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기27기 49조 만평이] ㅇㅅ, ㅎㄱ, ㅅㄹ!! 정성적인 데이터에 집중하자! 1주차 강의 후기

 

 

 

| 일자리의 양/질이 절대적으로 가격으로 연결 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일자리’ 이렇게 생각하며 일자리 양질이 좋은 곳이

무조건 우선 순위다라고 봤는데,

많은 수요를 끌어드리는 것은 맞지만 절대적인 입지요소는 아닌 것.

지역을 퉁쳐서 보면 안되고 결국에는 단지 대 단지임을 배웠다.

 

소득수준과 일자리 규모를 함께 보면 더 재밌다.

보통 서울은 일자리 규모가 큰 지역이 거주민들 소득 수준도 높은 편인데

지방은 직주근접의 메리트가 적다 보니

일자리 규모가 소득 수준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년도별로 소득수준(비율)을 확인하면

그 지역 주민들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다.

 

 

 

|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

내가 알고 있는 정보는 남들 또한 알고 있다.

그러니 남들이 관심 가지지 않는 지역을 찾아 투자해서 높은 수익률을 얻자.

 

수도권에도 그런 지역들이 있는 듯 하다.

유독 더 몰리는 곳, 잠잠한 곳.

 

이전에 제바님께 메코 받았을 때도

보던 단지에 경쟁자가 많이 붙었다면

다른 단지들을 보아도 좋다고 하셨는데(수도권이었지만)

비슷하게 남들이 아직 관심 가지지 못한 지역들도 알아두면

보다 더 유리한 지점에서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 공급물량 = 매수 뿐 아니라 보유, 매도까지!

지역 전체 입주물량은 3년 전부터 찾아야 하는 이유는,

입주 영향이 3년까지 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번 결론 때, 1등 뽑기한 물건 옆에

입주 3년 전까지 붙여 리스크를 한 번 더 확인해보며

  1. 보유하는 기간 동안 역전세 등의 리스크가 없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일지
  2. 3년 뒤 매도가 가능한 상황인지 

한 번 체크해보면 좋을 듯 하다.

 

튜터님이 보여주신 미분양 물량+입주물량+지수

같이 보는 방법도 더 명확한 인과관계를 찾는데 도움이 되더라!

요번에 BM해보자.

 

 

 

| 순이동이 증감하는 곳 축소되는 지역을 찾자

인근 도시로부터 순이동이 증가하는 지역은

그만한 요소가 있다는 것!

주변 중소도시들이 쇠퇴하고 있다면

그 지역 주민들이 어디로 이동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인구=수요의 힘!

 

 

 

| ★★★ 지방갈 때  봐야하는 건 뭐다?

사람, 환경, 연식!!!

 

지방 투자우선순위는?

땅의 가치가 높아서 구축임에도 비싼 가격을

유지하는 곳들이 있지만 정말 특정한 지역에서나

볼 수 있는 것!

지역마다 다르지만 중소도시의 특징을 가진다면

연식, 이후로 입지를 찾아보자.
 

사람을 잘 볼 수 있는 방법은

의식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번 임장 때 

계속 사람들을 보려고 의식해보자.

 

신축! 신축!

중소도시의 특징을 가질 수록

연식이 매우 중요함을 배웠다.

환경도 물론 봐야겠지만, 이 단지가 정성적으로 주는

느낌 또한 꼭 꼭 챙겨가자.

 

 

 

BM항목

| BM할 점BM

  • 임장지의 적정 공급물량을 직접 찾아보기
    - 미분양 물량과 입주물량 대조해보면 입주 영향을 더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
  • 5년치 월평균 소득비율 조사하기
    - 중산층의 지역 이동 확인할 수 있음
  • 사람을 본다고 의식하기
    - 임장하며 사람들을 보기 위해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함. 이 동네는 어떤 사람들이 살고 있지? 궁금해하며 살펴볼 것.

댓글


스프링북user-level-chip
25. 04. 05. 11:38

1강 완강 고생하셨습니다!! 분임까지 파이팅입니다!

쭈쭈냥user-level-chip
25. 04. 06. 18:02

조장님 실행력 갑이네요~ 후기 잘 읽고, 태도도 배워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