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반 1강은 마스터 멘토님께서 진행해 주셨습니다.
수도권 투자 기준과 로드맵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 주셨는데요.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열반스쿨의 뿌리로 내려간 느낌이었습니다.
저는 수도권 투자를 염두해 두고 있다고 말하기에는
사실 종잣돈이 굉장히 적어서 사실은 좀 멀게만 느껴지는 게 사실이었거든요.
하지만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종국에 내가 가야 할 종착지로서 수도권 시장을 바라보고
내가 할 수 없는 것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할 수 있는 걸 해야 된다는
마스터 멘토님의 말이 굉장히 인상적이었거든요.
그래서 저도 내가 나중에 할 거라고 생각하면서
설레는 마음으로 수도권 임장을 한다는 말씀을 듣고
저 역시도 이번 임장지가 비교적 지방 투자를 하고
넘어올 수 있을 만한 지역을 임장하고 있기 때문에
저도 역시 지금 당장 투자를 할 수 없더라도
설레는 기분으로 이번 임장지를 돌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가장 먼저 실전 투자 기준에 대해서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
우리가 지금 현재 상황에서 수도권을 볼 때
어디를 먼저 우선적으로 봐야 하는지도 알려주셨습니다.
아직까지 이 시장이 대세 상승장도 아니고 매수자 우위 시장이기 때문에
기회를 잡는 투자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씀을 해 주셨어요.
네이버 부동산 호가만 보지 말고, 20% 하락률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지 않고
내가 스스로 가격을 만들어 나가는 그런 과정을 통해서
내가 인풋을 넣어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시장이라고 말씀을 해 주셔서
물론 제가 1호기를 당장 수도권에서 할 수 있지 않지만
비단 수도권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을 바라볼 때에도
제가 인풋을 넣어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수도권 아파트 투자 기준에 대해서 알려주셨는데요.
우리가 봐야하는 급지, 직장 및 교통, 커뮤니티·연식에 대해서 말씀해주셨습니다.
장기적으로 당연히 땅의 가치가 높은 상급지는 장기 보유 관점에서 투자로 접근하고
하급지는 투자 기회가 오래 열려 있기 때문에 더 좋은 급지부터 봐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울 수 있었습니다.
수도권에서 정말 중요한 직장과 교통 파트에서는
우리가 양과 질이 좋은 업무 지구나 그 업무 지구의 접근성이 좋은 곳들을 선택해야 한다는
정말 기본적인 것에 더해서 입지 개선의 여지가 있는 곳들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연식은 수도권에서 급지나 직장 교통보다는 세 번째로 중요한 것이긴 하지만
신축 단지들이 밀집된 곳은 거주 선호도가 굉장히 높고
입지가 비슷한 곳이라면 당연히 연식을 위주로 투자해야 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강남 출퇴근 접근성 기준으로 지하철로 강남 1시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것들은 신축과 구축을 보고
1시간 이상이 걸리는 것은 신축만 투자하라는 어떤 기준을 제시를 해 주셨는데
확실히 우리가 지금 이 시장에서 아직까지 4급지까지도 기회가 있기 때문에
좋은 곳 위주로 봐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많이 강조해 주셨던 부분이내가 감당 가능한 투자를 하는 것의 중요성이었는데
지금 잔금이 안 된다던가 수리가 필요할 때 퇴거 자금이 없다든가 하는 그런 상황을 통해서
우리가 물건을 놓게 되는 상황을 우리가 맞닥뜨릴 수 있는데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속 가능한 투자를 위해서
대비를 꼭 해야 한다는 말씀이 기억에 남습니다.
투자자로서 지금 수도권 시장을 대할 때
당연히 저평가가 1번이고 투자금에 너무 매몰되지 않아야 하고 가격이 오를 거란 기대로 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저도 투자금 기준으로 생각하다가 가치를 경시한 적이 있는데
투자금에 집중하기보다는 좋은 가치에 있는 것들을 먼저 사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배웠습니다.
또 수도권이 수요층이 넓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지방 광역시보다 먼저 오를 것이다 이런 것도 아니고
광역시를 하면 중소 도시보다 반드시 먼저 오르는 게 아니라 사실을 다시 한 번 알려주셔서
저도 이제 다음 이제 1호기를 준비할 때 이런 것들을 염두해 두고 해야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직장인 투자자로 결과를 만들기 위한 수준의 기준을 제시를 해 주셨습니다.
지역별 가격 수준에 대한 판단이 바로 가능하다. 투자 자체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그리고 투자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기준이 잘 잡혀 있고 흔들리지 않는다.
사실 이 세 번째가 진짜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도 제가 지금까지 1호기에 대해서 되게 막연하게 생각하다가
막상 진짜 1호기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지금
진짜 아무것도 모르는 것 같고 의사결정이 안 되는 그런 경험들을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내가 아직 직장인 투자자로서 완벽하게 체화되지 않았다는 걸 많이 느꼈고
직장인 투자자로 결과를 만들기 위해서 더 노력하고자 마음먹게 되었습니다.
시장이 흔들려도 버티는 사람이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고 하셨어요.
그래서 저도 확신을 가지고 버틸 수 있는 물건을 매수하기 위해서 더 노력하겠습니다.
좋은 강의해 주신 마스터 멘토님 정말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