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2주차 도서 '원씽' 독서 후기 [열중 33기 1일 1독 할때까지 불4르조 부종딱]

23.11.27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원 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컬러, 제이 파파산/ 비즈니스 북스

3. 읽은 날짜: 2023.11.25

4. 총점 (10점 만점): 10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1부. 거짓말: 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가지 믿음]

#멀티태스킹 #모든 일x 한가지 일o #큰 생각

모든 일이 다 중요하다는 것은 한가지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말과 동일하다.

이에 대한 폐해가 멀티태스킹의 습관화에서 온다. 모든 일을 가지치기 식으로 동시에 수행하면서

하나의 일에도 집중하지 못하고 기억에 남기지 못한 채 그저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의지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는데 둘다 내가 컨트롤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나도 매일 무엇을

완수해야 된다는 일종의 퀘스트 완료주의의 성향을 갖고 있어서 스스로 더 지치고 열매없이 그저

부피를 채우려고 하는 그 욕심을 과감히 내려놓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Chapter2. 2부. 진실: 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도미노 #초점탐색 #’단 하나’의 기본연습

“오늘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다른 모든 것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 줄 단 하나의 일

은 무엇인가?” 1부에서 반성한 멀티태스킹과 과도한 성취계획이 불러온 폐해의 대한 답을 얻은

핵심 구절이다. 다른 일 모두 제쳐두고 딱 하나만 완료하고 잔다면 자연스레 다른 일들에 시간을

뺏기는 일이 줄어들 것이고 남은 잉여시간이나 따로 시간을 내서 어떻게든 나머지 일들은 수행

할 수 있을것이다. 그렇기에 매일 ‘단 하나의 일’에 초점을 맞추고 시간을 투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Chapter3. 3부. 위대한 결과: 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더 큰 상상

목적의식이라는 원대한 최종목표를 위해 필요한 것은 바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우선순위이고,

우선순위에 따른 단 하나의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서는 온전히 한 가지 일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어야 보다 생산성 있게 목적의식에 당도할 수 있게된다. 그래서 하루에 단 한가지

의 일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선 방해가 되는 상황과 환경을 만들지 않아

야 하며 내가 스스로 그 시간을 지킬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책에서 준 여러가지 교훈 중에 현재 나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모든 일이 중요하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245p의 내용처럼 ‘단 하나에만 집중하다 보면 다른 일들을 제때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한 다는 것이다.

당신의 초점을 방해하는 덜 끝난 일들과 미진한 부분들이 다시 수면위로 올라와 아직 마치지 못한

다른 일들을 처리해야 할 것만 같은 압박감이 심해지는 것이다.’ 내가 지금 여러가지 일을 나름 균형있게

수행하려다가 한 가지도 제대로 완료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그저 데일리 플래너를 장황하게 꾸며놓기 위해

짝이 맞지않는 양말을 쉴틈없이 개어 쌓아놓는 느낌이다. 앞으로는 그 날의 ‘단 한가지 일’에 모든 것을 집중하고

차순위의 일을 애초에 꺼내놓지 않기로 다짐하게 됬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각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 한가지의 일을 써보기

[최종의 목표 > 5년의 목표 > 1년의 목표 > 1달의 목표 > 한 주의 목표 > 하루의 목표 > 지금의 목표]

2. 달력에 오늘의 단 한가지의 일만 쓰고 중요하지 않은 자투리 일들을 플래너에 쓰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 107) 시간을 가지고 도박하는 것은 결코 되찾을 수 없는 돈을 거는 것과 같다.

설사 이길 수 있다고 자신한다 하더라도 그동안 잃어버린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댓글


부종딱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