액 60만 원 & 종합소득세 5,000만 원 개인사업자

    450만 원 * 13.2% = 59만 4천 원 / 연간 납입금액 450만 원

  3. 결정세액 100만 원 & 세전 총급여액 8,000만 원 직장인

    750만 원 * 13.2% = 99만 원 / 연간 납입금액 750만원

 

< 환급 받은 금액으로 투자 시 시뮬레이션 >

 

50만 원

100만 원

148.5만원

환급 직후

500,000

1,000,000

1,485,000

1년 후

1,050,000

2,100,000

3,118,500

5년 후

3,857,805

7,715,610

11,457,681

10년 후

9,265,584

18,531,167

27,518,783

15년 후

17,974,865

35,949,730

53,385,349

20년 후

32,001,250

64,002,499

95,043,712

25년 후

54,590,883

109,181,765

12,134,922

30년후

90,971,712

181,943,425

270,185,986

  • 세액 공제 혜택으로 추가 환급 받은 금액을 연평균 수익률 10%로 재투자하는 것을 가정.

 

< 연금저축담보대출 > *권하는 것이 아닌 필요하면 해라.

분류

내용

한도

평가금액의 약 60%

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

(증권사마다 금리 차이가 큰 편)

대출기간

신청일로부터 365일

주의 사항

  1. ETF 매수상태에서는 대출 불가
  2. 기존 ETF 매도 후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로 재매수한 뒤 대출 가능(펀드 보수가 더 비싼 편)
  3. 담보유지비율 140% 하회 시 추가 담보 납부 요

*담보유지비율(%) = 펀드 평가 금액/담보대출금액

예) 펀드편가금액이 1,000만 원 일 때, 연금저축 담보대출 한도는 600만 원. 

      펀드평가금액이 840만 원 미만이 되면, 추가 담보 납부가 필요.

      840만 원/600만 원*100 = 140%

 

< 연금저축계좌 인출 순서 >

→ 세액공제 / 배당소득세 감면을 받지 않은 원금은 자유롭게 인출 가능

1.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인출

순 서

2. 세액공제 받은 원금
3. 수익(매매 차익)
4. 수익(배당금

 


ISA 계좌는 지금 당장 개설해야 한다.

 

< ISA계좌의 종류 >

  1. ISA란?

    Individual Savings Account 약자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2. ISA계좌의 종류
    1. 일임형(전문가에게 일임)
      • MP(모델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ETF와 펀드 등에 투자.
      • 운용 보수도 연 0.1%~0.5%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
    2. 신탁형(예금 가입 가능, 금융기관이 실행하고 관리)
      • 예금을 비롯한 펀드, ETF, 리츠, 주식 등을 고객이 선택.
      • 일임형보다 수수료는 낮으나, 관리 비용이 존재.
    3. 중개형(채권/개별 주식 투자 가능) *강의에선 증권사에서 계과 개설할 수 있는 중개형으로 한정.
      • 국내 상장 주식을 비롯하여 채권, 펀드, ETF, 리츠, RP 등 다양한 금융상품 직접 선택 가능.
 

내용

비고

가입자격

만 19세 이상

(근로소득 있는 만 15세 이상)

*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 과세자는 개설 불가

* 전 금융사 1개만 개설 가능

최소가입기간

3년

적어도 3년 이상 운용 가능한 자금으로 운용

대상

서민형

근로자: 세전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사업자: 종합 소득 3,800만 원 이하

홈택스에서 ‘소득확인증명원’ 발급 받아 증권사에 팩스 또는 발급번호를 알려준다.

일반형

서민형 대상자 

-

혜택

서민형

비과세한도 400만 원

(호과 시: 9.9% 과세)

1년에 133.3만 원의 비과세 혜택

일반형

비과세한도 200만 원

(호과 시: 9.9% 과세)

1년에 66.7만 원 비과세택

세액공제

만기자금을 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이체 중 10%(최대 3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

추가

1년에 2,000만 원씩 투자 한도 증액, 총 1억 원까지.

손익 통산

예) 투자 원금 + 발생 수익 = 1억 원

ISA 계좌에서 1억 원을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면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건 300만 원 정도이다.

1억 원을 옮겼는데 세액공제를 받았다 치면 9,700만 원은 비과세이고,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않는 금액이라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다.

