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월부 2개월 차, 2주차 강의 후기 -저환수원리, 부자의대가,, 그거 기꺼이 치르고 싶어요,,😅

  • 25.06.16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2주차에 들어서니 전체 강의 내용을 정리하는게 필요할 것 같아 

1주차 2주차 강의 커리큘럼을 정리하고 과제도 정리해보았다. 

 

🎯 2주차 강의 커리큘럼 요약

 

1강 : 부동산 가격 결저요소와 투자의 기초

2강: 200억 부자의 투자원칙 (너바나레시피)

3강: 너바나의 부동산 전망*세금 대응법

4강: 실제 투자사례& 실전대응 방법과제 목록

  • 강의 후기 작성
  • 목실감 실천 (7/1까지 매일)
  • 아파트 수익률 보고서 (2~3주차)
  • 조모임 인증 및 후기
  • 블로그/SNS 후기

 

 

🧠 2주차, 왜 이렇게 속도가 안 났을까?

이번 주차는 유난히 속도가 나지 않았다.
강의는 자꾸 미루게 되고, 마음은 자꾸 뒤로 물러났다.

왜 그랬을까?

  • “지금이 매수 타이밍이라는데… 어디를, 어떻게?
  • 공부는 점점 더 많아지고, “진짜 1년은 공부만 해야 하는구나” 싶은 부담감
  • ‘이렇게 해서 될까?’라는 생각이 **‘일단 해보자’**보다 앞서 버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렇게 후기를 쓰는 나는 ‘일단 했다’는 사람이다.
그 사실 하나가 나를 앞으로 또 밀어준다.

 

 

📚 각 강의 요약 & 느낀 점

📘 1강. 부동산 가격 결정 요소 & 투자의 기초

📘 2강. 200억 부자의 투자 원칙 (너바나 레시피)

  • 기억나는 건… ‘저환수 원리’ 하나뿐

  • 다시 보기 결심!

  • → 기초부터 다시, 필사를 곁들여 정리해보자

“저환수 원리, 저평가, 환금성, 수익률, 원금보전, 리스크 관리”

→ 머리로는 알겠는데, 아직 내 것이 된 느낌은 아님.

→ 적으면서, 반복해서 봐야 흡수될 것 같다.

 

1강과 2강은 투자 기초 개념을 탄탄히 잡아주는 내용이었다.

‘저환수 원리, 저평가, 환금성, 수익률, 원금보전, 리스크 관리’

기록하며 복습하다 보니, 강의 중에도 다시 들어야겠다고 생각했던 게 떠올랐다.

막상 돌아보면 저환수 원리 외엔 뚜렷이 기억이 안 난다. 다시 보며 필기와 정리를 함께 해볼 계획이다.

📘 3강. 부동산 전망 & 세금 대응

가치투자란 잃지 않는 투자’이고, ‘부자는 소득이 아닌 재산을 가진 사람’이라는 말이 인상 깊었다.

다.“가치투자 = 잃지 않는 투자.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 

저평가된 것을 알아보는 눈”

“부자는 재산이 있는 사람.  고소득자 아님.”

세금은 비용이다. 큰 소득을 위해 치르는 대가.”

왼손 월급, 오른손 부동산!

→ 결국 자본이 일하게 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강하게 와닿았다

 

📘 4강. 실전 투자 사례

  • 솔직히, 아직 귀에 팍팍 꽂히지는 않음

  • 그럼에도 느낀 건 “버틴 자가 이긴다.”

 

너바나님도 아파트는 최소 10년 보고 투자한다고 했다.

1~2달 사이에도 매도를 전제로 5천, 1억, 2억 수익이 나는 이야기를 들으며,

이건 정말 움직인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결과라는 걸 절실히 느꼈다.

5천만 원은 누군가의 1년 연봉이고,

 1억은 평범한 직장인이 4년을 모아야 만드는 돈이다.

그 돈이 부동산 투자로 몇 달 만에 가능해진다는 현실이, 자극처럼 다가왔다.

 

🔍 정리하며 깨달은 것

  • 나는 아직 경험이 없는 초보 투자자

  • 벽이 보일 수밖에 없지만, 기초부터 차근히 쌓자

  • 중요한 건 **“지금 하는 이 기록 자체가 성장”**이라는 것

  • “저환수 원리”는 앞으로의 실전 판단에도 계속 떠올릴 기준

 

 

✍️ 나에게 주는 숙제

  • 1~2강 다시 듣기 (필사하며 정리)

  • 목실감 매일 실천

  • 조모임 후기 & 수익률 보고서도 차근차근

투자는 아직 시작하지 못했지만, 공부는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 이 글을 쓰는 것도 공부의 일부다.

기억하고, 돌아보고, 나를 다잡는 일.

‘일단 했다’는 사실이,

 오늘도 나를 조금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다.


댓글


시장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