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30기 13조 앤치즈] 프레임을 읽고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프레임

저자 및 출판사 : 최인철, 21세기북스

읽은 날짜 : 25.4.2.-4.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설계의대상 #의미중심의 프레임 #리프레임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9점 

 

 

1. 남기고픈 내용 :

 

같은 사이즈 2개의 원그림 - 감각의 왜곡 착시, 프레임의 영향력.. 프레임에 자유로울 수 없음, 어떤 프레임이 있는지 인식해야!

 

 

오늘=누군가에겐 간절했던 내일 


 

배우는 사람 vs 배우는 걸 멈춘 사람

(나는 세상을 배우는 자와 배우지 않는자로 나눈다, 벤저민 바버)

 

평소에 자신이 자주 던지는 질문을 점검해야한다.

(성장하고 있는가? 몰입하고 있는가?)

 

프레임은 결심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설계의 대상이다. (더 나은 것으로 설계 & 시공!)

 

행복은 무엇이 아니라 어떻게의 문제다. 행복은 대상이 아니라 재능이다, 헤르만 헤세

 

상위수준(why로 물어라! vs. 어떻게) , 의미중심의 프레임.. ”지구의 한 모퉁이 를 청소하고 있다네“

* 상위프레임 - 왜 이일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의미, 목표를 묻는다

 

** 상위수준의 프레임이야말로 우리가 죽는 순간까지 견지해야 할 삶의 태도이며, 자손에게 물려줘야 할 가장 위대한 유산이다 **


 

접근프레임 vs 회피프레임

 

진정한 지혜는 내가 나 자신의 행동을 설명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려는 마음의 습관에서 나온다.


 

자기 중심성


 

사람프레임 —> 상황프레임

나 자신이 타인에게는 상황이다.— 다른 사람의 행동이 그 사람의 내면이 아니라 바로‘나’라는 상황 때문에 기인한다는 깨달음. 그것이 지혜와 인격의 핵심이다.


 

‘내가 상황이다‘ - 더 나은 나를 창조하려는 노력!

 

자기실현적예언

단순존재효과

단순노출효과


 

탁월함 유발자 vs 안주함 유발자

 

당신이 웃으면 세상이 당신울 향해 웃을 것이다.

When you smile, the world smiles with you.

웃음 유발자

 

**** ‘나는 어떤 프레임이 될 것인가?’ **** C가 되어라

 

인생은 자신을 발견하는 작업이 아니라, 자신을 창조하는 작업이다. Life is not about finding yourself. Life is creating yourself.  조지버나드쇼


 

중립적인 대안으로 리프레임!
 

"한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갈 수는 있지만, 한 가지 자유는 빼앗아 갈 수 없다. 어떤 상황에 놓이더라도 삶에 대한 태도만큼은 자신이 선택할 수 있는 자유다." 빅터 프랭클

 

오늘, 당장 내일의 삶을 의미중심으로 바라보고 있는 사람! Savoring 대상으로서의 현재.. Savor the moment!

 

긍정적인 언어 —> 수명 연장의 비결!


 

** 내가 가장 되고 싶은 이상적인 나 그려보고 지속적으로 생각하고 닮아가기위해 노력 **

 

풍요로운 관계의 중요성

 

습관은 그 어떤 일도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도스토옙스키,, 중단없는 노력의 중요성(단순반복 시간쌓는 것이 아닌, 계획된 훈련 with 목표, 선생님, 피드백) - 마음으로 간절히 원하고 노력하면, 비록 적중하지는 못해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리프레임 과정 반복

 

우리의 마음은 고작 재테크로 채워져야 할 시시한 대상이 아니다. 그보다는 훨씬 더 소중한 것들로 채워져야한다. 나는 지혜가 그 하나의 대안이라고 믿는다.

 

자신의 한계를 깨달았을 때 경험하는 절대겸손,

자기중심적 프레임을 깨고 나오는 용기,

과거에 대한 오해와 미래에 대한 무지를 인정하는 지혜,

돈에 대한 잘못된 심리로부터의 기분 좋은 해방.


 

모든 출구는 어딘가로 들어가는 입구다. Every exit is an entry somewhere. 톰 스토파드

 

 

2. 이 책에서 얻은 것과 BM points : 

 

  1. 어떤 이슈와 문제에 대해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을 프레임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문제해결을 위해 객관적인/중립적인 시선으로 리프레임 시도해보기
  2. 내 공부와 투자에 있어서 상위목표(의미중심의 프레임) 생각해보기
  3. 내 주변 관계 되돌아보기
  4. 내 언어 습관 점검.. 긍정의 언어로 채우자
  5. 주변의 물건… 정리하고 쉽게 늘리지 않기, 단순화
  6. 순간순간의 즐거움과 행복 생각해보기

 

 

 

 


댓글


정투리user-level-chip
25. 04. 06. 17:35

치즈님 화욜 독모에서 많은 얘기 나눠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