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러+32개월 아이를 가진 워킹맘이라
스스로 제약을 두고 서울, 수도권 투자는 고려하지 않다가
결국 답은 서울 투자라는 생각에 호기롭게 서투기를 신청하게 되었다.
지방 투자와는 다른 관점으로 봐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이번 강의로 어떻게 봐야하는지 알 수 있었다.
2. 공급 부족 + 금리 인하 + 22년 역전세로 전세가를 오를 것이다!
3. 내집마련이 아닌 투자자의 관점을 장착하라!
가. 단지를 좋다 vs 싫다로 보지 마라. 좋다 vs 덜 좋다 로 보고 투자 우선순위만 있다.
나. 약점이 있는 단지가 좋은 투자 기회를 줄 수 있다.
다. 좋은 단지 하나에 꽂히지 말고 여러 단지를 투자 대상으로 리스트업해놓아라. 어느 단지가 언제 기회를 줄지 몰라
그리고 서울의 A지역을 면밀히 분석해주시면서 공급 부분을 눈여겨 봤다.
확실히 지방과는 다른 관점이었다.
절대적인 공급물량이 중요한 지방과는 달리
서울은 수요가 많기 때문에 사람들의 심리가 중요하다고 하셨다.
그리고 전세가를 분석하실 때 ‘평균회귀’ 개념을 알려주셨다.
공급과 전세가가 정비례하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평균회귀’ 때문이라고 하셨다.
앞뒤 3년 간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겠다.
유디 님의 강의 전반에 느낀 점은
지금이 기회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공부만 하다가 또 좋은 곳을, 좋을 곳을 찾다가 투자를 놓치는 우를 범하지 말라고 하셨다.
앞마당 만들어놓고 시세트레킹을 게을리하다보니 투자까지 연결짓지 못한 나를 반성한다.
시세지도를 그려보고 트레킹을 하여 나의 앞마당 중에 가장 좋은 단지를 적절한 가격에 들어가야겠다
댓글
라오니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