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차 강의는 월부에서 처음 뵙는 망구99님 튜터님 입니다.
많은 내용을 알려주셨고 잘 레버리지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에서 배운 것
- A,B 지역 분석 및 투자 우선순위
- 공급량이 많은 도시에서 투자 결정 기준과 방법 배우기
- 시세트래킹
1. A,B 지역 분석 및 투자 우선순위
- 비슷한 중소도시와 비교해 어느 수준인지부터 시작해 입지 분석 하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 지역 분석 시 도시 확장 과정까지 조사 하시는데 이런 정보는 어디서 구하는지 궁금했습니다.
- 직장 분석시 유사 중소도시와 비교 및 직장 분석 포인트별 질문으로 시작되는 임장보고서도 인상깊었습니다.
- 직장 뿐만 아니라 인구, 학군, 환경도 인상깊었습니다. 특히 학군에서 학업성취도와 선호 중학교 일치 여부 확인 하는 것은 처음 봤네요
- 같은 중소도시라도 지역 별로 투자 우선순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됬습니다.
- 현재 작성 중인 대전 임장보고서의 지역 분석에 위 내용들을 반영해보려고 합니다.
2. 공급량이 많은 도시에서 투자 결정 기준과 방법 배우기
- 공급량이 많은 도시는 역전세 리스크가 있고, 투자하기가 꺼려집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에도 투자를 할 수 있는 기준을 알려주셨습니다.
3. 시세트래킹
- 시세트래킹이 왜 필요한지랑, 어떤 단지를 시세트래킹 할지, 어떻게 시세트래킹을 하는지 알려주셨습니다.
- 구체적인 시트 내용까지 알려줘 따라만 해도 될 정도로 알려주셨네요
BM
- 대전 임보에 망고님이 하셨던 지역 분석 내용 넣기
- 대전도 공급량이 있는데 투자 결정 해도 되는지 기준에 따라 판단해보기
- 시세트래킹 시트 만들고 단지 선정해 시세트래킹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