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내마중17기 언젠가는 슬기로울 6조 생활_팥2] 2주차 강의후기 (용맘 튜터님)

  • 25.05.22

내집마련 중급반 - 한번의 선택으로 인생의 격차를 만드는 내집마련

2주차 강의는 단지 비교평가에 대해 용맘 튜터님께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안양 특강을 들은적이 있었는데 강의를 너무 잘하셔서 안양에 대해 정말 잘 알게 된 강의였었는데 이번에 튜터님께서 강의해주셔서 정말 기뻤던것 같습니다. 

 

입지가치 분석 (비교평가)에 대해 정말 쉽게 알려주셔서 따라하기 좋았습니다. 

 

1. 입지가치 와 상품가치를 단지에 적용하는 법 

- 입지가치는 땅/직장/교통/학군/환경을 뜻합니다. 특히나 저는 수도권 중심으로 앞마당을 만들었고 수도권에 대해서는 입지가치에 대한 판단이 어느정도 되는데 지방에서의 입지가치에 대한 판단이 어려웠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지방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입지 가치를 판단할지 알려주셔서 좀 더 명확해지는 수업이었습니다.

지방은 제 선입견에는 신축만 좋아하지 않나? 라는것도 있었는데 확실한 선호도가 있는 지역이 분명히 존재하였고 서울과는 달리 대중교통 보다는 자차로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아이를 키울수 있고 누구나 좋아할만한 지역 인지가 더 중요시 여긴다는 것을 다시 알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환경과 학군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꼭 인지 해야겠습니다.

또한 상품가치는 수도권보다는 지방이 상품 가치에 대한 인식이 압도적으로 높으니 연식과 규모도 체크를 다시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단지별 비교평가하는 법 

- 비교 평가전 내집마련 과 거주보유분리에 대해 어떤 기준을 가지고 선택해야 할지를 알려주셨습니다.

저의 경우 싱글 투자자입니다. 모은 종잣돈이 크지는 않지만 대출 레버리지를 좀 더 낼수 있는 여력이 있습니다. 

저축액이 많고 대출 가능금액이 많은 편이라 실거주 고민을 해도 좋은 케이스라고 수업 내용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실제로도 1호기 투자전 내집마련과 거주보유분리를 끊임없이 고민했었습니다. 

각각 내집마련과 거주보유분리시 어떻게 내집 마련 후보지역을 선정하는지 알려주셔서 너무 좋았고 제가 마치 예시 케이스가 됐다고 생각하고 천천히 따라가니 방향 결정도 참 쉬울것 같다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렇게 내집마련과 거주보유분리에 대해 방향이 정해졌으면 비교평가를 통해 더 좋은 단지를 고를 수 있어야한다고 알려주셨고 비교평가에 대해 쉽게 설명을 해주셨습니다. 

비교평가를 하는 이유는 지금의 선택이 10년뒤 가격차이를 만들고 수익과 직결이 되기 때문이라는 것도 다시 한번 짚어주셔서 비교평가를 잘 할수있게 많은 연습이 필요하겠다 라는생각이 들었습니다. 

비교평가란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말고 예산에 맞는 후보 단지를 선정하였으면 → 가치 비교를 하고 → 마지막으로 가격 비교를 하면 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비슷한 입지가치가 느껴지는 곳은 직접 가보고 결정하라고 하셔서 단지임장 또한 꼼꼼히 해나가며 전임과 매임을 통해 이런 부분에 대해 결론을 내야겠습니다.

 

비교평가 부분 중에 저는 강남 10평대 부분을 알려주셔서 정말 좋았습니다.

실제로 제가 10억 가까운 돈이 있다면 싱글 투자자라 충분히 고민이 될 것 같습니다. 나의 가족형태와 가치관에 따라 선택을 하면 좋을것 같다 라고 결론이 나왔습니다.

 

 

3. 공부한 시간을 내것으로 만들기

원페이지 정리를 해주신 부분이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1)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

2) 본인에 맞는 후보물건 찾기

3) 후보물건 가치 판단하기

4) 후보물건 가격 판단하기

 

정말정말 쉽게 설명을 해주셔서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의 시간이 정말 순식간에 지나간 느낌입니다. 

 

튜터님 말씀대로 할수 있는것을 골라서 하나씩 해나가겠습니다.

1) 강의 제대로 듣기

2) 네이버 부동산 보기

3) 부동산 전화해보기

4) 임장가기

 

실행 버튼이 눌러져야 모든 것은 이루어진다 라는걸 다시 한번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강의 들었으니 내일은 임장 잘 다녀오겠습니다.

 

좋은 강의 너무 감사드립니다^^

 


댓글


팥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