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오늘도 부동산 노트를 만들어나가는
스프링북 입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지방 부동산 투자에 대한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자모님이 강조한 가치와 가격을 보는 눈, 공급 물량의 중요성,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부터 투자하라는
말씀이 크게 와닿았습니다.
투자 지역을 보는 눈을 길러야 한다.
-전세가가 낮은 곳은 리스크가 적고, 향후 상승 가능성이 있는 곳이다.
-모르는 지역이 강의에서 나온다고 그냥 넘기지 말고, 투자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방은 공급 물량이 곧 시장을 좌우한다.
-지방에서 공급이 많은 지역과 없는 지역의 차이가 엄청나고 그게 곧 투자 결정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공급 물량 데이터를 사전에 파악하고, 향후 2~3년 흐름을 생각해 봐야 한다.
지역별로 가격 감을 익혀야 한다.
-지역 별로 가격의 흐름을 알고 있어야 내가 보는 지역이 싼지 비싼지 파악할 수 있다.
-공급이 많은 중소도시 가격과 공급이 줄어드는 광역시 가격이 비슷하다면 입지 가치가 비슷하다는 가정
하에서 광역시를 하는 것이 맞다.
적용할 점
-구별 입지 가치와 가격을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 지역 구의 특징을 한 줄로 정리해 두고 앞마당이 늘어날 때마다 뒤에 붙여둔다. 누가 그 지역을 물어봤을 때 학군은 어떻고 직장이 어떻고 그 지역 대장 가격은 얼마이고 어떻게 움직이고 있다 정도로 정리해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게 임보 마지막 결론 파트인 것이다)
지방 투자 핵심은 무조건 투자금 덜 들어가서 싼 걸 찾는 것이 아니라 싸졌는데도 선호도가 있는 것을 찾는 것이다.
-해당 지역에 무엇을 좋아하는지 알고 그 지역이 사람들이 좋아하는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지 없는지가 정말로 중요하다.
-입지, 상품성, 생활 인프라 등 사람들이 선호하는 요소가 있는 단지를 선별할 수 있어야 한다.
발로 뛰는 투자자 답은 현장에 있다
-공급이 점자 정리되는 시기에 네이버 시세를 보고 나가면 늦을 수 있다. 현장에 가치를 파악하고 가격을 파악해서
좋은 물건을 찾아야 하는 시기가 오고 있다.
인구수보다 중요한 건 인구 구성과 이동
-단순히 인구를 단편적으로 볼 게 아니라 인구 이동과 연령대를 유심히 봐야 한다.
특징을 정확하게 파악하라
강의를 듣다 보면 강사님들께서 그 지역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접근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3강 C 지역의 구별 특징과 입지 가치를 설명해 주시는 부분에서 훨씬 더 디테일하게 중요한 부분만
콕콕 찝서 설명해 주셔서 어떻게 입지 가치를 평가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그 지역을 왜 좋아하는지, 왜 안 좋아하는지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임장 할때도
적용하고 판단할 수 있고 임보 작성 시에도 가격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와 선호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을 배울 수 이었습니다.
돈,시간,행동,태도
-보상에 너무 집중하지 마라 시간을 관리하려 하지 말고 활용해야 한다.
-루틴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 하루라도 하지 않는 날이 없으면 된다. 그게 단 10분이라도
본질을 잊어버리고 보상에 집중해 쓸없이 시간과 돈을 소비했던 순간들이 기억나며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을 수 있었습니다. 잘못된 생각에 빠져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고통스럽기만 했던 시간들은
기회로 바꿀 수 있는 좋은 말씀 너무 감사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뭐 하나 뺄 수 없는 자모님 강의에 오늘도 감동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적용할 점
-독서, 시세 루틴 만들기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이 많고 유튜브나 잡생각을 하며 보내는 시간들 또한 최대한 투자자의 루틴으로
만든다면 정말 성공할 수밖에 없다는 마음가짐으로 최선을 다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