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 웰씽킹(WEALTHINKING)
2. 저자 및 출판사 : 켈리 최, 다산북스
3. 읽은 날짜 : 2023.12.06
4. 총점 : 7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Chapter1. 인생의 밑바닥에서 싹튼 부의 씨앗]
#독서 #분명한목표 #부를대하는태도
1000명의 사람을 스승으로 삼다 - 최근 읽은 자기개발서에서도 일관되게 나온 내용으로 다른 사람의 성공 방식을 이해하고, 그 방법으로는 독서와 멘토 또는 롤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나에게 가장 필요한 지속할 힘과 해결책을 스승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목표의 달성도 결국 지속과 해결이 관건이다.
100일만 실천해도 누구나 알게 된다 - 성공하는 사람들의 일곱 가지 실행 도구로서 목표를 분명히 하고, 데드라인과 목표를 구체적으로 상상한다. 그리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액션플랜을 세우고, 목표를 잠재의식 속에 내제화 한다. 이것 역시 다른 책에서 일관되게 나온 내용들이다. 다만 책을 읽었음에도 아직 구체적으로 실행을 하지 못하고 있어 일단 시작하자는 것이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그 모든 비밀은 웰씽킹에 있다 - 부를 이루는 패턴이 있다. 다만 이를 어떤 태도로 접근하는가에 따라 부자와 빈자가 나뉜다. 실패를 남 탓이 아닌 합리적인 원인을 분석해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아닌, 내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여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Chapter2. 부를 창조하는 생각의 뿌리, 웰씽킹]
#결단력 #시각화 #인생의수레바퀴
핵심가치 -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의사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핵심가치가 명확하면 의사결정 과정이 단순해진다.
결단력 - 기적은 행동하는 사람에게 찾아온다. 지금 당장 결단하라.결단은 행동으로 옮겨졌을 때만 가치가 있다.
선언 - 선언은 탈선하지 않고 목적지에 다다를 수 있도록, 또 여러 갈래로 나뉜 길에서 한눈 팔지 않도록 가드레일을 설치하는 작업이다.
믿음 - 모든 성공은 자기 자신을 믿고 사랑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He can do, She can do, Why not me?"
신념 -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신념은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발현된다. 무의식 속 나를 믿는 마음을 신념으로 바꾸기 위해 지속적으로 반복해야 한다.
확신 - 무엇이든 내가 하면 다 할 수 있다고 확신해야 한다. 작은 습관을 고쳐 성공을 맛보고 점점 할 수 있다는 확인을 키워가야 한다.
질문 -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질문과 그 답을 찾으면 바로 실행에 옮긴다.
시각화 - 사람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 환경에서 무의식 속에 한계가 정해지고, 스스로가 벗어날 수 없는 말뚝을 만들어낸다. 그 말뚝을 뽑아내기 위한 방법으로 성공과 비움에 대한 시각화를 제시한다. 성공에 대한 이미지를 시각화 하고, 부정적인 것은 비워버리는 것을 시각화 한다.
인생의 수레바퀴 - 균형 잡힌 삶을 위해 삶을 시각화한 수레바퀴를 만들고 만족도를 확인한다. 그중 한 가지를 최고 수준으로 만들고, 다른 영역은 비슷한 수준으로 따라오게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부를 대하는 태도에서 부자와 빈자가 나눠진다. 나는 부를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빈자에 가까운 태도로 대하고 있었다. 실패를 남 탓으로 하진 않지만, 눈앞의 문제해결에만 급급하여 성공의 밑거름으로 삼지는 못하였다.
2.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안전장치가 있는 친구들과 비교가 아닌, 내가 할 수 있는 도전과 실패에 대한 극복 방안을 생각해보아야 한다.
2. 다른 책에서도 일관되게 주장하는 독서/멘토/비전/실행 등 이 있다. 책을 읽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최근 읽은 책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들을 생활에 적용 시킬 방법을 찾아보자.
2. 부자의 태도로 부를 대하자. 실패에서 배울 점을 찾고, 성공을 위한 밑거름으로 삼는다.
3. 실패를 극복할 방법을 구체적으로 찾아보고, 그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 163) 유형2(리스크를 선택하고 선언하는 리더)의 리더가 실패한 3개의 프로젝트는 앞으로 그가 더 성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러나 유형1(리스크를 선택하지 않고 선언하지 않는 리더)는 아무 선언도 하지 않아 실패하지는 않았지만 성장하지도 않았다.
(P. 181) 가끔 난데없이 큰 난관이 드리워지면 답이 없다고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답이 없는 게 아니라 아직 답을 찾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했으면 좋겠다. 이 어려움을 해결할 답을 아직은 모르지만 답은 꼭 있다고 믿기를 소망한다. 질문을 바꿔나가며 꿋꿋이 대답하면 당신은 반드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손쉽게 찾은 답은 당신의 인생을 뒤바꾸고 심장을 요동치게 할 기폭제가 되지 못한다. 나도 그랬다.
(P. 195) 어쩌면 당신도 '나는 절대 할 수 없어' 라는 말뚝에서 도망치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충분히 그것을 뽑아내고 푸른 평원으로 나아갈 수 있음에도, 스스로를 구속하고 있는 건 아닐까.
(P. 208) 프레젠테이션이나 강연을 앞두고 있다면, 떨지 않는 모습이 아니라 강당에서 감동적인 강연을 하고 있는 모습을 상상하라. ... 큰 힘이 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