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31기 20억 조사버릴 조직이들 모카라떼7] 1강 후기

 

 

안녕하세요

평정심을 잃지 않는 투자자 모카라떼7 입니다 :)

 

실전반 1강에서는 주우이 멘토님께서

현재 수도권 시장 진단과 투자기준 및 전략

그리고 수도권 투자 로드맵을 알려주셨습니다.

 

 

 

#수도권 시장의 모습

 

멘토님께선 ‘지’에서 ‘행’으로

배운 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함을 강조해주셨습니다.

당장 수도권을 투자하지 못하지만

이번 실전반에서 "내가 만약 2억의 투자금이 있다면

현재 임장지에서 어딜 투자할까?"

생각해보며 임장과 임보를 작성해보고 있는데요.

멘토님께서도 이번 실전반을 통해서

제대로된 앞마당을 만들고

언제든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함을 말씀해주셨습니다.

 

현재 정책적으로도 어수선한 분위기라

최근 매물임장을 갔을때 투자자든, 실거주자든 거래가 되고 있음을 느꼈는데요.

만약 진짜 상승흐름이 오더라도

계속 보고 있는 단지만 추격하는게 아닌,

그 다음은 어디지? 계속해서 고민해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선 앞마당을 계속 늘려야 하고,

가치대비 여전히 싼 단지는 어디지? 

대안을 많이 만들고 기회를 찾아야겠습니다.

 

23년 하락장부터 부동산 공부를 시작했어서

역전세 시장을 겪고 나니

시스템투자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공급이 없는 전주, 울산 시장 분위기를 겪고 나서

서울이든,지방이든 공급 부족의 위력을 느꼈는데요.

서울은 25년 이후 공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전세가 상승 여지가 있고

역전세 리스크는 거의 없다봐도 무방합니다.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도 오르겠지?

라는 생각보다, 전세가를 너무 욕심 부리지 않고

시장 분위기에 맞는 전세가격으로 맞추고

이후 전세상승분으로 실력이 쌓였을때

다음 투자를 이어나가야겠습니다.

 

 

 

#수도권 투자의 특징

 

서울수도권은 땅의 가치가 있다보니

투자 범위가 넓고 봐야할 단지도 참 많은데요.

막상 내 투자금으로 이 단지를 투자해야 한다고 …?

에고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ㅎㅎ

90년대 단지도 투자해도 될까? 에 대한 의문은

그 지역에 80년대 단지가 지난 상승장때

어떤 흐름을 가졌는지 보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구축은 전세 상승은 낮더라도 매매 상승을 하기 때문에

땅의 가치를 확인해야 한다 하셨습니다.

 

전세상승분으로 다음 투자를 이어나가야하는 사람은

신축 투자를 하는게 좋다고 하셨는데요.

제가 매물코칭을 받으면서 피드백 받았던 것과 일맥상통 했습니다.

내가 어떤 투자자인지?

다음 투자를 어떻게 이어나가야 할지?

내 투자 로드맵을 그릴때 방향성을 정해야 함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다주택자로 가서 보유할 때는

전세가 상승분이 훨씬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서기반 자모님께서도 말씀하셨는데

이 아파트가 전세가가 오를 아파트인지를 파악하라 하셨습니다.

다음 재계약 할 때는 올려받을 수 있는 단지인지?

관점에서 임장하고, 임보를 작성해야겠습니다.

매수에서 끝이 아닌,

자산을 보유하면서 내 단지의 가치를 믿고

보유하는 동안 어떤일이 일어날지 알고

대응하는 투자자가 되어야겠습니다.

 

 

긴 시간 좋은 강의 해주신 주우이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


모카라떼7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