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월부멘토, 권유디, 양파링, 프메퍼, 주우이

안녕하세요 엠엠킹 입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며 가장 새겨야 할 부분은 전고대비 하락률 개념인 것 같습니다.
신선했던 것은 전고점 돌파를 안했다면 싸다는 관점과 내 투자금에서 가장 좋은 것을 투자하면 된다는 점이었습니다.
작년 들었던 서투기 때와 다른 메시지들을 들으며 전세가가 많이 올라오고 있고, 점점 더 기회가 만들어 지고 있음을 느끼는 1강이었습니다.
좋은 것은 많이 올랐으니 빠질 때 많이 빠질 수 있다는 생각.
그러나 장기적으로 보면 그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 이라는 생각.
많이 빠진 것은 내려가더라도 엄청 많이 내려가지는 않을 것이라는 생각.
현상을 어떻게 판단하고, 부정적 생각이 아닌 합리적&긍정적이며 장기적 관점으로 의사결정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BM1 선호도에 따라 단지별 반응 속도가 다르다. 그리고 가치는 언젠가 제 값을 찾아간다.]
강의를 들으며 결국은 입지 결국은 지역내 선호도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선호하는 단지가 먼저 오른다고 하는 강의 내용을 들으며 현 임장지에서 각 생활권 별로
어떤 단지들이 먼저 반응했을 지 궁금해 졌습니다. 이번 임보를 쓰면서 랜드마크와 각 선호 단지별 가격의 반응속도를 녹여 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같은 생활권이더라도 퉁쳐서 보면 안되고, 어떤 선호요소 어떤 유해요소가 결합하여 선호도를 만들어 내는지 딥하게 파헤쳐 보겠습니다. 지역/생활권 별로 어디까지 반응이 왔는지를 확인하고, 덜 오른 지역을 투자 주머니에 모아 두어야겠습니다. 그리고 더 좋은 지역에서 덜 오른 곳은 없는지 추가로 확인하는 절차를 비교 분석에 반영할 생각에 신이 납니다(?) 역시나 실전 투자를 할 수 없기에 모의 투자까지 진행해 보고, 과거의 결정이 어떤 결과를 만드는지 히스토리를 차곡차곡 쌓아가겠습니다.
오프닝 강의에서도 언급된 베스트보다 워스트를 피하는 방법으로 의사결정하는 유디님의 말이 다시 한 번 생각나네요.
#천장의 가격흐름을 임보에 적용하자(상승의 흐름은 상급지에서 불어온다)
[BM2 입지 한 판 정리 그리고 한강 접근성]
1급지부터 5급지 그리고 경기도까지 유디님의 시간을 레버리지 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지역간 비교와 지역 내 비교에서의 입지요소의 가중치는 달라야 한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낍니다.
지역 내에서 핵심 입지요소를 보편적으로 갖춘 상황이라면 결국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없는 요소 찾기!
한강 접근성은 3급지 내에서 적용되는 요소라는 점을 새롭게 정리할 수 있었고, 상급지일수록 커뮤니티와 브랜딩이 중요하다는 점을 정리합니다.
[BM3 소액투자 지역]
결국 27년도에 할 수 있는 투자는 소액투자가 될 것이고. 지방을 갈 상황은 못되니 베스트는 아니더라도 할 수 있는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같은 가격 같은 투자금이라면 어느 단지가 더 대장인지(선호도가 높은쪽인지) 판단하고 이왕이면 택지인 곳으로 판단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시금 느끼는 것은 호재는 상승장일 때 재료로서 불타고 하락장에서는 소리없이 소멸된다는 점입니다. 강의에서 나온 사례가 마침 이번에 돌고있는 수지구여서 임보내에서 디벨롭해보려 합니다. 수지구도 소액으로 가능할 시점이 올지도 모르니..!
// 형태로 매매전세가 형성된 지역은 투자하기 좋은 지역이라는 점.
매매는 기다려주고 전세가 올라가 주면서 기회를 만들어 주는 점.
5/4.5 -> 6/5.5 //의 흐름에 같은 투자금 이지만 먼저 투자를 했다면 매매 차익을 통해
더 좋은 자산으로 포트폴리오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이 종합적으로 배운 점이다.
수도권 이상에서 장기보유를 통한 전세가 상승 분으로 투자 자산 만들기 또는 매매 차익을 통해 갈아타기
두 전략은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결절해야함을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할 수 있을 때 투자를 진행하면 매도를 통해 현금 흐름을 조금 더 빠르게 창출 할 수 있는 점
인플레이션을 쫓아갈 수 있는 전세 상승력을 가진 단지를 보는 안목.
매매가가 오르고 있는 지역이 어디인지 유심히 지켜보고 아는 지역을 늘려가야 겠다.
댓글
엠엠킹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