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씨] 결국엔 오르는 집 값의 비밀

제목 결국엔 오르는 집 값의 비밀 횟수  
저자 김준영 출판사 한국경제신문 
읽은 날짜 20250318~
책에서 깨닭은 것적용할 점 
결국 물가상승으로 오를수밖에 없음 물가상승을 반영된 나의 저축률 및 수익률을 위해 투자 공부 꾸준히 해야함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페이지 문구내용 
p25전세상승율이 낮은 도시와 높은 도시는 미래의 기대수익차이에 의해 전세가율이 다르게 만들어진다. 
p28자산시장의 두개의 큰축은 부동산과 주식입니다. 
p35전세가격은 부동산 시장을 둘러싼 환경 즉 수급환겨으 지역의 특성, 상품의 특징, 금리 등 가격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p83수도권의 경우는 긴 시간의 공급부족이 전세가율의 상승을 불러오고 이는 주거부족과 투자환경(수익률이 좋아지는 환경, 갭이 적은 시기, 전세가율 상승)을 만들어 매매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집니다.  
p108서울수도권은 신규입주물량과 매도물량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지방에서는 신규공급의 영향이 절대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112공급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서울 수도권과 지방사이에 차이가 있습니다. 공간의 크기 차이때문에 지방은 3년 누적 공급량으로 서울과 수도권은 장기 누적 공급량으로 살펴봐야합니다, 
p128성장하는 도시 특성-인구증가 낮은 자가 보유율가구수증가 낮은 전세가율 높은 전세가격상승률 / 소멸하는 도시의 특성- 높은 자가 보유율 낮은 전세가격상승률 인구감소 높은 전세가율 가구수 증가 둔화 
p224집값이 오르는 원리 1. 인구감소 2. 월세화 3. 통게_통게의 해석에서 가장 조심해야할 점은 동행지수와 후행지수를 마치 선행지수처럼 분석하는 것이다. 4. 성장하는 도시인지 아닌지는 전세가격 상승률을 통해서 알수 있다. 5. 만약 도시의 경쟁력이 타도시보다 약한 곳이라면 선택의 폭을 좁혀야 합니다. 
p236지방의 도시와 서울 수도권의 가장 중요한 차이는 지방은 공급이 영향을 미치는 시간에 의해 짧은 싸이클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댓글


리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