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부동산Q&A

역전세 대비자금 운용방법이 궁금합니다.

25.05.09

 

안녕하세요. 

 

저는 월부 입성 1년여 만에 1호기를 계약 하고

현재 잔금일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질문에 앞서 1호기 투자를 할수 있게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신 강사님들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제 질문은,

1호기 매수를 하면서 역전세 리스크를 대비해서

여유자금 1억원 정도를 현금으로 보유할 예정인데요.

 

1억원이라는 금액이 적지 않은 금액이다보니

그냥 예금으로 보유하기에는 어깝다는 생각이어서요.

 

혹시, 투자 선배님들은 어떻게 여유자금을 

운용시는지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후바이
25. 05. 09. 19:48

나경자님 안녕하세요 :D 우선 첫 투자 정말로 축하드립니다. 역전세 금액을 걱정하고 계시고, 또 그 금액을 1억 정도로 생각하고 계신 것을 보면, 현재 매수하신 단지의 절대가가 꽤나 높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통은 매매대금의 10% 또는, 전세 금액의 10% 정도를 보유하고 있거나, 사용하지 않은 마이너스 통장 등으로 그 버퍼를 유지하여 대응 준비를 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1억의 투자금을 고스란히 역전세 대비용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할까?를 생각해보면 저라면 고민을 좀 더 해볼 것 같아요. 이런 점들들요. 1. 현재의 전세 시세대비 보증금의 차액이 어느정도인지 2. 현재 전세보증금액이 시세대비 높게 셋팅되어있다면, 임차인은 갱신권을 사용한 상태인지, 아니면 아직 미사용한 상태라 1차 만기시점이 확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3. 갱신 사용을 하신 상태이고, 만기 시점까지가 아니더라도 시세대비 높게 셋팅되어있는 전세 보증금이라면 말씀해 주신대로 시세 대비 여유있는 금액을 마련해둘 것 같지만, 마냥 금액마련만 할 것이 아니라 임차인과 시세대로, 또는 시세보다는 조금 높더라도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재계약을 하여 중간에 조기 퇴거하는 일을 방지해보려고 노력 할 것 같습니다. 5. 시세대비 높게 살고 계시다면 시세대로 낮추거나, 또는 시세대로 낮추지 않더라도 그 시세 차액만큼의 이자를 일시에 지급해 드린다던지, 또는 살면서 불편하신 내용을 일부 소수리 또는 설치해준다던지 같은 추가 제안과 함께 현 시점에서 안정적으로 다시 2년 계약을 해보려고 노력해 볼 것 같습니다. 6. 갱신권 미사용 상태라면 만기 시점 3개월 전후, 보수적으로 6개월 전후로 단지 주변으로 대규모 입주가 예정되어있는지 살펴 볼 것 같습니다. 상황에 딸 ㅏ좀 더 살펴보고 제안해 볼 만한 점들이 있을 것 같지만 우선 이런 점들을 살펴 볼 것 같구요. 그래서 1억의 금액이 합당한 버퍼 금액인지 아닌지, 예상되는 또는 1억 전후의 마이너스 통장이 사용 가능하다면 1억을 종잣돈을 저라면 투자금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고민을 해 볼 것 갗ㅌ습니다. 경자님, 이렇게 꼼꼼히 고민하시는 걸 보면 분명 어떤 상황에서 잘 대응 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의사결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고 힘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