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재테크 기초반 - 2025년 같은 월급으로도 쉽게 2배 모으는 방법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오프라인 강의를 위해서라면 목요일까지 후기 작성을 해야하지만,
이틀만에 강의를 다 듣고 후기 작성하기 자신이 없네요!!
대신 더 꼼꼼하게 작성할 수 있으니 오늘도 열심히 작성해보겠습니당!
광금러님의 이야기
은행 데이터 분석가 출신이며, 35세에 조기 은퇴!!!
너무 부럽죠?
→ 하지만 광금러님이 꾸준히 노력하며 이루신 방법이에요! 제 방법도 찾아볼게요
→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이런 광금러님도 어려웠던 시절이 있었어요
1.2년 6개월 동안 수익률 0.5%
2.국내 주식 위주로 했음
3.'9,000원(남은 돈) + 1,000원(추가 저축) = 10,000원' 으로 주식 투자를 했음
이때도 원금은 보전했다는 항상 긍정적인 마음!
과연 그 결과는??
(현재)
1.2년에 1달씩 하와이 살기
2.주식투자 덕분에 현재 여유가 있고 시간도 많음
부러워만 하지말고 어떤 방법이 있을지 공부해봅시다!
목표 : 확률 높은 성과로 안정적인 종잣돈(β) + 시장 평균 초과 수익(α)
강남 아파트 같은 주식 투자!!!
출처 : S&P 500(네이버 검색)
S&P 500은 역사적으로 장기 우상향으로 증명되었어요
연평균 10% 이상!
단기간으로 봤을때에는 크지않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에는 복리의 마법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
물론 코로나 시점처럼 모든 주식이 내릴 수 있어요
하지만 물가가 상승하고 기업의 가치가 올라가는데 주식의 가치도 같이 올라가지않을까요??
어떤 방법으로 투자를 해야 할까?(세액 공제 + 비과세)
총 세가지 방법이 있었습니다!
1.연금저축계좌(펀드)
2.ISA계좌
3.IRP
▶ 우선 연금저축계좌의 활용 이유
1.세액공제
2.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지 않음
3.건강보험료 인상이 되지 않음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 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이 되는 사람
★ 건강보험료 :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절반 부담해주며, 1~2년마다 상승함
우선 연금저축계좌를 만들기 위해서는??
MTS : 미래에셋증권, 나무증권 어플 등등 모바일로 투자할 수 있는 증권사 어플을 의미합니다
증권사 어플을 설치하고 계좌 개설을 해야해요!
강의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을 추천하시더라구요
그 이유는 수수료가 가장 싸다
+ 모든 투자 정보 제공
+ 계좌 개설 20일 제한 없이 CMA/연금저축/ISA 계좌 모두 개설 가능
계좌 개설 방법을 정리해봤으니 한번 읽어보시면 좋답니다!
연금저축 계좌로 은퇴 시점 앞당기기_우선 계좌 개설부터(재테크 기초반 _ 107조 보보12)
▶ 주식에서 사용하는 용어들
1. 호가 : 어떤 가격에 사고팔지 정해진 금액(현재 금액)
→ 매도 호가 : 매도자들이 팔고 싶은 가격 및 수량
→ 매수 호가 : 매수자들이 사고 싶은 가격 및 수량
2. 순자산가치(NAV)
→ ETF의 자산에서 갚아야 할 부채(운용보수 등)를 차감한 순자산총액 값을 ETF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
→ iNAV : '실시간 순자산가치', 10초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NAV(= 미래에셋 NAV)
→ iNAV를 확인하면서 매수하는 것이 중요(고가와 저가의 차이가 클 수 있음)
3. 가치주 : 현재 이익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기업의 주식(코카콜라)
4. 성장주 : 현재보다는 미래의 이익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주식(테슬라)
5. 시가 : 주식 시장이 열리고, 가장 처음 거래된 가격
6. 고가 : 당일 거래되었던 가격 중 가장 높았던 가격
7. 저가 : 당일 거래되었던 가격 중 가장 낮았던 가격
8. 종가 : 정규 거래 시간 중 가장 마지막에 거래된 가격
주가 변동성이 큰 것은 본인이 감수 해야 함.
→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죠?ㅎㅎ
▶ ETF란? Exchange Traded Fund (상장 지수 펀드)
1. 상장 :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MTS로 거래할 수 있게 되는 것.
2. 지수 : 여러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하나의 숫자로 산출하는 것
→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성과는 대체로 비슷함. 하지만 성과 차이는 존재.
3. 펀드 : 여러 주식을 동시에 투자하는 것
ETF 이름 읽는 법
ETF브랜드 투자 국가 추종하는 지수
ACE 미국 S&P500
한국의 ETF 브랜드
1. ACE : 한국투자신탁운용
2. KODEX : 삼성자산운용
3. KIWOOM : 키움투자자산운용
4.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5. RISE : KB자산운용
6. SOL : 신한자산운용
ETF 관련 비용 확인하는 사이트 : www.etfcheck.co.kr
용어 얘기들만 너무 많이했죠?