이렇게 ISA 계좌에서 이전을 하면서 연금저축계좌의 금액을 크게 만들 수 있고,

그 금액이 자유인출 금액을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ISA 계좌와 연금저축계좌를 함께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

 

< ISA 계좌의 절세 효과 >

  1. 일반 계좌 매수 VS ISA 계좌 매수 비교

    매매 차익

    계좌 종류

    세금

    세후 수익

    400만원

    일반 계좌

    61만 6천 원

    (400만 원 x 15.4%)

    338만 4천 원

    일반형 ISA

    19만 8천 원

    (400만 원-200만 원)x9.9%

    380만 2천 원

    서민형 ISA

    0원

    (400만 원-400만 원)x9.9%

    400만 원

 


절세 계좌의 마지막 퍼즐 - IRP계좌

 

< IRP 계좌란? >

  •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의 약자(개인형 퇴직연금)
    • 적립 IRP: 연금저축처럼 새액공제를 받기 위해 가입
    • 퇴직 IRP: 퇴직금을 받으면
 

연금저축

IRP

가입자격

누구나

소득이 있는 자(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직업 군인 등)

연금수령요건

가입 기간 5년 이상,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 기간에 걸쳐령

연금 수령 시 세금

연금소득세(3.3% ~ 5.5%)

중도 해지 시 세금

기타소득세 16.5%(운용수익 포함), 세액공제 받지 않는 금액 비과세

납입한도

두 계좌 합산 연간 1,800만원

안전자산 요건

없음

안전자산 30%

계좌관리 수수료

X

O(은행, 보험사에서 존재, 대행 증권사에서는 존재X)

* 안전자산 30% 무조건 유지해야함. 

예) 주식70%, 채권 30%인데 주식 주가가 많이 올랐다, 그럼 채권을 사고 싶지 않아도 30% 비율을 맞춰야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야한다.

 

< 적립 IRP와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한도 >

  1. IRP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금저축계좌와 합산하여 연간 900만 원
  2. 보통 연금저축계좌에 600만 원, IRP계좌에 300만 원 납입.

    (IRP계좌 안전자산 30% 유지 & 중도인출이 까다롭기 때문)

    납입 가능 금액

    활용 계좌

    600만 원 이하

    연금저축에만 납입

    600만 원 초과

    ~900만 원 이하

    연금저축: 600만 원, IRP: 600만 원 초과분

    900만 과

    연금저축: 600만 원, IRP: 300원

    예) 주식 700만 원 / 채권(안전자산) 300만 원 매수.

          주가 100% 상승 시, 평가금액 1,400만 원.

          안전 자산 비율: 17.6%(300만 원/1,700만 원)

          → 채권 300만 원 어치를 추가 매수 필요.

           안전 자산 비율: 30.0%(600만 원/2,000만 원)

           *일반적으로 결정세액이 커서 세액공제가 많이 필요한 경우 IRP계좌 납입 권장

 

< 연금저축계좌 / IRP계좌 중도인출 비교 >

중도인출 케이스 분류

연금저축

IRP

세율

6개월 이상 요양 의료비

(연간 임금 총액의 12.5% 초과)

O

O

연금소득세

(3.3% ~ 5.5%)

3개월 이상 요양 의료비

O

O

개인회생, 파산선고

O

O

천재지변

O

O

연금가입자 사망, 해외이주

O

X

연금사업자 영업정지, 인가취소, 파산

O

X

무주택자 주택구입, 전세보증금

O

O

기타소득세

(16.5%)

사회적 재난

O

O

그 외의 사유

O

X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을 매수! - S&P500 ETF

 

< 어떻게 투자해야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 >

  • 적립식 매수 VS 주가 하락 후 매수 비교
    1. 매년 초 1,000만 원씩 40년 투자한다고 가정
    2. 단순 적립식 매수 VS 마켓 타이밍 매수 비교
      • 단순 적립식: 매년 초 1,000만 원씩 일정하게 매수
      • 마켓 타이밍: 직전 해에 S&P500 지수 하락 시, 매수

                            상승 시, 매수하지 않고 현금 보유

        예) 2021년 S&P500 지수 상승 시, 2022년 1,000만 원 투자하지 않고 보유.

              2022년 S&P500 지수 하락 시, 2023년 2,000만 원 투자.

    3. 1928년~2023년까지 두 방식의 투자 성과 비교

댓글


우분트
25. 02. 17. 22:36

솜님..팔로우 할께요^^ 전교일등 노트 느낌이라서.. 복습 효과가 너무 좋은데요ㅋㅋㅋ

또박또박
25. 02. 24. 12:56

세상에 세상에 솜님ㅋㅋㅋ진짜 전교일등 노트 같아요ㅋㅋㅋ멋져요!!!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