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강파이어입니다.
저번 임장보고서를 작성하다
전세가 유독 부족하다는 생각이 드는 곳들이 있어서
서울 25개구 현황을 전체적으로 정리해 봤습니다.
자료 출저는
단지수, 매매, 전세, 전세가율은 부동산지인
매매, 전세, 월세 물량은 아실(2025.5.4.)
기준입니다.
1급지 : 강남, 서초, 송파, 용산
서초, 강남 매매물량은 연초에 급격하게 줄어든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토허제 해제의 효과로 1급지 거래가 활발했었던 것을 알 수 있네요)
서초에는 메이플자이 입주가 있어서 전세물량이 급격히 늘어났습니다.
2급지 : 성동, 양천, 마포, 광진
성동구 매매는 3월부터 2개월 동안 300개 정도 줄었습니다.
자체 입주(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와 주변 입주(동대문, 광진) 영향으로
전세물량이 있었는데 줄어들고 있습니다.(줄어드는 폭이 빠르다고 생각이 드네요~~)
마포구 매매물량도 제일 많았던 2025년 1월 대비 400개 정도 줄었습니다.
전세가 진짜 부족합니다.
단순하게 계산해도 광진구와 단지수가 2배 차이나는데 전세매물이 더 적습니다.
3급지 : 강동, 영등포, 동작, 중구, 종로
강동구는
전세물량이 드라마틱하게 줄었습니다.
올림파크포레온 입주로 2024년 12월은 4,600개가 있었는데
현재는 1,183개가 있습니다.
영등포구도 매매 물량이 2025년 3월 대비 400개 정도 줄었습니다.
전세는 단지수가 325개인데 687개입니다.
단순하게 단지당 전세가 2개 밖에 없습니다.
4급지 : 서대문, 강서, 동대문, 은평, 성북, 관악
은평은 녹번역을 중심으로 4,5급지를 나눠서 보지만
부동산지인 평단가 기준으로 4급지로 정리했습니다.
4급지의 특징은 매매 물량이 줄지 않고 있습니다.
1~3급지에서는 매매물량이 줄고 있었는데 다른 특징입니다.
실거주 갈아타기 수요로 상급지 위주로 거래가 활발한 것 같습니다
그와 반대로 전세물량은 많지 않습니다.
강서구는 전세가 진짜 없고,
2025년에 입주가 많은 동대문, 성북구 모두
전세가 많이 줄었습니다.
5급지 : 노원, 구로, 중랑, 강북, 금천, 도봉
노원, 구로 등 5급지도
4급지와 비슷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매매는 쌓여있고, 전세물량은 많이 줄었습니다.
서울 전체적으로 전세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드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와! 서울시 모든 구에 대한 매매와 전세물량에 대해 수치적으로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강의에서 들은 것이 정말 현장에서도 반영되어 나온다는 저로서는 신기한데요! 최강파이어님 덕에 수치적으로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서울시 모든구에 대해 거기다 급지별로 정리된 자료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