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직투 SCHD가 소량 있는데. 매도를 한번도 안했어요. 올해라도 해야 할까요?

광금러님의 강의를 듣고 키움증권 계좌를 개설하여 수업을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기초반)

듣다보니.. 세금이 큰 난관이더라구요.. 

주린이인 저는 NH증권계좌에 이계좌에 국내 몇개 종목, 또 다른 계좌에 국내 몇개 종목, 또 연금계좌에 국내 ETF 몇개종목 이케 투자 되고 있습니다.

또, NH증권에 미국직투 SCHD 30주가 있습니다. 하지만 매수 하고 한번도 매도 하지 않았었는데,;;

 

궁금증 1) 마국직투, 손익은 아주 미미하게 15만원 내외 인데.. 이렇게 소액도 매년 매도 후 재 매수를 해야 하는걸까요?

 

궁금증 2)미국직투, 250만원이 넘어가게 되면 그때 부터 매도후 재 매수를 하면 될까요?

 

궁금증 3)국내 주식은 손실덩어리 들인데.. 국내 주식들도 매도후 재매수 해야 하는걸까요?

 

궁금증 4)연금계좌의 종목들은 그냥 계속 모아가면 될까요?

 

강의를 듣으며 공부를 하다보니.. 그동안 내가 뭘 해놨나.. 안하느니만 못한 짓을 한건가. 

이 종목들을 어떻게 정리를 해야 할까…. 머리가 복잡합니다.~~  선배님들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댓글


젴크크user-level-chip
25. 04. 13. 12:29

한 가지 전제가 필요합니다. 전제: 머니자석님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장기투자를 거의 평생에 가깝게 하실겁니다. 준비 되셨나요? ----- 1. 미국주식 시세차익 매도 관점 우리나라 세법 상, 해외주식의 양도소득세(시세차익에 대한 세금)는 1년 250만원 한도 내 비과세입니다. 단, 그 전에 이해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1) 세금은 언제 부과되는가? N년도에 발생한 해외주식 시세차익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는 N+1년도 5월 종합소득세 과세기간에 납부합니다. 증권사마다 다르시만 양도소득세 대행 메뉴가 있습니다. 잘 찾아보고 하시기 바랍니다. 2) 현재 [머니자석 님의 입장에서] 매도 후 재매수를 할 필요가 있는가? 우선, 지금은 4월이니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올해 내내 매수를 하시다가 11월~12월쯤 가셔서 계좌를 다시 보세요. 내년 및 앞으로도 쭉 들고갈 포트폴리오라면 일부 매도 및 재매수를 하실 필요성이 있습니다. 매도는 "시세차익 매도 실현"금액 기준으로 250만원 한도 내에서 진행합니다. 예를 들면, 1주아 10만원, 100주 사서 천만원어치 산 주식이 25% 올라 1250만원이 되었다면 현재 가치 기준으로 250만원어치 매도를 해야합니다. 계산해보면 20주가 정도가 되겠죠. 그 다음 바로 같은 값에 주식을 250만원어치 더 삽니다. 이러면 2025년에 주식 매도로 확보한 250만원에 대한 수익을 세금계산하게되고, 1년 비과세 한도에 들어온다면 세금을 낼 필요가 없습니다. 이 과정을 매년 연말에 진행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국내 주식은 손실덩어리들인데 매도 후 재매수를 할 필요가 있을까? 2024년 금투세 이슈로 시장이 시끄러웠죠. 결론부터 말하면 국장에서 매도 후 재매수는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의 경우, 시세차익에 대해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조금씩 자산을 미국주식으로 옮기실 것이라면, 그때 그때 조금씩 팔면 되겠죠. 4. 연금계좌의 종목들은 그냥 계속 모아가면 될까? 어떤 종목인지, 계속이 언제까지인지 모르기 때문에 답변을 드릴 수 없습니다. 다만, 연금계좌에서 계속 모아가실 생각으로 매수를 진행하셨을 것이라 생각하고 그에 맞게 모아가시면 될 것 같아요. 연금저축계좌의 종목들은 장기투자하여 나의 자산을 키우는 목적이 있습니다. 그 목적이 달성이 되었든 안되었든, 55세 이후 은퇴하게된다면 그 자산으로 내 연금을 받을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그 때가 되면 적절한 배당주 ETF들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하고, 내 연금수령액수와 배당주 세팅을 알맞게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월300 수업내용) 혹은, 일부 매도를 매월 진행해도 상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