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층이 굉장히 높았다는 것 -> 투자는 부자가 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노후 준비를 위해서도 필수다
나의 은퇴시기에 따라 노후를 위해 필요한 정량적인 돈의 양 -> 단순히 얼마쯤 벌면 많이 벌겠지? 이런게 아니라 내가 40대의 은퇴를 하든 50대의 은퇴를 하든 나에게 필요한 돈의 양이 다르고 그에 따라 나의 은퇴시기도 달라진다. 단순히 저축만으로는 나의 미래를 대비할 수 없다. 현재 저축하고 있는 양이 꽤 된다고 나름 자부(?)하고 있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저축만으로 20년을 보내면 나의 건강한 노후를 지키기에는 턱 없이 부족하다는 현실을 뼈저리게 깨달았다.
10억 달성은 부자의 기준인가? -> 월부에서 10억 달성기를 볼 때면 '10억이 그렇게 큰 돈인가?'라는 생각이 있었는데 막상 수치상 보니 10억이면 내가 꾸준한 노동임금으로 몇십년을 모아야 벌 수 있는 금액이라는 점을 알게 됐다.
대한민국 부자들이 부자가 된 방법들 -> 대한민국 대다수의 부자들은 사업 혹은 부동산으로 부자가 된다. 내가 현재 부동산을 공부하는 이유가 명확해졌다.
월급쟁이 투자 시스템 만들기 -> 월부에서 처음 공부할 때는 마음이 나도 모르게 급해지는 것을 느꼈다. 하루라도 빨리 집을 사서 투자수익을 내고 싶은 마음이 컸는데 너바나님이 말씀하신 투자 시스템을 보니 1년에 차근차근 한 채씩만 투자를 시작해도 그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을 확인했다. 롱런 할 수 있는 투자자의 소양도 필요하다.
10억까지 달성하는 것이 힘들다. -> 10억까지 달성하기 위해 엄청난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지만 그 이후부터는 추진력이 바탕되어 30억, 100억까지 간다는 너바나님의 말씀이 와닿았다. 초반에 확실한 기틀을 다지고 현명하게 버틸 수 있다면 충분히 나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J 곡선의 현실판을 이해했다)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 -> 막연하게 뜬구름 잡는 생각과 행동이 아니라 뚜렷한 목표를 설정해야만 한다. 그래야 내가 현재 버티는 이유와 아끼면서 저축하는 이유가 명확하니 내가 버틸 힘이 자연스럽게 생겨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적용해보고 싶은 점]
시간가계부 작성하기 - 나도 모르게 새어나가는 시간을 잡을 필요가 있다. 하고 있는 스마트폰 게임, 의미 없이 보는 sns, 유튜브와 멀어지기 위해 나의 시간을 컨트롤 해야한다.
나의 현실적인 목표를 아주 구체적으로 적어보면서 내가 이 시간에, 이 나이대에 뭘 꼭 달성해야하는지 목표를 적어볼 것이다.
투자 시장에 살아남는 투자자가 되기 위해 1년에 한 채씩 투자 하면서 잃지 않는 투자를 꼭 실천하고 싶다.
현재 4개 월 정도 월부에서 강의를 들으면서 나의 생각과 행동이 조금씩 바뀌었는데 너바나님과 비교해보면서 뭐가 더 부족하고 어디에 시간을 더 써야하는지 꼭 알고 싶다. 현재 나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가계부, 나에게 가용한 투자금, 얼마까지 대출 가능한지 알아보고 월부 커뮤니티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한다. 긍정적인 투자자들을 여럿 만나면서 주변에 배울 수 있는 사람을 많이 사귀고 '10억 달성기'도 꾸준히 읽으면서 투자 마인드를 셋팅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