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열기-실준반을 듣고, 실준반에서 작성한 임보라고 하기에도, 앞마당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한 한 개의 지역을 가지고
별 생각과 고민 없이 지방투자기초반을 수강한 것이 잘 한 것일까.. 싶지만 유디님의 말씀을 위로삼아..
서울에서만 살고 있고, 지나가는 길에도 한번도 가보지 않았던 A지역 분석강의를 듣고
내가 임장하는 지역과 다른 지역인데, 같게 보아도 되는 것인가..와
지방은 정말 어렵구나..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지방투자는 수도권투자와 완전 다르다. 생각을 리셋하라.
지방의 투자 기준과 가치판단 기준을 알게 되었지만 나도 모르게 불쑥 불쑥 수도권 기준으로 바라보게 된다.
의식적으로 지방 기준으로 생각하고 보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정량적인 평가보다 정성적인 평가가 정말 어려운 것 같다.
땅의 힘이 크지 않은 지방에서 그 지역 사람들의 선호도 파악!! 초보인 나에겐 많이 어렵다.
지역 사람들이 선호하는 생활권일까? 선호하는 단지일까? 그렇다면 왜?? 그 이유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임장을 통한 경험의 축적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느리더라도 멈추지 말고 그냥 하자. 행동하자.
강사의 지역 파악 방법론을 배워가서 적용하라.
방법론을 배웠지만 아직은 많이 어렵다.ㅎㅎ
내재화 하기까지는 당연히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강의 복기와 임장이라는 행동을 통해서 한걸음 한걸음씩 적용해 보자고 다짐한다.
지방은 까다롭게 더 보수적으로 접근하라.
투자란 입지의 가치가 가격보다 쌀 때 하는 것이다. 입지가 아무리 좋더라도 가격이 비싸면 투자하지 않는다.
*적용할 점
의식적으로 사람을 보려고 노력하자.
(이번 분임때.. 난 사람을 하나도 보지 못했다ㅜㅜ 생각조차 못했다.)
환경에 집중하자.
(이 환경은 이 지역 사람들이 선호할까? 왜? 질문을 던지며 생각해보기)
댓글
레이지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