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 어떻게 나를 지키고 사랑할 것인가
part 1. 자존감이 왜 중요한가?
part 2. 사랑 패턴을 보면 자존감이 보인다
17p 자존감에는 세가지 기본 축이 있어서 사람들마다 자존감의 의미를 달리 해석하기도 한다. 세가지란 자기 효능감, 자기 조절감, 자기 안전감이다.두번째 '자기 조절감'은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은 본능을 의미한다. 이것이 충족돼야 자존감도 높아진다 세 번째 '자기 안전감'은 자존감의 바탕이 된다. 가진 것은 별로 없어도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안전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능력이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나다.
21p 결론부터 말하자면 떨어진 자존감은 회복할 수 있다. 다만, 시간이 좀 걸리는 사람이 있고, 쉽게 되찾은 사람도 있다. 물론 그 과정이 쉽지 않아 번번이 낙심할 수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노력하면 분명히 회복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part 3. 자존감이 인간관계를 좌우한다
32p 자신이 사랑받을 가치가 있음을 인정하는 일은 '신뢰'라는 감정에서 출발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덕목이다. 인간은 제각각 독립적인 존재지만 서로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이 있어서 팀을 이루고 사회를 이뤄 살 수 있다.
41p 이에 반해 자신을 사랑하는 이의 인생은 상당히 수월해진다. 자신을 사랑한다는 건 마치 마음이 잘 통하는 친구와 함께 있는 것과 같다. 그래서 외로움이 찾아와도 크게 동요하지 않고, 혼자 여행을 가저도 마치 둘인 양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거울을 볼 때마다 위안이 되고 자신의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마음이 편안해 진다.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고 격렬할 수도 있다. 특히 자신이 했던 어떤 행동을 되짚어보며 상대가 어떻게 생각할까 하는 근심과 불안에 빠질 일이 없다.
46p 많은 사람들이 고민 해결을 위해 다른 사람을 찾는 이유는 어쩌면 간단하다. 남들이 하는 대로 하면 중간은 갈 것 같아 안심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타인이 해결해줄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자기만 답할 수 있는 문제가 따로 있다
결정을 잘 하는 세 가지 포인트가 있다. 첫 번째는 적절한 타이밍이다. 아무리 옳은 결정이라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면 의미가 퇴색하거나 사라진다. 두 번째 포인트는 자신이 결정하는 범위다. 세 번째는 세상에 ‘옳은 결정’이란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55p 자존감도 비슷하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과거가 불행했던 사람일수록 사랑을 통해 상처를 회복하고 행복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 자존감을 획득하면서 가장 먼저 찾는게 사랑이듯 자존감이 떨어질 때도 가장 먼저 의지하는게 사랑이다.
65p 많은 사람들이 '사랑받기'를 원한다. 혼자서 자유롭게 사는 것도 행복하겠지만, 인간은 어디까지나 사회적인 동물이다. 타인에게 가치를 인정받고 쓸모 있는 사람이 되는 것은 자존감의 첫번째 요소다.
75p 어떤 문제가 생길 때마다 남자는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덤빈다. 직장 문제나 고부 갈등으로 고민하는 아내에게 촌철살인의 한마디로 해결을 해주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하지만 아내의 반응은 시큰둥하고 남편은 그때마다 자존감에 상처를 입는다. 남편이 원하는 건 단 하나, '아내가 나를 쓸모 있는 존재로 생각해 주는 것'이다. 이것이 남편의 자존감이다. 한편, 부인의 자존감은 공감에 달려 있다. 남편이 자신의 감정을 공유한다고 여기면 부부의 만족도도 높아진다.
part 4. 자존감을 방해하는 감정들
79p 해답은 과정에 있다. 과정에 몰입하면 된다. 평가는 나중의 일이고 과정은 현재의 일이다. 과정에 집중한다는 건 결국 오늘 할 일에만 포커스를 맞추는 일이다.
83p 마지막으로, 좋은 인간관계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완벽한 인간관계는 없다. 부모 자식 관계도 멀어질 수밖에 없고 형제들도 1년에 두어 번 보게 되는 것이 현대인의 관계다. 낳고 키워준 가족과도 멀어지는 게 순리다. 하물며 사회생활에서 만난 사람들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아등바등할 필요가 있을까.
part 5. 자존감 회복을 위해 버려야 할 마음 습관
112p 많은 사람들이 이런 벽을 만나면 어떻게 뛰어넘을지 고민한다. 그런데 문제는 답이 나올 때까지 멈춘다는 것이다. 사실 마음의 장벽은 실질적인 방해물이 아니다. 긍정적 보상이 없거나 부정적 보상이 너무 커서 그렇지, 우리의 노력을 직접 막아서지는 않는다.
part 6. 자존감 회복을 위해 극복할 것들
'세상에서 바뀌지 않는 것 두 가지가 '남'과 '과거'다'
part 7. 자존감을 끌어올리는 다섯 가지 실천
댓글
갱지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