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투자를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
본격적인 강의의 시작에 앞서 자음과모임님께서 말씀해주신
투자를 잘한다는 것의 진짜 의미에 대해
곧 바로 메모를 해놓고 여러번 되새겨 생각해보았습니다.
- 경험을 쌓는다는 것 = 좋은 투자대상 선별 → 투자 실행 → 복기 → 실력 향상 → 좋은 투자대상 선별
- 투자를 잘한다는 것 = 경험을 쌓는 것을 반복 + 그 과정에 있는 임장 & 임보 잘하기
자모님의 말씀으로 듣고, 또 저의 것으로 소화해서 정리하여 적어놓고 보니
경험을 쌓고 투자를 잘한다는 개념이 보다 명료해진 기분이 들었고
중요한게 무엇인지, 내가 지금 어떤것을 놓치고 있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투자를 ‘실행’하기
1주차 강의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모님께서 강조하신
투자의 실행에 관한 메시지도 ‘25년 상반기까지 투자를 실행하겠다는 ’목표'를
‘믿음’으로 바꾸는 데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지역을 넓게 보면서 지역내 선호도가 중간 이상이면 투자 대상으로 넣어야 하고,
1등뽑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지역내 선호도 중간이상이라면 투자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보고 있는 지역에서 투자 대상에 들어오는 단지의 선호도가 너무 떨어진다면
비슷하거나 하위 급지에 있는 지역의 더 높은 선호도의 단지까지도 넓게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세조사의 중요성
시세조사의 중요성과 실행 방법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정리하고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월 1회 시세조사를 실행한 후
1)저평가 기준에 맞지 않는 비싼단지를 지우고
2)하락률 -12% ~ -20%의 단지들을 확인한 후
3)좋은 가치 순위 → 가격이 싼지 →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는지 순으로 정렬하고 확인하겠습니다.
지역내 단지 선호도 비교 방법 3가지
자모님께서 알려주신 ‘지역내 단지 선호도 비교 방법’ 또한
저의 임보에 꼭 적용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땅으로 퉁치는 것은 지양해야 돼요.
단지로 구체화 시키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고
단지 선호도로 인해 받는 스트레스는 좋은 스트레스입니다.
적용할 점
자모님의 투자 직전 수기 체크리스트 써보기
=> 투자를 하려는 이유는? / 원칙에 맞는가? / 앞마당 물건 중 제일 좋은 이유는? /
단지 가치는? / 싼가(O,X), 투자금 범위에 들어오는가(O,X), 감당 가능한가(O,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