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비아]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12년 만에 최저, 어떤집 사면 좋을 시그널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구해줘월부 부동산상담) 내용 정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최저? 이게 뭔데요?

 

 

1. 전세가율이란?

  • 전세가율 = (전세 금액 ÷ 매매 금액) × 100
    예) 집값 5억, 전세 3억 → 전세가율 60%

 

전세가율은 시장에서 집값과 전세가의 상대적 움직임을 한눈에 보여줘요.

 

 

 

2. 최근 전세가율 동향

  • 2025년 4월 기준
    • 서울 평균 53.5%
    • 강남구 40.7%
  • 과거 주요 시점
    • 2009년 역대 최저(38.2%)
    • 2016~17년 역대 최고(75%)
    • 2023년 서울 50%, 강남 41%

특히 강남은 2025년 2~3월 ‘토지 거래 허가제’ 해제 후 매매가가 급등하며 전세가율이 크게 떨어졌습니다.

 

 

 

3. 지역별 전세가율 비교

 

 

 

 

  • 서울 평균: 50% → 53.5%
  • 강남구: 41% → 40.7%
  • 용인 수지구: 64% → 66.9%
  • 서울 노원구: 50% → 54.6%
  • 부산 전체: 62.8% → 65%

 

강남구 외 지역은 오히려 전세가율이 상승해, 매매로 전환할 때 필요한 추가 자금이 줄어든 모습입니다.

 

 

4. 내집마련의 단서

  • 전세가율 ↑ = 전세가가 꾸준히 오르고 있다는 의미
  • 전세가 상승 지역에서는 전세 보증금으로 매매로 전환할 때 필요한 ‘추가 자금’이 줄어듭니다.
    • 예) 용인 수지구: 전세 3억→4억, 매매 5억 유지 시 추가 자금 2억→1억

즉, 전세가율이 오르는 지역을 주목하면 내집마련 시기를 포착할 수 있어요!

 

 

5. 실전 행동 가이드

  1. 관심 지역 선정:
    살고 싶은(또는 투자할) 지역 2~3곳을 정하세요.
  2. 전세·매매가 확인:
    아파트 시세 사이트(네이버 부동산, 호갱노노 등)에서 최근 전세가, 매매가를 조사!
  3. 추가 자금 계산:
    매매가 – 전세가 = 필요한 추가 자금
  4. 전세가율 변화 추적:
    3개월 단위로 전세가율 변화를 기록하면 상승 추세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습니다.
  5. 내집마련 결정:
    추가 자금이 부담가능 수준이라면 계약 만기 시 매매 전환을 진지하게 검토해보세요.

 

 

6. 마무리

헤드라인만 보고 ‘집값 올랐구나…’ 하고 포기하지 마세요.
전 지역이 다 같지 않듯, 내가 살 수 있는 지역의 전세가율이 오르는 순간이 바로 내집마련의 골든타임입니다.

 

 

오늘 당장 관심 지역의 전세가율을 확인하는 것, 그것이 내집마련 첫걸음입니다! 응원할게요. 😊


댓글


오늘은 더user-level-chip
25. 05. 15. 20:24

오 라비아님 정리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