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너나위의 내집마련 기초반 - 첫 내집마련, 기초부터 탄탄하게
자음과모음, 너나위, 코크드림

부동산 지식
-부동산은 필수재와 투자재의 교집합에 있다. 그래서 필수재처럼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따라 오르기도 하지만, 투자재처럼 꼭 오르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좋은 집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집을 사도 괜찮을지 확인할 때 대표적으로 전세가율과 PIR을 확인할 수 있다. PIR이란 소득대비 집값비율로 전주의 PIR이 7일 때 전주사람들이 7년을 일해서 한푼도 쓰지 않고 모으면 전주의 중위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전세가율은 전세가율이 높을 때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적으므로 매수하기 좋은시기 이다.
*하지만 모든곳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전세가 빠지면 매매가는 무조건 멈춘다. 그렇다고 매매가 빠진다고 전세가 빠지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 집값이 저렴하다가 판단할 수 있는 시기(서울기준 PIR 12이하,전세가율 60% 이상)
→ 잘 고른 집에 장기간 거주한다면 잃지 않는다. 그러나 가급적 싸게, 그리고 안전하게 사고싶다면 도시 전체 소득대비 가격, 전세가율을 보고 단지별 기준을 잡아야한다.
-인구 수는 집값이 비례하지 않음.
-2040년까지 인구 200만명감소. → 체감 X
-지방 중소도시는 무조건 신축, 계속 신축으로 이사
현재 시장 상황
-금리 → 인하기 돌입
-공급 → 신축아파트 공급 줄어들어 전세가가 올라가고 매매가의 하락을 방어
-기타 환경(침체기 → 완화정책 / 폭등기 → 규제정책)
내집마련 로드맵
-현재상황파악
-징검다리를 이용해 최종목표 도달
-집을 갈아탈때는 시기 무관하게 적극적으로 실행. 가격을 내려서라도 시행(더 안쪽으로, 더 새거로)
강의 들었던 내용을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지방중소도시에 거주하고있어 수도권 중심으로 말씀해주는 것을 듣고 지방과는 분위기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엑셀표를 통해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징검다리를 통해 끝까지 가보고 싶습니다~!
댓글
해햇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