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구축빌라자가로 살고있습니다.
강의에서는 투자는 모은 돈으로만 하고 대출은 리스크대비용으로 남겨놔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종잣돈이 조금 모자랍니다…
여러 가지 상황 때문에 이사는 할 수 없다는 전제로 갭투자를 하고 싶은데요.
구매하려는 주택의 주택담보대출 말고 지금 살고있는 집을 담보로 신용대출 약간을 일으켜서 투자하면 어떨까하는데요. 이게 가능한가요? 신용대출로 주택을 구입하면 얼마 뒤에 환수된다고 해서요.. 대출마다 조건이 다른건지? 아니면 역시 이런 방법은 초보자이기 때문에 절대 비추천 하시나요? 매수 하고자 하는 지역은 경기도입니다.
강의 너무 좋은데 아는게 많아져서 더 머리가 아프네요. 공부하고 알아가는 수 밖에는 없겠죠.. 선배님들의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둔이님 안녕하세요~ 대출은 리스크 비용으로 남겨놔야 하는 것이 저도 처음에는 아쉽다고 생각했는데 전세가 안빠지는 경험을 하다보니 정말 비상 상황을 대비하는게 중요하더라구요.. 그리고 집 값이 언제 올라갈지 내려갈지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에 대출해서 이자내고 몇년을 버틸 수 있을지.. 이런 부분들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대출은 리스크 대비용으로 남겨놔야 한다고 하셨어요. 강의를 1번 듣는다고 다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저도 그래서 꾸준히 듣고 있고 복습도 하기도 했었습니다. 투자금 모아가면서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투자 응원합니다!!
안녕하세요 둔이님 실거주 하시면서 전세를 끼고 매수를 알아보시는 군요. 대출을 활용해서 매수할 경우 물건을 관리하는 측면에 있어 역전세등 예측 되지않는 부분에 대해서 헷지하기가 쉽지않은 경우가 있어서 대출을 되도록 활용하지 않는 부분으로 매수를 권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해당 실거주를 주담대를 받고 추가 매수를 하게된다면 해당 금융사에 확인이 보다 필요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대출약정에 주택 추가매수 금지약정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대출을 받기 전에 주택 추가매수 여부를 확인 후에 진행해보시면 어떨까합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