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 - 세이노의 가르침 (25.04)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세이노의 가르침

저자 및 출판사 : 세이노 / 데이원

읽은 날짜 :  2025. 4. 1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부자    #행복    #투자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1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필명 세이노는 현재까지 믿고 있는 것들에 대해 No라고 말하라(Say No)는 뜻이다. 2023년 기준 순자산 천억 원대 자산가다. 1955년생. 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나 서너 살 유년기부터 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았다. 아버지가 전 재산을 사기로 모두 날린 후 사망하면서 친부모를 모두 여의고 고교시절부터 생활고에 크게 시달렸다.
고교 3학년 때 건강과 가난 때문에 휴학하고 친구 아버님과 친구들의 투자를 받아 사업을 했으나 실패 후 복학하여 고교를 4년 만에 졸업하고 입대했다. 공군사병으로 복무하는 동안 군부대 부동산 관리 업무와 도서관 관장을 맡았고, 제대 후 영어공부에 몰두하여 미8군 내 메릴랜드대학 분교에 입학하였다. 학비를 벌고자 보따리 장사부터 시작하여 과외ㆍ입시영어학원ㆍ번역업 등을 했다.
결혼 후에는 거의 십여 년 이상 쉬는 날 없이 밤늦도록 일과 공부에 몰두하면서 의류업ㆍ정보처리ㆍ컴퓨터ㆍ음향기기ㆍ유통업ㆍ무역업 등으로 자산을 모으기 시작했다. 그 자산을 외환투자ㆍ부동산경매ㆍ주식 등으로 증대시켰고 학연ㆍ혈연ㆍ지연ㆍ정치적 배경 없이 홀로 현재의 자산을 이룩했다.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 지역 부사장직도 겸임하였고 사업상 70여 개국을 여행했다. 국내에서 경영하였던 회사들은 수출탑과 산업훈장을 받았으며, 인재경영대상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2003년부터는 사업을 줄여 왔고 광범위한 독서ㆍ음악ㆍ영화감상을 즐긴다.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 사람을 가르치고 깨우치는 것이며, 가장 싫어하는 것은 접대 술자리, 기업 정치가들, 부자인 척하는 자들의 블러핑. 매년 십억 원대의 소득세를 2000년까지 5년 이상 세이노 개인이 납부하였고 2001년부터는 가족 단위로 납부하고 있다.

(출처: 교보문고)

 

2. 내용 및 줄거리

 :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속 시원하게 인생 교훈을 말해준다.

간만에 제대로 뼈맞았더니 정신이 번쩍 든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행복은 우연히 찾아오는 것이 아니며 외부 요인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도 아니고 순간순간 충분히 몰입할 때 찾아온다.”

(p.331)

 

행복과 성장은 별개라는 말을 들었다.

그 땐 그 말이 확 와닿지는 않았고, ‘그렇구나. 그래야 하는구나.' 정도였던 것 같다.

 

책의 이 구절을 읽고 이제야 체감했다.

‘행복은 순간순간이구나!’

 

요즘 뭘 하든 정신이 산만했다.

육아, 집안일 할 때는 머릿 속으로 ‘아, 책 읽어야 하는데..’, ‘시세 좀 봐야 하는데..’이런 다른 생각들을 하고,

또 막상 책을 읽거나 시세를 볼 때는 ‘아, 빨래 개야 하는데.’, ‘이유식 언제 만들지..’라며 또 다른 생각들을 했다.

 

그래서 행복은 커녕 불안감만 느꼈던 것 같다.

 

오늘은 아이와 놀아줄 때 정말 아이에게만 집중해봤다.

아이 눈을 더 바라보고, 옹알이에 더 반응하고, 더 적극적으로 놀아주었다.

그랬더니 나도 모르게 행복감을 느끼고 있었다.

 

울 딸랑구랑 노는 시간에 집중하니 행복감이 저절로 찾아온다.

가족과 있을 때는 가족에게, 책 읽을 때는 책에, 운동할 때는 운동에.

그렇게 순간순간에 집중해야지.

그러면 매순간 행복하겠지?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299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 "내가 택한 삶은 소유의 삶이었으나 명심하라. 사업과 투자의 종잣돈을 마련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소비는 최대한 억제하였다. 즉 소유를 지향하면서도 절약을 미덕으로 삼고 ‘행복하게 돈을 모으며’ 살았다. 그리고 그렇게 하여 모은 돈들은 점점 더 불어나더니 나를 부자로 더욱더 만들어 주었고 그때부터 비로소 소비를 하기 시작했다. 기억해라. 소유를 더 하려면 무소유에 가까운 절약부터 하여야 한다는 진리를 말이다.

 

→ 종잣돈 모으는 게 중요하단걸 알면서도 그 과정이 늘 어렵게 느껴집니다.

심지어 ‘행복하게 돈을 모으지도’ 못합니다.

‘아, 벌써 생활비 다 떨어져가네.’

‘돈이 없네.’

나도 모르게 혼잣말로 볼멘소리를 합니다.

어떻게 하면 저자처럼 행복하게 돈을 모을 수 있을까요?

각자 노하우를 말해봅시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돈의 속성

※ 최소 100자 이상 작성 시 과제 인정되며,  저자 및 도서 소개, 목차만 작성 시 과제 미인정 될 수 있습니다.


댓글


달려라물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