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3월 돈버는 독서모임 - 소득혁명
독서리더, 독서멘토

1. 책 제목: 결국엔 오르는 집값의 비밀
2. 저자 및 출판사: 김준영 / 한국경제신문
3. 읽은 날짜: 250218-250219
4. 총점 (10점 만점): 10/10
5. 책을 읽게 된 계기: 투자 관점에서 합리적인 부동산 선택 기준을 배우기 위해.
1. 부동산은 ‘입지’가 전부다
[책 본문내용]
* 위치나 입지가 좋은 곳 그리고 재건축이 가능한 곳들은 가격 흐름이 좋은 곳도 많습니다.
* 결국 공급이 줄면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이 나타나며 좋은 입지의 미분양 아파트는 기회의 상품이 되는 것입니다.
* 부동산 상승기에서 하락기로 접어들 때면 ‘강남 불패’라는 용어가 한 번씩은 꼭 등장하는 것 같습니다.(중략) 우리나라 주택시장에서 강남은 상징적인 의미가 크기 때문에 (중략) 그 배경에는 뛰어난 입지환경과 높은 가격 상승률, 최고급 하이엔드 주택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2. 부동산 가격 상승의 패턴을 파악하라
[책 본문내용]
*수도권의 전세수급지수와 전세가율의 긴 흐름은 전세수급지수가 상승한 후 전세가율이 상승하고, 상승한 전세가율에 의해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패턴의 반복이라는 점입니다.
*전체의 큰 흐름을 보는 데 가장 좋은 것은 전세가율의 움직입니다.
3. 공급이 부족한 곳이 결국 오른다
[책 본문내용]
*이렇게 전세가 부족한 시기에는 전세수급지수가 오르며 전국 대부분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전세 부족은 곧 주거 부족이라는 뜻입니다. 전세수급지수의 상승은 시장에 전세 매물이 부족하다는 뜻이며, 이는 전세가격의 상승 가능성을 매우 높입니다. 매매가격 상승의 기초가 되는 전세가격의 상승은 첫 번째로 전세 부족에서 시작되는 것이지요. 전세 부족은 전세수급지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가오는 2025년과 2026년은 입주물량 부족으로 인해 가장 빠르게 매매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도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댓글
나야나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