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해외 한달살기? 광화문금융러님처럼 [재테크 기초반 _ 107조 보보12]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오프라인 강의를 위해서라면 목요일까지 후기 작성을 해야하지만,

이틀만에 강의를 다 듣고 후기 작성하기 자신이 없네요!!

 

대신 더 꼼꼼하게 작성할 수 있으니 오늘도 열심히 작성해보겠습니당!

 

 

광금러님의 이야기

 

은행 데이터 분석가 출신이며, 35세에 조기 은퇴!!!

 

너무 부럽죠? 

 → 하지만 광금러님이 꾸준히 노력하며 이루신 방법이에요! 제 방법도 찾아볼게요

 →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이런 광금러님도 어려웠던 시절이 있었어요

1.2년 6개월 동안 수익률 0.5%

2.국내 주식 위주로 했음

3.'9,000원(남은 돈) + 1,000원(추가 저축) = 10,000원' 으로 주식 투자를 했음

 

이때도 원금은 보전했다는 항상 긍정적인 마음!

 

과연 그 결과는??

(현재)

1.2년에 1달씩 하와이 살기

2.주식투자 덕분에 현재 여유가 있고 시간도 많음

 

부러워만 하지말고 어떤 방법이 있을지 공부해봅시다!

 


 

목표 : 확률 높은 성과로 안정적인 종잣돈(β) + 시장 평균 초과 수익(α)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 투자!!!

 

출처 : 네이버 검색(S&P500)

출처 : S&P 500(네이버 검색)

 

S&P 500은 역사적으로 장기 우상향으로 증명되었어요

연평균 10% 이상!

 

단기간으로 봤을때에는 크지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에는 복리의 마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

 

물론 코로나 시점처럼 모든 주식이 내릴 수 있어요

하지만 물가가 상승하고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는데 주식의 가치도 같이 올라가지않을까요??

 


 

어떤 방법으로 투자를 해야 할까?(세액 공제 + 비과세)

 

총 세가지 방법이 있었습니다!

 

1.연금저축계좌(펀드)

2.ISA계좌

3.IRP

 

▶ 우선 연금저축계좌의 활용 이유

1.세액공제

2.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지 않음

3.건강보험료 인상이 되지 않음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이 되는 사람

★ 건강보험료 :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절반 부담해주며, 1~2년마다 상승함

 

 

우선 연금저축계좌를 만들기 위해서는??

MTS : 미래에셋증권, 나무증권 어플 등등 모바일로 투자할 수 있는 증권사 어플을 의미합니다

 

증권사 어플을 설치하고 계좌 개설을 해야해요!

 

강의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을 추천하시더라구요

그 이유는 수수료가 가장 싸다

 + 모든 투자 정보 제공

 + 계좌 개설 20일 제한 없이  CMA/연금저축/ISA 계좌 모두 개설 가능

 

계좌 개설 방법을 정리해봤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좋답니다!

 

연금저축 계좌로 은퇴 시점 앞당기기_우선 계좌 개설부터(재테크 기초반 _ 107조 보보12)

 


▶ 주식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1. 호가 : 어떤 가격에 사고팔지 정해진 금액(현재 금액)

 → 매도 호가 : 매도자들이 팔고 싶은 가격 및 수량

 → 매수 호가 : 매수자들이 사고 싶은 가격 및 수량

 

2. 순자산가치(NAV) 

 → ETF의 자산에서 갚아야 할 부채(운용보수 등)를 차감한 순자산총액 값을 ETF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 iNAV : '실시간 순자산가치', 10초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NAV(= 미래에셋 NAV)

 → iNAV를 확인하면서 매수하는 것이 중요(고가와 저가의 차이가 클 수 있음)

 

3. 가치주 : 현재 이익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의 주식(코카콜라)

4. 성장주 : 현재보다는 미래의 이익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주식(테슬라)

 

5. 시가 : 주식 시장이 열리고, 가장 처음 거래된 가격

6. 고가 : 당일 거래되었던 가격 중 가장 높았던 가격

7. 저가 : 당일 거래되었던 가격 중 가장 낮았던 가격

8. 종가 : 정규 거래 시간 중 가장 마지막에 거래된 가격

 

주가 변동성이 큰 것은 본인이 감수 해야 함.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죠?ㅎㅎ

 


▶ ETF란? Exchange Traded Fund (상장 지수 펀드)

 

1. 상장 :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MTS로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것.

2. 지수 : 여러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하나의 숫자로 산출하는 것

 →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성과는 대체로 비슷함. 하지만 성과 차이는 존재.

