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요즘 운 좋게 오프라인 수업을 듣고, 싸인 받을 때 튜터님들께서 제 닉네임 ‘돈월이’에 대해서 한 마디씩 건네주십니다.
돈워리라는 의미인가요?
나는 2027년, 20억+월 2천만원 자동 현금유입 시스템을 갖춘 자산가가 된다.
돈 월에 이천만원씩 벌고 싶다.
매출도 아니고, 순수익도 아니고, 자동현금유입시스템 월 2천 ..
이런 의미입니다. 중의적이지요. Don't worry, 돈 월 이천! 하루하루 즐겁게 도전하며 가능성을 쌓아나가겠습니다.
유디님과 함께 시작하는 지투기 첫 수업! 입지평가 기준이 달라진다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상상 이상으로 디테일하게 지역을 알아가려는 이해를 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외국어를 공부할 때 문법만이 아니라 화법도 알아야하는 것 처럼, 기본적인 원칙 이외에도 그 지역 사람들이 수많은 세월동안 쌓아온 가치관, 기준 들을 헤아려보는 노력들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도 자꾸 따라서 사고흐름을 같이 하려다보면 어느순간에는 그 지역 사람들의 이해방식에 합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량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측면을 판단할 수 있으려면 정말 세심하게 분임부터 직접 꼼꼼하게 보고, 스스로 생각을 많이 해보고 더 느끼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유디님께서 도시개요에서는 인구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인구규모나 이동 등을 파악하면서 어느 정도 사람들의 모습과 생활모습을 밑그림 그릴 수 있게 되는 것 같아 신기했습니다. 저도 인구에 대해 숫자를 통해 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 생각을 꺼내보는 연습을 해 보겠습니다.
수업 끝나고도 질문을 잘 받아주셨는데, 실력을 키우지 않는 게으른 투자자가 되거나, 투자는 하지 않고 장롱면허에 그치는 도로로 나가는 것을 두려워 하는 우는 범하지 않도록 저에게 부족한 것에 비중을 더 두어가면서 골고루 성장시키겠습니다. 1호기가 될 첫 지방투자의 기초, 그 시작을 성심껏 알려주시고, 좋은 자극도 많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