투자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펀드) - 절세 계좌의 꽃
연금저축계좌(증권사에서 개설, ETF 투자용) | |
가입 자격 | 제한 없음(소득 유무, 연령 무관) - 주부, 어린이도 가입 가능 *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가입 가능. |
납입 한도 | IRP와 합산 연간 1,800만 원 (연금 저축 계좌에서만 1,800만 원 투자 가능) |
세액공제 |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 (세전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 |
연금 수령 요건 | 1) 5년 이상 가입 2) 만 55세 이후 3) 1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령 |
연금 소득세 | 70세 미만 : 5.5% 70세 이상 : 4.4% 80세 이상 : 3.3% |
기타 | 중도 인출 가능 - 기타소득세 16.5%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모든 세금 X) |
총급여액 (종합소득금액) | 납입한도 | 세액공제 대상금액 | 세액공제율 | 최대 가능 세액공제액 | |
연금저축 + IRP | 연금저축 | 연금저축 + IRP | |||
5,500만 원 이하 (4,500만 원 이하) | 1,800만 원 | 600만 원 | 900만 원 | 16.5% | 148.5만 원 |
5,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초과) | 13.2% | 118.8만 원 |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은 연금 수령 외 중도 인출할 경우 기타소득세 16.5%를 내야함.
→ 저는 아직 결정세액이 99만원이 안넘기때문에 1년 600만원(→99만원 세액공제)만 넣겠습니다!
연금저축계좌 인출 순서<별표 39개>
→ 세액공제 / 배당소득세 감면을 받지 않은 원금은 자유롭게 인출 가능.
→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 세액공제 받은 원금 → 수익(매매 차익) → 수익(배당금)
ISA - 비과세
| 내용 | 비고 | |
가입자격 | 만 19세 이상 (근로소득 있는 만 15세 이상) | *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 과세자는 개설 불가 * 전 금융사 1개만 개설 가능 | |
최소가입기간 | 3년 | 적어도 3년 이상 운용 가능한 자금으로 운용. | |
대상 | 서민형 | 근로자 : 세전 총급여 5,000만 원 이하 사업자 : 종합 소득 3,800만 원 이하 | 홈택스에서 ‘소득확인증명원’ 발급 받아 증권사에 FAX 또는 발급번호를 알려준다. |
일반형 | 서민형 대상자 외 | ||
혜택 | 서민형 | 비과세한도 400만 원 (초과 시 : 9.9% 과세) | 1년에 133.3만 원의 비과세 혜택 |
일반형 | 비과세한도 200만 원 (초과 시 : 9.9% 과세) | 1년에 66.7만 원이 비과세 혜택 | |
세액공제 | 만기자금을 연금 계좌로 이체하면 이체 중 10%(최대 300만 원)에 대해 세액공제 | ||
추가 | 1년에 2,000만 원씩 투자 한도 증액, 총 1억 원까지. |
일반형일 경우 월 25만원! 서민형일 겨우 월 45만원!
IRP - 세액공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중간에 인출할 수 없는 자산이기 때문에 비중을 줄일게요!
세액공제를 조금 더 받기 위해 300만원 정도만 넣는 것이 좋은 것 같네요~!!
지금 당장 투자해야하는 이유(지각비)
연 평균 10%의 수익률이 나고 있지만 투자하지 않으면 20년간 5억의 수익을 놓칠 수 있어요!!
지금 당장 시작하는 것이 늦지 않는 방법!!
나머지는 왜 꾸준히 투자를 해야 하는 지에 관하여 명확한 통계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얘기해주시더라구요
마지막으로 느낀점
광화문금융러님께서 말씀해주셨던 세액공제를 보고 머리가 띵했습니다.
세액공제, 소득공제 개념은 알고 있었지만 어떻게 해야하는지 방법은 몰랐거든요
그 방법들을 보고 제가 어떻게 투자하면 좋을지 확실하게 알 수 있었어요!
다양한 사례들을 소개시켜주셨지만,
저는 연금저축 50만원, ISA 25만원씩 투자하려구요!!
투자에 관한 판단은 모두 본인이 하는 것이에요. 누구를 원망하면 안되는 거구요.
그러니 처음 투자를 할 때 판단을 잘 해야 하고,
본인이 최대한 많이 알아야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부자가 되는 그날까지!!
댓글
강의를 다시 듣는 느낌~~ 후기 작성하시느라 고생 많으셨어요^^ 부자가 되는 그 날까지!! 간~~~다
강의노트 보는 느낌이에요!!! 보보님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