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11월 돈버는 독서모임 - 워런버핏 삶의원칙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의 개요
1. 책 제목: 돈의심리학
2. 저자 및 출판사: 모건하우절, 이지연 옮기 / 인플루엔셜
3. 읽은 날짜: 250613 ~ 0615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5. 느낌점
돈의심리학은 23년2월에 읽은 이후에 재독으로 불변의법칙고 동일한 저자인 모건 하우절의 책이다. 처음 읽었을 때 인상 깊어 작년 ‘불변의 법칙’을 읽었을 때에도 집중하여 읽은 기억이 있다. 이번에 재독을 하면서도 불변의 법칙이 생각이 나면서도 이번주 필수도서인 ‘원씽’과 다른 의견을 가진 주제들이 몇몇 보였다. ‘불변의 법칙’이 작년에 나왔지만
같이 읽어나가면 두권의 책을 같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03 돈을 버는 것은 버는 것이다. 이를 유지하는 것은 별개다.
금전적 성공을 한 단어로 요약한다면 나는 ‘생존’이라고 말하겠다.
-깨달은 것
최근들어 투자에 대한 갈망이 생기다보니 아무거나 빨리 1호기를 마무리하고 싶은 생각이 많이 든다. 그리고 난 후
부수입을 만들어 월세로 살고 싶다라는 생각도 든다. 그리고 다시 책을 읽으면서 이 생각이 어쩌면 잘못된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빨리 많이 버는 것에 욕심을 부려 ‘생존’을 하지 못 하고 망하는 길이라고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원씽’에서도 나와 있던 내용 중에도 자신이 쓴 책대로 살지 못하여 망한 이야기가 나와 좀 더 유의깊게 읽었다. 돈을 버는 것과 돈을 잃지 않는 것은 별개 라고 말하는 저자대로 버는 능력과 잃지 않는 능력이 별개임을 인정한다. 그렇다면 지금 나는 아직은 버는 능력이 부족하기에 잃지 않는 능력을 키워 이후에는 버는 능력이 성장하면 자연스럽게 생존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잃지 않는 능력은 겸손한 태도에서 비롯한다고 하니 책을 주기적으로 읽어 경각심을 가져야 겠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나의 돈 버는 능력과 잃지 않는 능력은 성장하고 있는가?
생존에 필요한 겸손이 나는 갖추고 있는가?
-기억하고 싶은 문구
p185 금융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는 냉철하게 이성적이 되려고 하자 마라. 그냥 ‘꽤 적당히 합리적인’ 것을 목표로 삼아라.
-깨달은 것
찰리 멍거 바이블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있어 생각이 났다. 좋은 주식을 적당한 가격에 사고 오랫동안 보유하는 것.
그리고 너나위님께서도 좋은 단지를 비싸지 않은 가격에 매수하는 것. 주식과 부동산은 다루는 것이 다르지만 본질은 비슷한 점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임보를 쓰다보니 더 이성적으로 수학적으로 하락의 원인을 파헤치려고 한 적이 있다. 결국에는 이해가 안 되어 포기하였지만 이렇게 이과적인 생각으로 다가가려니 어렵기도 하고 확실하게 넘어가지 못 하여 찝찝한 기억이 있다. 그래서 이번에 나온 문구 처럼하도록 해봐야겟다. 이성을 잠재우고 적당히 합리적이라면 실행할 수 있기를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적당히 합리적인’ 이라는 말이 어렵기도 하고 잘 모르니 두려움이 생기는 것 같다. 만약 이번 독서와에 선발 된다면
질문해봐야겠다.
-기억하고 싶은 문구
p229 찰리 멍거는 “행복해지는 최선의 길은 목표를 낮추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깨달은 것
‘원씽’에 나오는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와는 상반적인 문구라 뽑았다. 각 장에서 말하고 하는 내용은 서로가 다르다. 원씽에서는 큰 목표를 통하여 행동의 수준이 높아 낮은 목표보다 높은 성과를 이루어 내는 것이고 돈의 심리학에서는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하는 것이 예상치 못한 사건에 덜 손해 볼 수 있다라고 말한다.
위의 두 문장을 합쳐서 나의 방식대로 만들면 높은 목표를 위한 리스크를 대비하자 이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목표는 높게 잡되 그에 따른 리스크가 무엇인지는 파악하며 행동으로 옮기자. 대비 없는 목표는 허황된 꿈이 될 수 도 있으니.
-기억하고 싶은 문구
p255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성공적인 투자에는 대가가 따라 붙는다. 그러나 그 대가는 달러나 센트로 지불하는 것이 아니다. 그 대가는 변동성, 공포, 의심, 불확실성, 후회로 지불해야 한다.
-깨달은 것
부동산의 투자로 성공하는 대가는 무엇일까? 의 문구를 읽다보니 이런 생각이 들었다. 임장하는 시간과 노력으로 인하여 가족들과 시간을 못 보내는 것일까. 아니면 내가 모르는 또 다른 것이 있을까. 책에서는 공포, 의심, 후회 등으로 표현하지만 주식이라는 과점에서 보다보니 부동산에서의 관점은 무엇일까 고민하게 만든다.
-적용할 것 & 나에게 질문 할 것
성공적인 부동산 투자의 대가는 무엇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