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나에게 특히 인상깊었던 점'
어려운 과업을 접할 때마다 드는 생각은 “아 어렵다.. 나중에 할까? 이런 건 내가 좋아하는 일이 아닌데.”라고 반응했다.
그런데, 권유디님이 좋고싫고의 문제가 아니다. 목표를 위해, 필요한 일을 하는 거다라고 하셨을 때, 뭔가 망치를 맞은 느낌이 들었다. 생각의 기준이 이렇게 다를수있구나. 투자자 마인드란 이런 것이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시세를 어떻게 따는지 하나하나 공들여 설명하신 모습에 감동받았다. 시세분석하면서 힘들었던 부분을 다 가르쳐주셔서 정말 기뻤다. 마음깊이 감사드린다.
'꼭 적용해보고 싶은 점'
임보를 쓰는 이유? 가치와 가격을 파악하는 행위. 수익률 200%를 위한 활동이다.
분임을 하는 이유? 지역의 위상을 알아야 단지가 어느 위상에 속한지 알 수 있고 비교평가를 잘 할 수 있다.
인구- 인구가 증가한 이유를 알아봐야겠다.
연령 구성별 특징- 10,40대(학군지, 학교학원가, 30평대 거주), 영유아+30대(신축)
주변지역 공급- 전출, 전입 상관없이 인구이동 규모로 파악( 더 위상이 높은 지역의 입주물량을 파악해야겠구나..)
소득수준: 주택구매력 파악( 평균 데이터이므로, 단지 내의 외제차와 집 내부의 사치품을 보고 파악)
직장- 인구수에 비해 종사자 수가 많다면? 업무지구. 일자리가 많기 때문에 이사오려는 사람이 많지않을까. 사업체수는 적은데 종사자수가 많다면? 좋은 직장이 많겠구나.
교통- 내 앞마당과 비교해보기. 직장, 교통이 비슷하다면 가격이 더 싼 것은?
학군- 학군의 의미가 없는 지역일지라도, 지역내의 선호 학교가 어딘지 알아보자. 이 생활권은 학원갯수가 적은데, 학업성취도율이 높네~ 다른 지역의 학원가를 공유할 수 있는 가성비지역이군.
환경- 연식이 높더라도 소아과가 근처에 있다면? 선호 환경. 상권과 편의시설을 조합하고 자신의 생각을 넣어봄(선호/비선호 상권)
공급- 해당지역뿐만 아니라, 인구이동이 잦은 top3 지역의 공급량도 확인할 것.
호재- 입지가 우선이지만, 호재가 있을 경우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 교통 호재일 경우, 주요업무지구로 가는지 반드시 확인할 것( 주요업무지구로 가는 노선이 아닐 경우 실효성 없음)
임장시: 분위기가 반전되는 지점, 지역의 주요 시설을 기억하며 돌아다님. 출퇴근길 교통상황 파악
분임루트 그릴때: 중요한 상권인 부분은 지그재그로 이동할 수 있게; 상권과 지하철 역이 겹치는 부분은 지나가게끔
시세분석: 생활권 가격범위 작성해보기, 전고점이 없는 단지는 근처 비슷한 단지의 전고점을 참고해본다.
댓글
새싹mommy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