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는 권유디님께서 광주 지역분석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광역시 시세를 볼 때마다 싸다고는 생각하고 있었는데 항상 후순위로 밀렸던 광주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주셨고,
특히 광주광역시라는 도시의 특징과 투자 관점에서 무엇을 중요하게 봐야 하는지 명확하게 짚어 주셔서 광주에 임장을가보지는 않았지만 광주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지방투자의 핵심은 인구수, 입지, 상품성이다.
- 인구수가 많은 지역을 우선순위로 투자해야 하지만, 인구수가 ‘법칙’은 아니다. 인구수가 줄어들수록 중심부를 투자해야 한다.
- 지방은 땅의 힘이 크지 않다. 수도권에서는 눈에 보이는게 좋으면 경계해야 하지만, 지방은 눈에 보이는게 좋으면 좋은 것이다.
- 지방은 학군이 좋은 일부 구에 한하여 땅의 가치가 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창원 성산구 반림동 등)
- 지방에서 선호하는 단지는 특정 학교를 보낼 수 있는 단지, 직장/환경/학군이 종합적으로 좋은 단지, 전통적인 부촌에 있는 단지이다.
- 지방 거주지 선호도를 결정하는 입지 요소는 학군, 환경, 커뮤니티이며, 상품성 요소는 연식, 브랜드, 택지이다.
- 광주광역시는 외곽이라도 빈 땅에 새아파트를 지으면 사람들이 그 지역으로 옮겨갈 수 있다. (땅의 가치가 거의 없다.) 입지의 힘이 크지 않으므로 환경, 연식의 비중을 높여 생각해야 한다. → 타 지역 대비 매우 강한 신축 선호
- 광주광역시는 연식, 환경, 사람이 중요하며, 연식을 제외하고 환경, 사람은 정성적인 판단을 해야 하므로 직접 임장을 하고 경험을 축적하여 선호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광주광역시 투자 우선순위는 입지 좋은 신축, 입지 안 좋은 신축, 소수의 입지 좋은 구축 순이다.
- 꾸준한 지방 임장으로 앞마당을 늘려 나가면서 경험을 축적하여 정성적으로 단지 선호도를 파악하는 연습을 한다.
- 직접 광주광역시에 임장을 가서 단지 선호도 파악을 한다.
- 광주광역시에 투자를 할 때는 신축 단지 위주로 고려를 한다.
1주차 강의를 통해 광주광역시 특징에 대하여 알 수 있었고, 광주광역시에서도 투자를 해서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무시하지 말고 언젠가 임장을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를 해주신 권유디님! 고생하셨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