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부바라기30입니다.
이번 3강은 중소도시 D,E 지역 분석을 망구99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지난 2주차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번 D,E 지역 또한 내겐 너무 멀고도 어려운 도시였는데,
이번에 처음 뵙는 망구99 강사님 !
똑부러지는 강의력으로 이번 강의의 포인트를 꼭!꼭! 찝어주셔서
지역에 대한 이해가 훨씬 쉽지 않았나 생각이듭니다.
이번 강의의 목표는
많은 입주가 예정된 이 지역에서 투자 결정 기준과 방법을 알고 실전 투자에 적용하는 것인데,
리스크가 큰 이 지역에 투자를 ? 그냥 기다려야 하는게 아닌가? 라고 생각했던 안일했던 제 생각을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리스크VS기대수익
투자할 때 가장 염두할 기준은 바로 리스크 입니다.
현재 D,E 지역은 앞으로 많은 입주가 예정된 곳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곳을 계속 봐야하는 이유는
지금 이곳들은 'ㅈㄷㅈ ㅈㅍㄱ' 시기로 (그냥 모든 물건이 싼 지금 시기)
앞으로 기대수익을 고민해보고
내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투자를 진행한다면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을 알려주셨는데요.
공급이 많으면 무조건 기다려야한다는 편견을 깨주셨던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지역의 개별적인 수요와 특징을 이해하며 투자할 수 있는 물건 중 가장 가치가 좋은 물건을 찾는 방법 !
(좋은 물건!이 그냥 좋은 물건이 아니라 내가 살 수 있는 물건 중 좋은 것!)
-과도한 투자금이 아니라 본인이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투자할 것 (개인마다 사정이 다름을 인지)
-용기를 갖고 투자하는 것, 그리고 그 결정을 믿고 기다리는 것 (투자 의사결정)
앞으로 이런 자세로 공부하고 투자실력을 늘리는데 집중하는 투자자가 되어
정말 실전 투자를 잘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던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시세트레킹
시세트레킹 그거 뭔가요? 먹는 건가요? ㅎ
투자 공부를 하고 있지만 아직 제대로 된 시세트레킹은 꿈도 못꿔본 투린이로써
나의 시간, 돈, 체력을 소비로 끝내지 않고, 끝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로써
시세트레킹은 꼭 필요하다를 인지하게 된 것 같습니다.
내가 본 지역을 예의주시하고, 앞으로 계속 그 지역을 트레킹하며 투자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도구로써
정말 중요한 것 임에도 어려울 것 다는 생각만으로 계속 미루기만 했는데,
이번에 시세트레킹에 대해 명확히 기준을 잡아주신 것 같아서 저도 할 수 있다는 마음이 생기네요.
*꾸준히는 특별한 게 아니다.
어느 날 어려운 상황에서 벽이 느껴질 때 버틸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고,
망구99님이 말씀해주신 원씽, 효능감, 환경, 마인드, 신뢰, 행복버큰, 휴식 생각해보며
저도 꾸준히 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BM
1. 시세트레킹 시작하기
2.원씽 : 30억을 위해 내가 해야할 것들 꾸준히 하기
3.어렵다고 생각하지 말고, 잘하려고 노력하기(효능감 키우기)
4.행복버튼 = 나도 카페라떼 아이스 매우 좋아함 ! 임장 끝나고 디카페인 아이스라떼로 행복보상 해주기!
댓글
부바라기30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