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용어, 투자용어가 있으며 투자 용어에서 매매와 레버리지, 입주물량, 전세가율를 특히 잘 기억할 것.
부동산을 구매한 후 끝이 아니라 그 후에도 세금이 발생하며 어떠한 세금들이 발생되는지 알 수 있었던 것.
부동산 투자에는 시세차익형 vs 수익형으로 존재하며 특히 아파트로만! 투자할 것. 빌라나 오피스텔 등은 알아야 할 내용도 너무 많으며 실시간 거래가 등도 알기 어렵다. 또한 잘 안팔리는 단점도 있으며 아파트는 짓는데 6년정도 걸리면 빌라는 6개월이면 짓는다. 그만큼 아파트는 대체제가 없다는 뜻이기도 함. 그러니 다른거 생각말고 무조건 아파트로만 투자!!
당장 돈이 급하게 현금 흐름이 흘러야 하는게 아니라면 시세 차익형으로 도전해 볼 것.
세금을 많이 내더라도 그로 인해 내가 얻게 되는 수익을 생각해야 한다. 세금을 많이 낸다는 것은 그만큼 내가 수익이 많았다는 것. 세금을 많이 냄으로 내가 얻게 되는 것이 무엇인지 잘 생각해야 한다.
매매가가 떨어져도 전세가가 오른다면 현금흐름이 발생한다. 매매가는 일단 내가 팔지 않는다면 차익의 하락이 발생된게 아니므로 장기간 항상 아파트는 가지고 있는다고 생각하기.
부동산 투자 방법
경매, 매매, 공매가 있는데 매매로 한다고 생각하면 됨.
매매는 내가 좋은 물건을 골라서 싸게 사는게 가능. 그러면 아파트를 경매로 싸게 사면 되는거 아닌가? 라고 의문 가질 수 있지만 아파트 경매는 정말 경쟁이 많기에 싸게 사는게 쉽지 않고 그 외 수익형 부동산(빌라, 오피스텔, 단독주택)은 명도와 권리분석의 벽을 넘기 어렵다는 걸 알아서 수익형 부동산은 애초부터 낙찰가율이 낮다.
투자를 지방으로 할 경우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 하지만 수익률이 200%가 나왔다면 바로 팔아야한다. 한번 가격이 안오르기 시작하면 팔기도 어려울 뿐더러 최종 목표는 수도권에 자산을 쌓는 것이기 때문이다.
부동산 투자는 지역을 아는게 중요하다. 많이 알 수록 좋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앞마당을 만들어야 한다.
투자로 돈 버는 과정
투자 대상 및 선택을 할 때에는 땅의 가치와 건물의 가치를 봐야한다. 수도권은 교통 / 지방은 학군. 왜냐하면 지방은 대구나 부산을 제외하곤 끝에서 끝까지 40분이면 가기에.
강남, 여의도, 시청 이 3곳의 서울 업무지구가 가장 많다. 그 중에 강남은 압도적이기에 사람들이 강남역을 빨리 갈 수 있는 주변을 선호
그리고 땅의 가치를 봤으면 그 후에 건물의 가치를 보면 된다.
가치에 비해 가격이 싼지 /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인지 다시 한번 검증해라.
계약 및 잔금 프로세스 안에서 집을 매매할 수 있는 3가지 방법 새로운 임차인 / 주인→임차인 / 임차인 승계 가 있다. 주인→ 임차인은 주인이 임차인이 되는것. 보통 청약 당첨을 위해 이런 방법들을 많이 쓴다.
임차인 승계나 주인이 임차인이 되는 방식이 세입자의 리스크가 없다는 장점이 있음.
하지만 이 과정에서 리스크라는 것을 꼭 알아야 함!!
잔금 리스크 : 잔금 기간 내 전세임자를 못하구면 계약금 돌려받지 못함(새로운 임차인 구하는 방식에서 발생 가능)
역전세 리스크 : 전세계약 만기 시점에 전세가격 하락할 경우 전세금 돌려줘야 함. → 그래서 전세금이 2년마다 오르더라도 무조건적으로 그 비율을 반영해서 욕심부려 금액을 많이 올리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님
감당 못하는 투자는 진행해서는 절대 안됨!!!!
잔금 리스크를 피하는 방법은 매매가격 > 종잣돈+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
그래서 잔금 리스크를 예방하기 위해 집주인 전세계약 혹은 임차인 승계 계약을 찾아본다. 하지만 임차인 승계의 경우 역전세 리스크가 발생하기에 전세 만기 시점에 신축 아파트로 입주하는지도 물어봐야한다.
계약 잔금 시 check point중 하나로 부동산 복비는 잔금시 지급하되, 깎지 않도록 한다. 이게 생각보다 해당 집주인에 대한 인식을 안좋게 만드는 행위.
0단계 투자자가 해야 하는것
경제기사 / 독서/ 질문 / 건강 / 가정 / 인맥
1단계 투자자가 해야 하는것
0단계 투자자가 하는것 + 임장 + 시세 파악
부동산 투자로 돈을 번다 : 싼 부동산을 사두고 기다렸더니 돈이 많아졌다.
임장
여행 계획을 세운다. 현장 임장 가기전.
그리고 지역 임장을 가면 지역 파악이 아니라 지역을 확인하러 가는 것이다. 실제 조사한 내용과 같은지
상업, 공업 지역을 자세히 볼 것.
수도권 같은 경우는 그 지역 분위기 형성 2가지 큰 요소가 지하철역과 상권
임장을 통해 최대한 많은 단지를 선정하고 이것들에 대한 시세를 1달에 한번씩 꼭 수시로 체크해줘야한다.
안전한 집 구하기
일단 내 가용 예산을 파악
어느지역 가능한지 미리 선정하고 간다(손품)
부동산 간다 - 매물보기(발품)
주변을 둘러본다 - 환경파악 ( 발품)
반복
전세사기
전세 보증금보다 집이 낮게 팔리는(깡통전세)
선순위 대출이 있었는 경우
집주인의 세금 체남
위의 3가지 경우에 전세 사기가 발생을 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등기부 등본 상 분명 깔끔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다. → 여기서 등기부 등본의 허점이 존재
등기부 등본의 맹점
집주인 세금 체납 발생 후 약 2-3달 뒤 등기부등본에 등재되기에 이걸 확인이 불가 / 세입자의 권리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다음 날 부터 효력 발생(집주인이 계약 당일 집을 담보로 대출 실행 가능) -> 이 두가지를 등기부등본의 맹점을 악용해 전세사기가 진행
예방법
부동산 사장님을 통해 국세/지방세 완납증명서를 요구
계약서에 특약 명시 -> 임대인은 전세계약일 다음날까지 등기부 등본상 권리 변동 사항이 없도록 한다. 이를 위반하는 겯ㅇ우 본 계약을 무효로 하고 보증금을 즉시반환한다
제일 속편한거는 아파트만 전세 거주를 한다. 비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은 월세를 거주하는게 맘편함. 비아파트는 매매가격을 완전히 알 수 없고(깡통전세인지 아닌지를 모름) 실거래가가 수시로 안찍혀서 거래가를 파악하기가 어려움.
저렴한 임대료를 찾고 싶다면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건물을 찾기! 다만 임대사업자로 등록된 건물의 경우 인기가 많아 매물 구하기는 어렵다.
‘나에게 적용할 점'
0단계 투자자가 해야 하는것 꾸준히 하기.
투자의 90%는 마인드라는 것을 명심하며 속도가 느리더라도 0단계 투자자로써 지킬 것을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