3. 펀드 : 여러 주식을 동시에 투자하는 것

 

ETF 이름 읽는 법

ETF브랜드     투자 국가       추종하는 지수

     ACE             미국              S&P500

 

한국의 ETF 브랜드

1. ACE : 한국투자신탁운용

2. KODEX : 삼성자산운용

3. KIWOOM : 키움투자자산운용

4.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5. RISE : KB자산운용

6. SOL : 신한자산운용

 

ETF 관련 비용 확인하는 사이트 : www.etfcheck.co.kr

 

용어 얘기들만 너무 많이했죠?

 

투자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펀드) - 절세 계좌의 꽃

 

 

연금저축계좌(증권사에서 개설, ETF 투자용)

가입 자격 

제한 없음(소득 유무, 연령 무관) - 주부, 어린이도 가입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가입 가능.

납입 한도 

IRP와 합산 연간 1,800만 원

(연금 저축 계좌에서만 1,800만 원 투자 가능)

세액공제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연금 수령 요건

1) 5년 이상 가입

2) 만 55세 이후

3) 1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령

연금 소득세

70세 미만 : 5.5%

70세 이상 : 4.4%

80세 이상 : 3.3%

기타

중도 인출 가능 - 기타소득세 16.5%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모든 세금 X)

 

총급여액

(종합소득금액)

납입한도 

세액공제 대상금액

세액공제율

최대 가능

세액공제액

연금저축 + IRP

연금저축

연금저축 + IRP

5,500만 원 이하

(4,500만 원 이하)

1,800만 원

600만 원

900만 원

16.5%

148.5만 원

5,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초과)

13.2%

118.8만 원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은 연금 수령 외 중도 인출할 경우 기타소득세 16.5%를 내야함.

 

 → 저는 아직 결정세액이 99만원이 안넘기때문에 1년 600만원(→99만원 세액공제)만 넣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 인출 순서<별표 39개>

→ 세액공제 / 배당소득세 감면을 받지 않은 원금은 자유롭게 인출 가능.

→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 세액공제 받은 원금 → 수익(매매 차익) → 수익(배당금)

 

 

 


 

ISA - 비과세

 

 

내용

비고

가입자격

만 19세 이상

(근로소득 있는 만 15세 이상)

*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 과세자는 개설 불가

* 전 금융사 1개만 개설 가능

최소가입기간

3년적어도 3년 이상 운용 가능한 자금으로 운용.

대상

서민형

근로자 : 세전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사업자 : 종합 소득 3,800만 원 이하

홈택스에서 ‘소득확인증명원’ 발급 받아

증권사에 FAX 또는 발급번호를 알려준다.

일반형

서민형 대상자 외  

혜택

서민형

비과세한도 400만 원

(초과 시 : 9.9% 과세)

1년에 133.3만 원의 비과세 혜택

일반형

비과세한도 200만 원

(초과 시 : 9.9% 과세)

1년에 66.7만 원이 비과세 혜택

세액공제

만기자금을 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이체 중 10%(최대 3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

추가

1년에 2,000만 원씩 투자 한도 증액, 총 1억 원까지.

 

일반형일 경우 월 25만원! 서민형일 겨우 월 45만원!

 


 

IRP - 세액공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중간에 인출할 수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비중을 줄일게요!

 

세액공제를 조금 더 받기 위해 300만원 정도만 넣는 것이 좋은 것 같네요~!!

 

 


 

지금 당장 투자해야하는 이유(지각비)

 

연 평균 10%의 수익률이 나고 있지만 투자하지 않으면 20년간 5억의 수익을 놓칠 수 있어요!!

 

지금 당장 시작하는 것이 늦지 않는 방법!!

 

나머지는 왜 꾸준히 투자를 해야 하는 지에 관하여 명확한 통계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얘기해주시더라구요

 

 

 

마지막으로 느낀점

 

광화문금융러님께서 말씀해주셨던 세액공제를 보고 머리가 띵했습니다.

 

세액공제, 소득공제 개념은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해야하는지 방법은 몰랐거든요

그 방법들을 보고 제가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지 확실하게 알 수 있었어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시켜주셨지만,

저는 연금저축 50만원, ISA 25만원씩 투자하려구요!!

 

투자에 관한 판단은 모두 본인이 하는 것이에요. 누구를 원망하면 안되는 거구요.

그러니 처음 투자를 할 때 판단을 잘 해야 하고,

본인이 최대한 많이 알아야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댓글


user-avatar
숲과 나무user-level-chip
25. 02. 19. 01:38

강의를 다시 듣는 느낌~~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부자가 되는 그 날까지!! 간~~~다

류스user-level-chip
25. 02. 19. 18:11

강의노트 보는 느낌이에요!!! 보보님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