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관심있는 지역(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대장단지를 공부하라고 하셨었는데
제가 알고 싶은 단지의 아파트 수익률을 먼저 해서
두개의 아파트 보고서를 올립니다.
인천시 중구 삼안해피하우징
✅아파트명
행복한 금호 어울림 아파트
: 이 아파트를 고른 이유, 같은 평형에서 전고점과 가장 많은 차이가 있어서
(다른 1위부터 5위까지의 아파트는 전고점과 많이 차이가 나지 않아요)
✅위치(지도)
✅입지평가
수도권 | 경기 | 부천시 | S | 318,670 | 87,889 |
2. 교통
여의도역: 51분
시청역:1시간
강남역: 1시간9분
3. 학군
상일중 89%
4. 환경
세이브존
홈플러스
현대백화점
이마트
중앙공원
상동호수공원
5. 공급
공급이 거의 없다..
✅수익률 분석 (5년 내 투자 타이밍)
✅현장사진
✅투자 결론 (각 항목별 평가)
1) 저평가 : 고점대비 20%하락
2) 환금성 : 활발히 매도 매수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내가 처음했던 아파트와 비교해서 네이버 실거래가에서 빨간점도 많이 보인다)
3) 수익률: 만약 전고점을 회복한다면 2.5억을 이용해 전세를 끼고 매수하고 전고점 회복시 2억 가량 상승할 예상이므로언제 오를지는 모르겠지만 90%의 수익률이 예상된다.
4) 원금보전: 전세가가 5.5억~6억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매매가가 바닥이 7.7억이므로 8억에 매수하더라도 원금보전을 할 수 있으리라고 예상된다.
*그런데 칼럼에서 본것처럼 최고 전세가가 매매가랑 같은 아파트는 어떻게 검색하지? 궁금하다
5)리스크관리: 전세가가 오르더라도 나도 같이 많이 올리지 말고 최대한 보수적으로 2년에 5%씩 올려서 역전세를 예방한다
나의 투자 결론 : 내가 만약 부천에 집을 산다고 하면 사고 싶은 아파트를 검색해봤는데 그 중에 하나가 금호어울림이다. 그러나 아직도 투자금이 많이 들어가는 것(2.5억)같고 같은 돈으로 다른 지역 어디를 투자 할 수 있을지 더 좋은 곳은 어디 있는지 공부가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
✅ 작성하면서 느낀점 :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는 임장보고서 안에 하나씩 들어가는 걸까? 궁금하다.
✅아파트명
삼안해피하우징
✅위치(지도)
✅입지평가
1. 직장
수도권 | 인천 | 중구 | B | 115,326 | 22,370 |
2. 교통
강남: 1시간 37분
여의도: 1시간 14분
시청: 1시간 24분
3.학군
인천공항중학교: 88%
4. 환경
롯데마트(걸어서 10분)
5. 공급
운남동 영종국제도시제일 2025년9월 670세대
운남동 영종오션파크모아 2026년4월 560세대
운서동 운서역대라수어썸 2026년8월 311세대
운남동 영종진아레히 2027년5월 547세대
✅수익률 분석 (5년 내 투자 타이밍)
✅현장사진
✅투자 결론 (각 항목별 평가)
1) 저평가 : 고점대비 12%하락
2) 환금성 : 해피하우징근처 4개 아파트 단지를 비교해보았을때 빨간색은 중간에 있다. 같은 동의 주변 단지들과 비교해서 중간 같다.
3) 수익률 : 5년내 최저금액으로 투자했을경우 투자금대비 5000만원/500만원 10%의 수익률을 볼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최저금액을 알수 있을까?
그리고 내가 투자했던 2016년에는 투자금액이 9500만원(부대비용 포함 1억)이었고
현재 시세가 2억 1000이라고 치면 100프로 수익률이다.
4) 원금보존 : 전세가율이 80%가까이 되므로 원금을 잃을 확률이 낮다
5) 리스크 대비: 2025년까지 공급이 많고 수요가 한정되어있다. 주변에 공항으로 인해 일자리가 있어서 전세/월세수요가 꾸준하나 공항신도시에 계속 새 아파트가 지어지고 있어서 급격한 가격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 일자리가 한정되어있고 시청/여의도/강남까지의 거리가 다 1시간 이상이며 그러므로 여기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근처 공항이나 관련 일자리때문에 주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섬밖으로 나가려면 이동수단이 한정적이다.
나의 투자 결론 : 최근 5년의 가격 최저점을 찾아서 투자할 수 있었다면 성공했던 투자이었겠지만 그렇지 못했으므로 아쉽다. 싸게 사야 한다는 저!!! 환수원리의 저평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 작성하면서 느낀점 : 내가 관심있는 아파트 모두 이렇게 보고서를 작성해봐야겠다
댓글
낭낭이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